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커지는 화면, 잡스의 예언은 틀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을 대중화한 주인공은 누가 뭐래도 고(故) 스티브 잡스(사진) 애플 창업자다. 하지만 잡스가 세상을 떠난 이후 2년8개월 만에 스마트폰 디자인의 철칙으로 세웠던 ‘최적 사이즈=3.5인치’는 시대 뒤편으로 밀려나고 있다.

아이폰의 경쟁 제품인 삼성전자 갤럭시S5, LG전자 G3 등은 모두 화면이 5인치를 넘어섰다. 2007년 1월 출시 당시에 가장 큰 화면을 자랑했던 아이폰은 2012년 출시된 아이폰5부터 화면 크기를 4인치로 키웠지만 지금은 가장 화면이 작은 스마트폰 중 하나다.

 잡스가 2010년 아이폰4를 발표하면서 “인치당 화소수(ppi)가 300를 넘어서면 일상적인 거리에서 인간의 눈은 각각의 화소를 구분할 수 없다”고 강조했던 레티나(망막) 디스플레이도 빛이 바랬다. 326ppi의 1136×640 해상도인 아이폰 화면은 출시 당시엔 최고라는 평을 받았지만 이제는 풀HD(1920×1080) 화면을 장착한 갤럭시S5나 소니의 엑스페리아 Z2 등 경쟁 기기에 밀리는 형편이다. 심지어 G3는 풀HD보다 해상도가 두 배 더 높은 QHD(2560X1440) 화면을 달고 나왔다.

왼쪽부터 갤럭시S5, G3, 아이폰5S.

 애플은 갤럭시 노트 시리즈 등 대형 화면을 장착한 스마트폰 시장을 되찾기 위해 5.5인치 대화면을 채택한 ‘아이폰 6S(가칭)’를 올 9월 내놓을 예정이다. 잡스가 생전에 “(너무 커서 사용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아무도 사지 않을 것”이라고 조롱했던 크기다.

잡스 생전에는 아무도 손댈 수 없었던 ‘신의 크기’이던 3.5인치가 이제는 너무 작다는 사실을 애플도 인정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스마트폰은 6인치대를 넘어 7인치까지 커지고 있다. 어디까지 커질지는 아무도 모른다. 비교적 손이 작은 한국인의 경우 6인치를 넘나드는 스마트폰은 한 손으로 조작하기 불편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 크기에서 풀HD나 QHD 해상도를 사람의 눈으로 구분하기 어려운데 굳이 고해상도 화면을 쓰는 것은 상술일 뿐이라는 지적도 있다. 가톨릭대 서효중 교수는 “스마트폰 화면 경쟁은 돌돌 말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휘는) 디스플레이, 안경 모양의 웨어러블(입는) 디스플레이 등이 대중화돼야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