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의원들 초기 병원 비공개 추궁 “장관이 최종 결정했나” … 문형표 “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23일 “어떠한 경우에든 책임을 회피할 생각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문 장관은 이날 국회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이 “(메르스 사태에 책임지고) 사퇴할 의향이 없느냐”고 묻자 이렇게 답변했다. 문 장관이 메르스 사태 와중에 책임 문제에 대해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문 장관은 “다만 지금 제가 해야 할 일은 메르스 사태를 최선을 다해 조속히 마무리 짓는 일”이라고 했다. 문 장관은 “초기에 병원 명단을 공개하지 않기로 한 것은 누구의 결정이냐”는 새정치연합 남인순 의원의 질문엔 “의료계·병원·전문가 등의 자문을 통해 판단을 내렸다”고 답했다. 남 의원이 “최종 결정은 장관이 했다는 거냐”고 다시 묻자 “네, 제가 수용한 것”이라고 했다. 새정치연합은 “병원명 비공개 결정을 문 장관이 내렸음을 인정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날 2013년 4월 보궐선거(서울 노원병) 당선 뒤 대정부질문에 처음 나선 안 의원은 “정부는 (재난이 발생하면 경보 수준을 탄력 조정하는) 감염병 관리 기본원칙을 준수하지 않았고, 해외에서 대규모 병원 감염에 대한 사전 경고가 있었지만 이를 무시했고, 사태 초기에 컨트롤타워를 만들지 않았고, 평택성모병원의 실수를 삼성서울병원에서도 반복하도록 만든 것이 4대 실책”고 비판했다.

 문 장관은 “메르스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갖지 못해 세계보건기구(WHO)의 매뉴얼에 맞춰 조치했다”며 “메르스를 조기에 빨리 안정시키지 못한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안 의원=“감시 대상이 아닌 환자 중 확진자가 나온 건 국가방역 망이 뚫린 것 아닌가.”

 ▶문 장관=“네.”

 ▶안 의원=“대통령에게 보고했나.”

 ▶문 장관=“네.”

 ▶안 의원=“그런데 조치가 미진했으니 별다른 지시가 없었던 것 아닌가.”

 ▶문 장관=“많이 걱정하셨다. (다만) 보건복지부가 대책본부이기 때문에 정책 결정의 책임을 맡았다.”

 문 장관은 “한국에서 예외적으로 메르스가 크게 확산된 것은 국내 병원 문화가 원인”이라며 “병원 쇼핑 문화, 밀집한 응급실 운영, 병문안, 간병 문화 등으로 병원 내 확산을 통제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지상 기자 groun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