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추린 뉴스] 통통한 50대, 마른체형보다 오래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기사 이미지

마른 사람이 살이 찐 사람보다 오히려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신곤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팀은 2002~2010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가입자 중 30세 이상 100만명을 추려내 질병·건강행태와 사망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비만의 역설’이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의 체질량지수(BMI·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비만 정도를 추정하는 계산법)와 사망위험률을 비교했다. 과체중(BMI 23~24.9)의 사망 위험을 1이라고 가정할 때 그보다 살이 찐 중증도비만(BMI 25~26.4, 일부 구간)의 위험률은 0.86으로 떨어졌다. 반면 저체중(BMI 18.5 미만) 환자는 2.24로 올라갔다. 김신곤 교수는 “살이 찌면 고혈압·당뇨 등 여러 질병이 생기는 건 맞지만 그만큼 본인의 건강 상태를 빨리 확인할 수 있다. 조기 치료와 건강 관리 때문에 사망 위험이 낮아지게 된다. 다만 BMI 30 이상의 고도비만이 되면 사망 위험이 1을 훌쩍 넘어서기 때문에 살을 빼는 게 좋다”고 말했다.

 체중과 사망 위험의 상관성은 고연령대에서 더 높았다. 30~49세에선 저체중(1.38)과 고도비만(1.39)의 사망위험률이 거의 비슷했다. 반면 50세 이상은 저체중이 과체중보다 2.9배나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근육과 지방은 노인을 면역질환 등으로부터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