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출생인구 39년만 최저…“인구절벽, 반전보다 적응해야”

중앙일보

입력

저출산 현상이 심화하며 올해 8월 출생아 수가 39년 만에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8월 출생아 수는 2만4408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9%(2973명) 감소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1년 이후 8월 기준 최소치다. 출생아 수는 2016년 4월부터 41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최저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 같은 출생아 수 감소는 혼인 감소와 맞닿아 있다. 8월 혼인 건수는 1만834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5.2% 감소했다. 8월 기준으로 역대 최저다. 저출산 심화와 혼인 감소가 동반하는 것은 앞으로의 출산 전망도 어둡다는 의미다.

반면 고령 인구가 증가하며 사망자 수(2만3677명)는 역대 2번째로 많았다. 이에 따라 인구의 자연증가분(출생아-사망자)은 730명에 그쳤다. 1983년 8월 이후 가장 작다.

향후 이런 현상이 지속하면 올해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연간 출생아 수가 30만 명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1~8월 누적 전국 출생아 수는 20만819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2만6214명)보다 8% 감소했다. 역대 최소 기록이다. 지난해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0.9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1명 미만을 기록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가까운 미래에 출산율 급락 추세를 반전시키기보다는 이에 적응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단기적으로는 외국인·노인 일자리를 확충하는 등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에 끌어들이고, 노동력 감소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부가 제조업 분야 혁신도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종=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