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여명이 죽음을 준비했다, 건대입구역 실버타운 기적

  • 카드 발행 일시2023.03.17
  • 관심사마음 챙기기

한 70대 노인이 사무실로 들어오면서 “서명하러 왔다”고 했다. “인생 마지막 가는 길에 쓰는 서약서가 있지 않으냐”며. 연명 의료를 원치 않는 사람들이 작성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일컫는 말이었다. 이 노인처럼 60대든, 80대든 이 서류 이름을 정확히 부르는 사람이 거의 없다. 그래도 상관없다. 내가 최근 찾았던 서울 성북구 보문동에 있는 사전의료의향서실천모임 사무실에선 대충 말해도 의향서인 줄 알아듣고 상담해 주니 말이다.

“그 70대 노인이 의향서를 다 작성하고 난 다음 가족 이야기를 하는데 어찌나 구슬픈지 눈물이 막 쏟아졌어요. 열 살 손자가 난치병을 오래 앓다 최근 상태가 더 나빠져 인공호흡기를 끼게 됐는데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이 너무 안쓰러워 가족회의를 열었답니다. 그 손자의 편안한 삶을 위해 호흡기를 떼기로 결정한 순간 숨 쉬는 것조차 힘들었다더군요. 그리고 본인 역시 언젠가 삶의 마지막 시간이 다가오면 손자와 똑같은 모습으로 세상과 이별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상담소를 찾았다는 겁니다. 서류에 서명하고 나서 통곡하는데 어찌나 마음이 아픈지 혼났어요. 서류를 접수한 저뿐 아니라 옆에 있었던 다른 직원들도 다들 훌쩍거리고. 할아버지가 손자한테 느낀 죄책감이 너무 컸던 것 같아요. 사랑과 절망의 끝이 맞닿으면 그리도 슬프게 눈물이 쏟아지나 봐요.”

이 모임 공동대표 홍양희(74)씨의 설명이었다. 자원봉사로 웰다잉 운동을 벌이고 있는 그는 이런 감동이 70대 중반 나이에도 매일 일어난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20여 년 전부터 사회복지단체에서 삶과 죽음을 생각하는 여러 가지 행사를 기획하고, 웰다잉 강사를 길러내기 위한 기초교육을 해 왔다. 나는 오래전부터 그의 이런 활동을 옆에서 지켜볼 기회가 있었는데 그의 봉사활동 폭은 계속 넓어지고 있었다. 위의 70대 노인처럼 상담소를 찾아오는 중노년의 발걸음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중앙 플러스 처음이라면, 첫 달 무료!

인사이트를 원한다면 지금 시작해 보세요

지금 무료 체험 시작하기

보유하신 이용권이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