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스위치피처 '최우석 룰' 발표

중앙일보

입력

'최우석 룰'이 만들어졌다.

KBO는 5일 한국 프로야구 사상 첫 스위치피처 도전로 화제가 된 최우석(22·한화)과 관련한 규정을 발표했다. KBO는 지난 3일 KBO 회의실에서 공식 야구규칙 및 KBO리그 규정과 관련한 규칙위원회 심의를 열었다. 이날 발표된 규정은 미국에서 만들어진 '밴디트 룰'과 비슷하다. 미국프로야구심판위원회는 2008년 스위치피처 밴디트(30)가 스위치타자를 상대하면서 신경전을 벌이자 '투수가 어느 손으로 던질 지 결정하고, 타자가 타석 위치를 정한다'는 밴디트 룰을 만들었다.

KBO는 투수가 투구할 손의 반대쪽에 글러브를 착용해 어느 손으로 던질지를 먼저 표시해야 하며, 같은 타자를 상대하는 동안은 손을 바꿀 수 없도록 했다. 타자가 타격을 종료하거나 대타가 나와 바뀌거나 투수가 다쳤을 때는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대신 부상으로 동일 타자 타격중 손을 변경하면 이후 경기가 끝날 때까지는 그 손으로만 던져야 한다. 이닝 도중 손을 바꿀 때는 연습투구를 할 수 없다는 조항도 추가되어 있다. KBO는 그밖에도 타순표와 부상으로 인한 선수 교체 등에 대한 규정 변경을 발표했다.

김효경 기자 kaypubb@joongang.co.kr

1. 공식 야구 규칙 8.01 정규의 투구 (f) ? 스위치투수 관련 조항 추가

투수는 투수판을 밟을 때 투구할 손의 반대쪽 손에 글러브를 착용함으로써 주심, 타자, 주자에게 어느 손으로 투구할 것인지를 명확히 표시해야 한다. 투수는 동일 타자를 상대하는 동안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수 없다. 단, 타자 아웃, 타자가 주자가 될 경우, 공수교대가 될 경우, 대타가 나올 경우, 투수가 부상당할 경우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수 있다. 투수가 부상으로 동일 타자의 타격중에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경우, 그 투수는 이 후 경기에서 물러날 때까지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수 없다. 투수가 이닝 도중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경우 투수는 연습투구를 할 수 없으며, 글러브를 교체할 수 없다. 단, 양손글러브는 허용한다.

2. KBO 리그 규정 제15조 2항 타순표의 교환 및 발표

가. 경기개시 전 출장선수 명단과 공식타순표를 교환 및 제출한 후에는 경기시작 전까지 이를 철회하거나 변경할 수 없다. 단, 아래와 같은 경우 교체가 가능하다.
① 미도착 등으로 인하여 불출장 한 경우 (해당선수가 지명타자일 경우 지명타자 사용불가)
② 심판진이 명백한 부상으로 인정한 경우 (해당선수가 지명타자일 경우 지명타자 사용가능)

나. 경기 중 선발 또는 구원투수가 심판진이 인정한 명백한 부상으로 인해 등판 후 첫타자 또는 그 대타자가 아웃 되거나, 출루하거나 공수교대가 될 때까지 투구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교체가 가능하다.

다. 교체는 아래와 같이 하여야 한다.
① 투수
가) 우투수 → 우투수
나) 좌투수 → 좌투수
다) 사이드암 및 언더핸드 → 사이드암 및 언더핸드 (좌/우 동일적용)
② 타자
가) 우타자 → 우타자
나) 좌타자 → 좌타자

라. 해당 선수들은 교체 후 당일 경기출장이 금지된다.(당일경기 불출장 간주) 교체선수명단에 좌.우 동일타석을 사용하거나, 좌.우 동일한 유형으로 투구하는 선수가 없을 경우에는 예외(스위치 타자도 예외 적용)로 한다.

3. 기타사항
가. 마운드 후면 로고 데코레이션 허용
- 구단 모자 로고에 한하며 색깔 변경은 가능하나 흰색 사용 불가
- 마운드 내 투수판 뒤쪽에 크기 60cm X 60cm 이하의 페인팅 색칠에 한함
나. 베이스 광고 허용
- 베이스 측면에 크기 17cm X 3cm 이하의 팀 명칭과 로고에 한함
다. 외야 펜스 바탕색 - 유색 허용
라. 선수 복장 규정
- 언더셔츠, 스파이크 : 구단별 색상 통일
- 암슬리브(팔토시) : 언더셔츠와 동일 색상에 한함, 상표 표시 불가
- 위반시 1차 경고, 2차 제재금 20만원, 3차 제재금 30만원, 4차 이후 제재금 100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