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최경환 “제대는 시켜주시는 거죠” 박 대통령 “그래야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기사 이미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제대는 시켜주시는 거죠.”

개각 후보군 보고받았지만
박 대통령, 언급 없이 고민 중
노동개혁 법안 처리가 변수
참모들도 타이밍 가늠 못해

▶박근혜 대통령=“(웃으며)그럼요. 그래야죠.”

 세종시 정부종합청사에서 나도는 소문의 한 대목이다. 최 부총리가 보고차 박 대통령을 면담한 자리에서 “제대”를 언급하자 박 대통령(얼굴)이 흔쾌히 받았다는 얘기다.

 공교롭게도 최 부총리는 지난 10일 세종시 한 음식점에서 한 기재부 기자단 송년만찬에서 “만기 전역 날짜가 지났는데 전역증이 안 나온다. 제대는 시켜줄 것 같은데”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취임한 지 1년 반이 돼 가는데 10년같이 느낄 정도로 대내외 경제에 많은 일이 있었다”며 “안 해 본 일 없이 고군분투했고 전천후 소방수 역할을 요구받은 한 해였다”고도 회고했다. 그러면서 “수출이 조금만 받쳐줬으면 3% 후반, 4% 가까운 성장률을 기록했을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최 부총리의 농담에서도 드러났듯 개각이 임박한 분위기다. 여권의 핵심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노동개혁법안과 경제활성화법안 처리에 신경을 쓰고 있어 변수가 있지만 다음주 초 개각을 하고 법안 처리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청와대 내부에선 “박 대통령이 워낙 법안 처리에 큰 비중을 두고 있어 시간을 두고 개각을 구상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최근 개각에 대해선 전혀 언급이 없다”며 “노동개혁이 절박한 만큼 좀 더 시간을 두려는 분위기도 있다”고 전했다.

 현재 개각 대상자와 후보군에 대한 보고서는 박 대통령에게 이미 전달됐다고 한다. 최 부총리가 다음주 중반께로 예상되는 ‘2016년도 상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하고 난 뒤 개각이 이뤄질 것이란 분석도 있다. 개각 타이밍을 가늠하는 근거인 공직자 사퇴시한이 다음달 14일인 만큼 인사청문회 기간을 감안해 역산해 보면 크리스마스 이전에만 하면 시간적으론 가능하다는 것이다.

 평소 인사 보안이 철저한 박근혜 정부지만 이번 개각에선 유난히 보안 단속을 더 심하게 하고 있다고 참모들이 전했다. 실제 참모들은 인사 대상자는 물론 시기조차 예상하지 못하는 ‘깜깜이’ 상태다. 정연국 대변인은 11일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개각 관련 질문에 일곱 차례나 “모른다”고 했다.

 ◆박 대통령, 노동개혁법안 압박=박 대통령은 12월 임시국회에서 노동개혁법안과 경제활성화법안의 크리스마스 이전 처리를 위해 강공 드라이브를 걸 예정이라고 한다. 다음주로 예정된 수석비서관회의와 경제관계장관회의 등을 직접 주재하면서 강도 높은 발언을 쏟아낼 것이라고 참모들은 전했다. 임시국회 회기가 내년 1월 8일까지지만 연말·연초에는 의원들이 지역구 활동에 집중해야 하고 시간을 끌수록 법안 처리를 위한 동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이날 ‘긴급 재정·경제명령을 검토하고 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대통령이 중대한 경제·재정 위기로 긴급한 조치가 필요할 때 공포한 뒤 곧바로 국회 승인 절차를 밟는 긴급 재정·경제명령은 김영삼 정부에서 금융실명제를 전격 발표했을 때 마지막으로 사용했다.

신용호·이가영 기자, 세종=조현숙 기자 nov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