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키워드로 보는 사설

수능 난이도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비판이 거세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수능 난이도 조절에 또다시 실패했기 때문이다. 가채점 결과, 자연계 수험생들이 주로 치르는 수학 B형의 만점자 비율이 4%를 넘을 것이라 한다. 한 문제만 틀려도 1등급을 받지 못하게 된 것이다. 국어 A형의 1등급 기준선과 영어의 1등급 컷은 각각 97점, 98점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현장은 대혼란에 빠졌다. 수능 변별력이 사라지자 논술 등 수시모집에 인원이 대거 몰려들었다. 이에 따라 관련 사교육 분야가 주목을 받고 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수능 변별력 확보와 사교육시장 억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친 셈이다.

 2012년 이후, 과목당 만점자를 1% 내외로 나오도록 하는 ‘쉬운 수능’은 정부의 일관된 기조였다. 수능이 쉬워야 학교 교육 만으로도 수능에서 좋은 점수 받을 수 있고, 그래야 사교육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올해 수능의 주요과목 만점자수는 무려 4%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되면 논술과 면접 등 다른 사교육 요소에 대한 의존도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평가원이 수능 난이도 조절에 계속 실패하자, 사회 곳곳에서는 수능을 절대평가로 바꾸고 출제방식을 문제은행식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수능을 최소 자격기준으로만 삼고, 학생부 등 다른 요소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총리실 직속기관으로 교육부의 예산지원을 받으나, 정작 관리 감독은 받지 않는 평가원의 위상을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