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3구서 모처럼 신규 분양 ‘단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6면

아파트 분양 가뭄이 심한 서울 강남권에 오래간만에 단비가 내린다. 정부의 규제 완화 덕이다. 하지만 물량이 많지는 않아 공급 갈증을 해결하는 데는 역부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올 연말까지 강남권(강남·서초·송파구)에 369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모두 재건축 단지들로 총 건립 가구 수 4812가구 중 조합원 몫을 제외한 일반분양 물량이다.

이는 당초 일반분양 예정된 100여 가구의 4배 수준이다. 정부가 재건축 임대 규제를 완화하면서 임대로 계획된 물량의 절반이 분양 물량으로 전환돼서다.

조합은 원래 재건축으로 늘어나는 연면적의 25%를 임대주택으로 지어야 했으나 최근 규제가 바뀐 바람에 절반만 임대로 내놓으면 된다. 층수 제한 등으로 재건축 용적률(대지 면적 대비 지상 건축 연면적 비율) 완화 혜택을 받지 못해 늘어나는 연면적의 10%만 임대로 건립해야 하는 경우엔 임대 물량을 모두 일반분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초 일반분양분이 거의 없던 강남구 역삼동 진달래 2, 3차 단지에서 40가구 가까이 일반분양 물량이 나온다. 서초구 방배동 방배서리풀구역에서 103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이 단지의 원래 일반분양분은 4가구였고 99가구가 임대로 계획됐다. 용적률 완화 혜택이 없어 임대 물량 모두 일반분양이 가능해졌다.

서초구 반포동 미주에서 100가구 넘게 나오고 송파구에선 송파동 반도가 24가구를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이 밖에 강남권에 속하지는 않지만 송파구 바로 옆인 강동구의 고덕주공1단지도 120여 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조합들은 “과거 용적률 제한 때문에 일반분양분이 거의 없었는데 규제가 풀리면서 많지는 않으나 일반분양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조합들은 일반분양분을 늘려 사업 계획을 바꾼 뒤 이르면 다음 달부터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조합원 4분의 3 이상 동의만 받으면 사업계획을 쉽게 바꿀 수 있다. 상한제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분양가는 주변 시세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두 이미 착공에 들어간 후분양 방식이어서 입주 때까지 기간이 짧다. 사업이 빠른 단지는 다음 달부터 입주한다.

임정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