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상의 물가-심한 격차-가계서 느끼는 물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물가 지수상의 물가는 안정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가계에서 실감되는 물가는 몹시 오름세를 보여 물가 지수와 현실과의 괴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금년 들어 10월말까지 도매 물가 지수는 6·4%, 소비자 물가 지수는 9·0%가 오른데 불과하나 그러나 일반 가계에서 많이 쓰는 생필품 값은 10∼20%의 등귀율을 보이고 있으며 값이 내리거나 보합세인 것보다도 오른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
일반 가계에서 가장 많이 쓰는 35개 생필품의 지난 9개월간의 소비 가격 경향 (기획원 조사)을 보면 값이 내린 것이 고추·감자·김 등 4개 품목, 보합세인 것이 밀가루·석유·간장·라면·두부 등 9개 품목인데 반해 값이 오른 것은 주식인 쌀을 비롯하여 배추·연탄·무우·광목·소금 등 23개 품목이나 된다.
값이 오른 품목 중엔 무우의 99·0%를 비롯하여 광목 48·1%, 사과 40·7%, 콩 38·6%, 멸치 36·4%, 쇠고기 35·5%, 배추 33·3% 등 30% 이상이 오른 것도 있으며 쌀은 14·3%, 콩나물은 20·0%, 소금은 10·3%가 올랐다. 이렇게 가정에서 많이 쓰는 생필품이 크게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물가 지수가 1월부터 10월까지 도매 6·4%, 소비자 9·0%의 안정세를 보이는 것은 물가 조사 품목과 방법, 또 가중치 등이 현실과 다른 거리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물가 지수 개편 때마다 쌀·보리쌀·달걀·사과 등 음식품의 가중치를 낮춰 왔는데 금년엔 이런 음식품 값이 가장 많이 오름으로써 물가 지수와 가계 물가와의 괴리를 더욱 벌어지게 한 것이다.
10월말 현재 전국 소비자 물가의 식료품 비는 작년 말보다 10·8% 상승된데 비해 식료품이외의 전 품목은 7·0%가 올랐다.
정부는 이런 물가 지수와 현실 가계와의 괴리를 줄이기 위하여 내년부터 기준 연도를 현 70년에서 75년으로 바꾸면서 각 품목별 가중치를 개편하고 ②조사 대상 품목도 현 도매 5백23개, 소비자 3백38개에서 각각 1백개 품목씩을 더 늘릴 계획으로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