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의원 위안부 망언] "위안부는 직업 매춘부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일본 집권 자민당 의원이 “일본군 위안부는 직업으로서의 매춘부였다”는 망언을 했다. 한국 정부는 “역사 앞에서 부끄러운 줄도 모르는 일개 국회의원의 무지몽매한 망언에 대하여 일일이 대꾸할 일고의 가치도 느끼지 못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국 "일개 의원의 무지몽매한 망언"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14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기시다 일본 외무대신도 지난해 12월 28일 ´위안부 문제는 군의 관여하에 다수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깊은 상처를 입힌 문제로써 일본 정부는 책임을 통감한다´라고 일본 정부의 책임을 명확히 했고, 아베 총리 대신도 일본 내각총리 대신 명의로 피해자 분들에 대한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공개적 ㆍ공식적으로 표명하였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고자 한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조 대변인은 "이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피해자 분들의 마음의 상처에 다시 한 번 상처를 주는 일이 없고 합의의 후속조치를 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 지지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자민당 본부에서 열린 외교ㆍ경제 협력본부 등의 합동회의에서 사쿠라다 요시타카(櫻田義孝) 중의원 의원(전 문부과학 부대신)은 “위안부는 비즈니스다. 희생자인 척 하는 선전 공작에 (일본은) 너무 현혹당했다”는 주장을 폈다.

사쿠라다 의원은 “매춘 방지법이 전후(戰後)에 실시되기 전까지 매춘은 직업의 하나였다”며 “(위안부가) 매춘부였다는 것을 말하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것이 일본과 한국에 확산되고 있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자민당 의원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같은 사쿠라다 의원의 발언은 한ㆍ일 양국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합의를 한 지 17일 만에 나온 망언이다.  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28일 일본 정부가 합의내용이 착실히 이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 해결을 확인한다‘고 합의했다.

한국 정부는 합의문에 ’불가역‘이란 표현을 쓴 이유로 일본 정치인들이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을 최초로 인정한 고노 담화(1993년) 등을 부정하는 발언을 일삼는 것을 염두에 두고 ‘더 이상은 말을 바꾸지 말라’는 취지로 포함시킨 단어라고 설명해왔다.

일본 여당 의원이 망언이 ‘합의의 불가역성에 영향을 미치냐’는 질문에 조 대변인은 “정치인들의 망언은 계속돼서는 안 될 것이고, 이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후속조치가 원만히 신속히 착실히 진행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답했다. 조 대변인은 ”합의의 정신과 문항에 충실히 입각해 양국 정부가 일을 해 나가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도 이날 회견에서 기자들이 사쿠라다 의원의 발언에 대한 논평을 요구하자 “하나하나 의원의 발언에 답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지난해 한ㆍ일 외교장관이 합의한 것이 전부”라고 말했다.

도쿄=이정헌 특파원, 서울=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