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에…서울 강서구·삼척·창원 3곳 선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월 17일 오전 울산광역시 남구 덕양 제3공장을 방문, 공장 관계자에게 수소생산 공정에 대해 설명을 들은 뒤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월 17일 오전 울산광역시 남구 덕양 제3공장을 방문, 공장 관계자에게 수소생산 공정에 대해 설명을 들은 뒤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강서구와 강원도 삼척, 경남 창원이 올해 ‘수소생산기지구축사업’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28일 발표했다. 올해 3개소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모두 18개 수소생산기지를 구축할 방침이다.

앞으로 이들 3개 지역은 수소제조설비와 설치비 등을 포함해 각각 국비를 48억5000만원까지 지원받는다. 생산기지는 다음달 착공해 내년 9월쯤 완공된다. 완공된 기지에서는 하루에 수소 1000㎏(서울 강서는 1300㎏)이 생산될 예정인데 이는 약 30~40대 버스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수소생산기지구축사업은 수소차와 수소버스 보급사업 지원을 위해 수소 수요가 많거나 부생수소(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에서 추출한 수소) 생산지 등 기존 수소생산기지와 거리가 먼 지역에 분산형 수소생산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산업부는 모두 11개 지역에서 신청을 받아 각 지역의 수소차 보급 및 충전소 구축 계획, 수소버스 보급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3개 지역을 최종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중 가장 많은 7대가 보급되는 서울에서는 강서구가 인근에 버스차고지가 많이 있어 수소생산기지로 선정됐다. 창원은 수소버스 5대가 보급될 예정이지만 기존 수소생산기지와 거리가 멀어 운송비용이 많이 드는 점, 삼척은 수소버스 보급 계획은 없으나 인근에 부생수소 생산시설이 전혀 없다는 점이 선정 사유로 꼽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소생산생산기지가 완공되면 수소 수요 인근 지역에서 직접 수소 생산과 공급이 가능해져 운송비가 절감되고 최종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하게 수소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