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화 중단 남측에 책임 떠넘기기 … 정부는 유감 표명

중앙일보

입력

북한이 6ㆍ15 공동선언 발표 15주년을 앞두고 연일 남북관계 파탄의 책임을 남측에 돌리면서 “말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이라”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4일 “최악의 북남관계”라는 표현을 쓰며 “사대 매국노들을 고발한다. 우리 민족끼리의 이념을 외면할 때 북남관계는 곡절을 겪게 되고 불신과 대결이 격화되며 나중에는 전쟁이 터지게 된다”고 주장했다.

전날인 3일엔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이 담화를 내고 “남북관계 파탄 책임은 전적으로 외세와 함께 대북 압박 및 제재와 합동 군사훈련을 벌인 남측에 있다”며 “말로만 대화하자는 서푼짜리 타령을 할 게 아니라 실지 행동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ㆍ미연합군사훈련 중단을 촉구하며 박근혜 대통령을 포함해 정부 고위직 인사들을 실명 비난해온 기조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대북 전문가들은 풀이했다. 노동신문과 조평통 담화는 수위가 높은 표현을 동원해가며 “북남관계의 극도의 불신과 대결상태”를 남측 정부의 탓으로 돌렸다.
이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정부는 일관되게 북한에게 대화를 제의해왔다며 7ㆍ4 남북공동성명과 남북기본합의서, 6ㆍ15 공동선언 및 10ㆍ4 공동선언의 모든 (남북) 합의를 존중하며 만나서 대화를 통해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협의하자고 여러차례 입장을 밝혀왔다”고 말했다.

또 “우리 정부는 지난 5월1일 올해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민족 동질성을 회복하고 문화ㆍ역사ㆍ스포츠 등 다방면에서의 교류를 장려한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며 “북한이 한ㆍ미군사연습 중단 등의 부당한 전제조건을 내걸며 대화 중단 책임을 우리 정부에 전가하고 비방ㆍ중상을 계속 하는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북한의 입장을 반박했다. 동시에 “북한은 이제라도 억지주장을 그만하고 우리측 제의에 조건없이 나와서 한반도 평화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