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자 희생 우려했지만…'조력존엄사법' 26주년 그 곳의 반전
지난 2018년 5월 10일(현지시간) 스위스에서 안락사를 통해 스스로 생을 마감한 호주 최고령 과학자 데이비드 구달(사망 당시 104세)이 하루 전날인 9일 기자회견장에 들어서
-
프랑스도 안락사 검토…마크롱 "임종 선택 모델 만들겠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엘리제궁에서 프랑스의 안락사 합법화와 관련해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프랑스 정부가 적극적 안락사 도입 검토를 포함해 ‘프
-
연명의료 중단, 임종 임박해야 가능…“말기환자도 적용을”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이 지난 5년 동안 국내 임종 문화를 상당히 바꿔놓았지만 한 단계 나아가기 위해 논의할 과제가 적지 않다. 우선 중단 가능한 연명의료행위 확대 문제다. 현행 법
-
[단독] "사랑해"도 못한채 이별…10명중 8명 '벼락치기 존엄사'
“제정신일 때 내 스스로 결정하고 싶어.” 전남 보성군 전샛별(34)씨의 어머니 신모(임종 당시 54세)씨는 2020년 9월 화순전남대병원에서 연명의료계획서를 쓰고 귀갓길에 이렇
-
80여명이 죽음을 준비했다, 건대입구역 실버타운 기적 유료 전용
한 70대 노인이 사무실로 들어오면서 “서명하러 왔다”고 했다. “인생 마지막 가는 길에 쓰는 서약서가 있지 않으냐”며. 연명 의료를 원치 않는 사람들이 작성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
-
"덜 힘들래요" 10대 암환자 편안히 떠났다…연명치료법 그 이후
10대 A군은 소아암인 육종을 앓았다. 어느날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나 여러 병원을 전전하다 찾은 서울 한 대형병원에서 암 진단을 받았다. 암 세포는 폐와 복부 등 곳
-
미술관 예산 따내려 전방위 로비, 3당 원내총무 모임 주선
━ [김동호 남기고 싶은 이야기] 타이거 사람들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건립 1984년 5월 1일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기공식이 열렸다. (앞줄 왼쪽 셋째부터) 이해원 국회문
-
연명치료 중단 이제 발뗐는데…이번엔 '의사조력 자살' 논쟁
존엄사 그래픽 이미지. [일러스트=김지윤] 대한의사협회가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이 발의한 소위 '의사 조력 존엄사법'을 반대하는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지난달 15일 안 의
-
[양성희의 시시각각] 최빈도 죽음, 존엄한 죽음
양성희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최빈도 죽음’. 사람들이 가장 많이 거쳐 가는, 나도 예외 아닌 죽음의 모습을 뜻한다. 박중철 인천성모병원 교수의 책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
"조력존엄사는 자살 합법화…돌봄부터 선행돼야"
최근 국회에서 발의된 ‘조력 존엄사(의사조력자살)’ 법안 관련해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가 “자살을 합법화하는 것과 같다”고 비판하면서 말기 환자의 돌봄을 지원하는 등 호스피스
-
[고령사회의 화두, 웰다잉(Well-Dying)]암 사망자만 연 8만 명인데, 호스피스 병상은 1500개 뿐
━ SPECIAL REPORT 지난 14일 서울서남병원 완화의료센터에서 환자 송정숙(오른쪽 둘째)씨와 딸 박정민(가운데)씨가 의료진과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서남병원 완
-
[신성식의 레츠 고 9988] 존엄사 서약했는데 캘리포니아서 온 딸이 반대한다면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의사의 책무는 질병을 치료해 목숨을 살리는 일이다. 그런데 죽음을 얘기하는 의사가 있다. 환자의 바람직한 삶의 마무리를 강조하고 심지어 영적 돌봄에도 관여한다
-
코로나에 밀려난 말기암 환자들, 집에서 버티다 응급실행
“코로나19 전담병원이라 (암환자가) 입원할 수 없습니다.” 서울시 산하 한 시립병원은 18일 이렇게 안내했다. 공공병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
"코로나 병상에 밀려난 말기 암환자…응급실서 슬픈 마지막"
[일러스트=중앙DB] "코로나19 전담병원이라서 입원할 수 없습니다." 서울시 산하 한 시립병원은 18일 이렇게 안내했다. 서울시 시립병원 등 공공병원이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전환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100만명 돌파,가족결정 존엄사 58%로 여전히 높아
[중앙포토] 연명의료 중단 제도를 시행한지 3년 8개월만에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사람이 100만명을 돌파했다. 또 연명의료를 하지 않고 존엄사를 선택하고 숨진 사람은 17만
-
[더오래]나이들면 자동차 멀리해야 하는 이유 몇가지
━ [더,오래] 백만기의 은퇴생활백서(81) 1970년대 후반 강남에 대규모 아파트 공급을 가능하게 했던 아파트 지구 지정이 폐지될 예정이다. 주택 건설에서 주종을 이
-
[더오래]우리나라 국민 80% 안락사 찬성, 그러나 형법은…
━ [더,오래] 백만기의 은퇴생활백서(80) 2018년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된 후 우리나라의 죽음 문화에 관해 중앙일보에 글을 연재하고 있을 때다. 하루는 독자 한 사람이
-
[더오래]그저 오래 살고 싶다는 헛된 욕망 가진 분에게
━ [더,오래] 백만기의 은퇴생활백서(79) 올해 은퇴한 60세의 지인에게 소원을 물었더니 앞으로 15년만 건강하게 살았으면 좋겠다고 답한다. 젊었을 적에는 거의 죽음
-
[더오래]"손" 임종기 환자가 떠날 때 하는 마지막 말
━ [더,오래] 백만기의 은퇴생활백서(78) 임종기에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중지할 수 있는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된지 2월로 3년이 된다.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이 2020년 1
-
[신성식의 레츠 고 9988] 임종 직전 환자 132명이 연명의료 거부한 까닭은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나의 죽음을 미리 준비하고 삶을 마무리하는 기회를 갖고 싶어서-. 연명의료 중단, 즉 존엄사를 선택한 임종환자에게 “왜 그런 결정을 하셨나요”라고 묻기가
-
[더오래]일본, 죽을 곳 찾지 못하는 ‘임종 난민’에 골머리
━ [더,오래] 이형종의 초고령사회 일본에서 배운다(67) 2019년 일본의 출생자 수는 90만명이 깨졌다. 반면 연간 사망자는 약 140만명까지 늘어났다. 사망자는 20
-
[더오래]가지 않겠다는 부모 요양원 보내고 미국 돌아간 아들
━ [더,오래] 백만기의 은퇴생활백서(77) 연로한 부모를 요양원에 모신 후 돌보고 있는 이웃이 자신은 나중에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요양원에는 가지 않겠다고 한다. 그곳
-
[더 오래]안락사 선택, 교육수준 높은 부자가 더 많았다
━ [더,오래] 백만기의 은퇴생활백서(73) 옛날엔 오래 사는 것을 오복의 하나로 꼽았다. 당시에는 수명이 그리 길지 않았기에 모두 장수하는 것을 염원했을 것이다. 그렇다
-
암 사망 10명 중 3명은 연명의료 중단…40·50대 '스스로 결정' 많아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 연합뉴스 암 사망자 10명 중 약 3명은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단을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5세 미만 환자에서 연명의료 중단을 결정한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