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김포공항 이전 공약, 아무 조율 없이 나온 건 조금 문제”

중앙일보

입력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기지사 후보가 31일 오전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화성소방서 앞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스1]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기지사 후보가 31일 오전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화성소방서 앞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스1]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기지사 후보는 31일 김포공항 이전 논란과 관련해 “아무 조율 없이 이렇게 나온 것은 조금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김포공항 문제는 전체적으로 당 내에서도 조율을 좀 거쳐야 될 내용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과 같은 당 송영길 서울시장 후보는 정책협약을 맺고 김포공항 이전 공약을 발표했다. 김포공항을 인천 국제공항으로 통합하고 인천 계양과 경기 김포, 서울 강서 일대 수도권 서부를 개발한다는 내용이다.

이후 김포공항 이전이 서울 및 수도권 주민들의 편의성을 떨어트리고, 제주 관광 산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같은 당 오영훈 제주지사 후보도 “(김포공항 이전은) 대선 당시에도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당 공약에 넣지 않기로 한 사안”이라며 철회를 요구했다.

김 후보는 “자기 자신의 공약이 다른 지역의 공약과 관련되는 문제는 당 내에서 충분한 논의를 해야하는데, 그런 논의가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포공항 이전에 대해 특별하게 생각을 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그 문제에 대해 제 입장이 있지는 않다”면서도 “경기 남부에 국제공항을 만들어 성남이나 수원공항의 기능을 이전할 것”이라고 했다.

김 후보는 “(경기 남부에는) 충분한 수요가 있다. 경기도 인구가 1400만명이고 경기 남부에 1000만명 넘게 살고 있다. 사람, 승객에 대한 충분한 수요, 반도체의 수출 허브로써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공항 신설을 제가 공약으로 내세웠다”며 “인천공항이나 김포공항은 나름대로 기능이 있고, 경기 남부 국제공항은 반도체 수출의 허브가 될 것”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