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 지위 높을수록, 男 가방끈 짧을수록 더 바람 피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사회적 지위가 높은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바람을 피울 가능성이 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코메디닷컴이 워싱턴포스트 인터넷판 등을 인용해 보도했다. 남성은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바람을 피울 가능성이 비슷했다. 교육정도에 따른 차이를 보면 대학을 나온 남성은 그렇지 않은 남성보다 바람을 피울 가능성이 3% 더 낮았다.

미국 뉴햄프셔대 브루스 엠슬리 박사팀이 미국인의 태도, 특성 등에 대해 매년 조사하는 ‘일반사회조사(GSS)’의 자료를 이용, 18세 이상 성인이 바람을 피울 때 성별에 따라 어떤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바람을 많이 피우는 나이가 언제인지 등을 분석한 결과다.

여성은 남성의 경제적 안정성과 교육정도 그리고 유전적인 우성 여부를 중요하게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도 정점은 남 55세, 여 45세로 조사됐다. 남성은 바람을 피울 가능성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가하다가 약 55세에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한 반면 여성은 바람을 피울 가능성이 약 45세까지 증가하다가 점점 감소했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늦바람을 피울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엠슬리 박사는 “여성은 40세가 넘어가면서 난자의 상태가 불안정해지고 유전적인 우월성이 더 이상 좋아지지도 않기 때문에 바람을 더 피우지 않는 것 같다”면서 “반대로 남성은 45세 정도에 정액의 질이 떨어지게 되지만 나이에 상관없이 바람을 피우는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배우자에게 만족하지 못하는 남성과 여성은 그렇지 않은 남성과 여성에 비해 바람을 피울 가능성이 각각 13%, 10% 더 높았다. 종교에 심취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바람을 피울 가능성이 4% 더 낮은 반면 남성에게는 종교가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국제 사회과학학술지 ‘키클로스(Kyklos)’ 온라인판에 13일 게재됐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

[J-Hot]

▶ 아쉽다! 또 1점차라니…男 개인양궁 박경모 은메달

▶ 노무현 前 대통령 "정연주 배임, 해괴한 논리"

▶ 중국 야구, 사상 첫 '승부치기'로 대만 꺾는 이변!

▶ 또 속은거야? 개막식 소수민족 아동들, 알고보니…

▶ 독일 여자 선수 4명 '우리도 벗었다'

▶ 대형 사업가 변신한 구창모 17년 '성공스토리'

▶ 1위 달리는 중국, 매너 '꼴찌'인 이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