'정책설문' 이렇게 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이번 조사는 대선을 앞두고 후보와 유권자의 정책 선호 흐름을 보기 위해 실시됐다.

이를 위해 지난 10월 중순부터 주요 세 후보와 색깔이 가장 분명한 민노당 권영길 후보 등 4명의 정책공약과 토론회·인터뷰 발언 기록을 정밀 분석해 후보 간 입장차이가 비교적 갈리는 17개 정책 문항을 선정했다.

중앙일보 정치부 기획취재팀은 자문교수단의 자문과 도움을 받아 정책마다 4개의 대안을 만들었고, 후보들을 상대로 서면 설문조사를 통해 입장차이가 비교적 뚜렷하면서 생활밀착형인 정책 10개를 확정했다.

분야별로는 고교평준화, 의약분업, 주5일 근무제, 비정규직 근로자 처우 개선책, 호주 및 호적제, 6억원 이상 고급아파트 실거래가 양도세 부과, 그린벨트, 지방개발, 군 복무기간 및 징병제, 북한 핵 개발 이후의 대북지원 등이 망라됐다.

이렇게 만들어진 설문을 놓고 중앙일보는 유권자를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지지후보의 선택에 따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어느 후보가 어떤 정책을 선택했는지는 알려주지 않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유권자가 어떤 정책을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후보들의 공약과는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유권자의 독자적 정책 선호 흐름을 후보들에게 알려줘 유권자들이 후보의 정책수립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쌍방향적 의사소통 구조 모델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