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중 릴레이 정상회담 … 북 비핵화 ‘삼각 압박’ 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 방문(2~4일) 이후 ‘통일외교’에 본격적인 시동을 건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일 귀국하는 전용기(공군 1호기)에서 기내 간담회를 하고 “가능한 한 조속한 시일 내에 평화통일을 어떻게 이뤄 나갈 것인지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며 “평화통일은 주변국의 동의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6일 “통일 논의는 중국만을 상대로 한 형태라기보다 미국·일본·러시아 등 주변국들과 함께 논의하게 될 것”이라며 “그중에서도 미국과 중국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평화통일에 대한 논의 자체가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태용 외교부 1차관도 5일 방송에 출연해 “(한·미·중) 삼각 정상회담, 그리고 10월 하순이나 11월 초가 되면 한·중·일 정상회의도 열리게 돼 있다”며 “비핵화 대화를 다시 한 번 살려 보고 북한의 비핵화를 압박하기 위한 고도의 전략적 논의가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차관이 말한 것처럼 한·중 정상회담 후 북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정상외교 일정이 줄지어 있다. 9월 말에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을 방문해 미·중 정상회담을 한다. 10월 16일에는 박 대통령이 미국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한다. 한·중→미·중→한·미로 이어지는 ‘연쇄 삼각 정상회담’ 일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주변국의 동의를 언급한 것은 이 같은 정상회담 일정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중 간에는 앞으로 4개의 전략대화채널이 가동될 것이라고 한다. ①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간 대화 ②2+2(외교부 국장급+국방부 부국장급) 외교안보대화 ③국책연구기관 합동전략대화 ④정당 간 정책대화 등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새 채널을 만들기보다는 기존에 있던 채널들을 풀가동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 4개 채널은 2103년 6월 박 대통령과 시 주석 간의 첫 정상회담에서 만들어졌다.

 연쇄 정상외교에서 박 대통령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재개의 실마리를 찾을지도 관심이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지난 2일 정상회담 후 “의미 있는 6자회담이 조속히 재개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발표했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차례로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만난다. 한·미·중 정상이 6자회담 재개를 위해 공을 들일 경우 북한 비핵화를 논의하기 위한 6자회담은 급물살을 탈 수 있다. 물론 어떤 경우든 북한이 도발을 하지 않고 대화외교에 나서느냐가 가장 중요한 변수다.

신용호·안효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