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엄사 사각 요양병원…연명의료중단 도와야”
미루고 미루다 임종 직전 연명의료 중단(일명 존엄사)을 결정하는 소위 ‘벼락치기 존엄사’를 개선하라는 대통령 소속 위원회의 권고가 나왔다. 대통령 소속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
"사랑해" 말 못한채 이별…말기환자만 허용한 '벼락치기 존엄사'
지난 4월 초 서울적십자병원 중환자실에서 의료진이 환자를 돌보고 있다. 김종호 기자. 미루고 미루다 임종 직전 연명의료 중단(일명 존엄사)을 결정하는 소위 ‘벼락치기 존엄사’를
-
“7월 어느 날 X-데이 온다” 美 금고 바닥나면 생길 일 유료 전용
━ 📈강남규의 머니 스토리 치킨게임이 한창이다. 미국 연방정부 부채한도(debt ceiling)를 두고서다. 미 의회가 정한 법에 따르면 현재 미 정부의 부채한도는 31
-
“박종철처럼 고문 받고 있어” 전직 관료의 안타까운 메모 유료 전용
잠자리에 들려고 할 때 잘 아는 한 전직 장관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고위 관료 출신 K씨가 종합병원 특실에 입원해 있는데 긴급히 나를 찾는다는 것이다. K는 갑자기 이유를 알
-
약자 희생 우려했지만…'조력존엄사법' 26주년 그 곳의 반전
지난 2018년 5월 10일(현지시간) 스위스에서 안락사를 통해 스스로 생을 마감한 호주 최고령 과학자 데이비드 구달(사망 당시 104세)이 하루 전날인 9일 기자회견장에 들어서
-
[시론] 그대는 어떤 죽음을 맞이하고 있는가
송길원 청란교회 담임목사·하이패밀리 대표 대학 수업시간에 교수가 말한다. “‘부정의 부정’은 긍정이 된다. 하지만 세계 어느 언어에도 ‘긍정의 긍정’이 부정이 되는 경우는 없다.
-
"집에서 천국 가려고요" 말기암 환자 웃게한 '호스피스 힘'
“꽤 있네, (복수 뺀 지) 며칠 됐나.” 지난 달 27일 오후 1시 40분, 경기도 용인시 췌장암 환자 고모(60)씨 집을 찾은 정극규 동백성루카병원 진료원장이 고씨의
-
[사설] 품위 있는 죽음 선택할 권리, 사회적 논의 확대돼야
서울의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암환자가 혈액투석기 등의 연명의료 장치를 달고 있다. [중앙포토] ━ 존엄사 가능 요양병원 7.3%뿐, ‘웰다잉’ 어려워 ━ 사전의향서
-
프랑스 ‘시민의회’ 안락사 합법화 권고…의협 “자살 못 도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가 적극적 안락사 도입 검토를 포함해 ‘프랑스식 임종 선택 모델’을 올해 안에 마련하기로 했다. 2005년 연명 치료 중단을 허용하는 ‘죽을 권리’를 법에
-
프랑스도 안락사 검토…마크롱 "임종 선택 모델 만들겠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엘리제궁에서 프랑스의 안락사 합법화와 관련해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프랑스 정부가 적극적 안락사 도입 검토를 포함해 ‘프
-
연명의료 중단, 임종 임박해야 가능…“말기환자도 적용을”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이 지난 5년 동안 국내 임종 문화를 상당히 바꿔놓았지만 한 단계 나아가기 위해 논의할 과제가 적지 않다. 우선 중단 가능한 연명의료행위 확대 문제다. 현행 법
-
존엄사 설 곳 없는 요양병원
━ 존엄사 5년, 어디까지 왔나 존엄사 고령화로 인해 요양병원 사망자가 많이 늘고 있다. 국립연명의료 관리기관이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최근 3년간 의료기관별 사망자를 분석
-
밸브 돌리기전 그의 말이 걸린다…조력자살 지켜본 작가의 소회
폐암을 앓았던 60대 남성이 2021년 8월 26일, 스위스 바젤의 비영리 안락사 단체 ‘페가소스’ 도움을 받아 조력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조력자살이 시행된 건물 외관 모습. 사
-
[단독] "사랑해"도 못한채 이별…10명중 8명 '벼락치기 존엄사'
“제정신일 때 내 스스로 결정하고 싶어.” 전남 보성군 전샛별(34)씨의 어머니 신모(임종 당시 54세)씨는 2020년 9월 화순전남대병원에서 연명의료계획서를 쓰고 귀갓길에 이렇
-
병원 사망, 韓 75% 美 43%…'집에서 임종' 세계적 추세와 반대
“2009~2019년 선진국은 의료기관 사망률이 줄어드는데, 한국은 늘고 있다. 재택 임종에 대한 노인의 염원이나 세계 추세와 반대로 간다.” 김윤(의료관리학) 서울대 의대 교수
-
연명의료결정법 5년...26만명 연명의료 거부, 160만명 사전의향서 작성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3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연명의료결정제도 5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해 제도 참여 기관 1천 개소 달성 기념 현판 수여 후 기념 촬영하고 있
-
[강찬호 논설위원이 간다] 이원석 총장 취임 뒤 '항소 포기' 잦아진 검찰..이유는?
━ 검찰의 ‘기계적 항소’ 관행 달라질까 강찬호 논설위원 “선생님, 저희(검찰)도 이 사건을 중요한 사건으로 보아 항소 여부에 대해 여러 입장이 있습니다. 그래서 시민위원
-
80여명이 죽음을 준비했다, 건대입구역 실버타운 기적 유료 전용
한 70대 노인이 사무실로 들어오면서 “서명하러 왔다”고 했다. “인생 마지막 가는 길에 쓰는 서약서가 있지 않으냐”며. 연명 의료를 원치 않는 사람들이 작성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
-
“난 살기죽기 아닌 죽기살기”…이어령과 딸, 죽음은 닮았다 유료 전용
죽음의 고통에 대한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이하 존칭 생략)과의 대화는 사실 그가 암 투병을 하기 훨씬 전인 2011년 7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시청 광장이 내려다보이는 호텔
-
동성커플, 유족연금 신청도 가능해지나? 의료·법조계 촉각
21일 선고 직후 서울고법 앞에서 소성욱씨와 김용민씨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동성 커플에게도 기존의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인정해줘야 한다는 취지의 법원 판결에 의료
-
“내가 모르모트야? 난 싫다”…울림 컸던 최종현 회장 죽음 유료 전용
나는 지난해 초까지 웰다잉 강사로 활동할 때 강의가 끝날 무렵 수강자들로부터 질문받는 시간이 늘 기다려졌다. 세상 사람들의 관심을 들여다보는 게 흥미롭다. 질문 중에는 유명 인사
-
"덜 힘들래요" 10대 암환자 편안히 떠났다…연명치료법 그 이후
10대 A군은 소아암인 육종을 앓았다. 어느날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나 여러 병원을 전전하다 찾은 서울 한 대형병원에서 암 진단을 받았다. 암 세포는 폐와 복부 등 곳
-
"나 기다린거야?" 막내딸의 눈물…그제야 엄마 심장은 멈췄다 [김은혜의 살아내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임종을 앞둔 환자 곁을 지키다 보면 의학적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을 종종 겪곤 한다. 하늘에서, 떠날 사람과 남을 사람
-
"행복한 100세 쉽지 않다" 그래서 146만명이 서약한 이 문서
40대 여성 A씨는 지난달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썼다. 한 대형병원에 신분증을 들고 가니 간략한 설명을 듣고 “연명의료행위를 받지 않겠다”는 취지의 문서를 작성하기까지 10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