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김대중총재 음해' 저지에 총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민회의는 20일 간부 간담회에서 각종 음해 가능성에 대한 당 차원의 '사전 경보체제' 를 구축키로 결정했다.

특히 김대중 (金大中) 후보를 겨냥한 사상성 시비와 관련해선 해명할건 해명하고 알릴건 미리 알리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피해 노이로제 환자' 같은 국민회의측의 이런 민감한 대응은 신한국당의 비자금 폭로가 촉매가 됐는데 실제 당에 접수되는 첩보들은 나름대로 긴장감어린 것이라는 전언이다.

당 관계자들은 여권이 제2탄으로 색깔 시비를 들고 나올 것이라며 몇가지 근거를 들었다.

신한국당 정형근 (鄭亨根) 의원이 지난주 법무부 국정감사에서 오익제 (吳益濟) 씨의 국민회의 당비 납부설과 金총재와의 면담설을 제기한게 첫째다.

鄭의원이 혼자 '창작' 한게 아닌 정부기관의 정보가 전해졌다고 보는 국민회의다.

정보의 가공과 전달과정에 일부 기관 간부들이 깊이 개입하고 있어 앞으로도 상상을 초월하는 '덮어 씌우기' 주장이 나올 수 있다고보는 것이다.

우익인사 모임인 '민족진영 구국 총대회' 가 20일 세종문화회관에서 '김대중만은 안된다' 고 결의한 것도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당의 한 관계자는 "대표자격인 李모씨는 신한국당 최고위층과 수차례 만나 정치적 조언을 하는등 보통 관계가 아니다" 며 여권이 조직적으로 개입했다고 주장했다.

과거 金총재와 함께 했던 일부 인사들이 이달초 한길연구회를 결성, 서울시내 호텔에서 자축연을 갖고 金총재 성토에 열을 올린 것도 불길한 움직임으로 파악하고 있다.

"안기부 퇴직 직원들로 덕우회가 구성됐으며 여기서 金총재에 대한 음해와 용공조작이 있을 것" 이란 예측도 있다.

이종찬 (李鍾贊) 부총재는 "이달초 전직 안기부 요원 20여명과 식사를 함께 하며 협조를 당부한 적이 있는데 거기에 자극받은 것같다" 고 해석했다.

국민회의의 이같은 태도는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한 것이다.

김대중총재의 지지율을 끌어내리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을 수 있다면서 유권자들에게 '예방주사' 를 놓으려는 국민회의측 노력에는 음해시도를 견제하려는 포석도 물론 포함돼 있다.

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