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진으로 보는 2018 지구촌,트럼프에서 마크롱까지…그리고 기적과 좌절

    사진으로 보는 2018 지구촌,트럼프에서 마크롱까지…그리고 기적과 좌절

    올 한해도 외신뉴스는 쉴 틈 없이 쏟아졌다. 지구촌이 하루 생활권으로 묶이면서 세계 76억 인구는 주요 외신뉴스를 24시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다.    한 달간 전 세계인의

    중앙일보

    2018.12.29 06:00

  • [서소문 포럼] 외교안보 2019년 문제

    [서소문 포럼] 외교안보 2019년 문제

    오영환 군사안보연구소 부소장 논설위원 한반도는 격동의 한 해를 보내지만 정세는 유동적이다. 극적인 긴장 완화가 이뤄졌지만, 평화의 주춧돌까지 놓지 못했다. 북한 비핵화, 평화체제

    중앙일보

    2018.11.28 00:33

  • [아탈리 칼럼] 폭력의 귀환

    [아탈리 칼럼] 폭력의 귀환

    자크 아탈리 아탈리에아소시에 대표 플래닛 파이낸스 회장 온통 폭력이다. 사회 곳곳에서 폭력이 목격되는 것은 프랑스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폭력은 여성, 동성애자, 언론인, 교

    중앙일보

    2018.11.02 00:40

  • [분수대] 트럼프의 INF 시즌2

    [분수대] 트럼프의 INF 시즌2

    김수정 논설위원 “신뢰하되 검증하라(Trust, but verify).” 로널드 레이건 미 대통령이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 옛소련 공산당 서기장과의 핵 군축 협상 때

    중앙일보

    2018.10.24 00:17

  • [사설] 미국은 중·러와 신냉전 가는데 우리만 무장해제하나

    냉전이 부활되는 불길한 조짐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1987년 미·소 간에 체결된 중거리핵전력조약(INF) 파기 의사를 밝힌 것이다. INF는 사거리 500~5500㎞인

    중앙일보

    2018.10.23 00:15

  • 美 볼턴, 러시아 도착…핵전력조약 탈퇴·북핵문제 논의 전망

    美 볼턴, 러시아 도착…핵전력조약 탈퇴·북핵문제 논의 전망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연합뉴스]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21일(현지시간) 독립국가연합(CIS) 국가 순방 일정 첫 방문국인 러시아에 도착했다.  

    중앙일보

    2018.10.22 06:39

  • 냉전시대 끝낸 ‘미·러 핵협정’ … 트럼프 31년 만에 파기 선언

    냉전시대 끝낸 ‘미·러 핵협정’ … 트럼프 31년 만에 파기 선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미국과 구 소련 간에 체결했던 '중거리 핵전력(INF) 폐기 조약'을 파기할 뜻을 밝혔다.   트럼프 대

    중앙일보

    2018.10.21 15:24

  • 흐루쇼프, 44세 케네디 애 취급…핵전쟁 위기 부른 '빈 회담'

    흐루쇼프, 44세 케네디 애 취급…핵전쟁 위기 부른 '빈 회담'

     ━  [정효식 특파원의 아하! 아메리카]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가 1950년 정상회담(Summit)이란 용어를 만든 건 최종 결정권자인 정상간 협상이 전쟁을 피할 수 있

    중앙일보

    2018.05.02 00:34

  • 푸틴 공격, 트럼프 반격, 시진핑 추격 … 다시 미사일 전쟁

    푸틴 공격, 트럼프 반격, 시진핑 추격 … 다시 미사일 전쟁

     ━  지구촌 군축 이상징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연례 의회 국정연설에서 신형 핵미사일 개발을 발표했다. 2시간여 국정연설 중 45분을 발표에 할애

    중앙선데이

    2018.03.04 01:18

  • [1985.03.11]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 올라

    [1985.03.11]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 올라

    인물1985.03.111985년 소련 공산당 체르넨코 서기장 뒤를 이어 미하일 고르바초프(당시 54)가 새 서기장에 올랐다. 부분적으로 시장경제를 도입하고, 그의 글라스노스트(개방

    아워히스토리

    2015.09.17 17:04

  • [해외칼럼] 핵무기여 잘 있거라

    [해외칼럼] 핵무기여 잘 있거라

    미하일 고르바초프전 소련 대통령 25년 전 나는 로널드 레이건 당시 미국 대통령과 아이슬란드 수도 레이캬비크에서 미·소가 핵무기를 점진적으로 감축해 2000년에는 모두 폐기하자는

    중앙일보

    2011.10.17 00:49

  • 푸틴 "핵전력 강화" 군에 지시

    푸틴 "핵전력 강화" 군에 지시

    그래픽 크게보기 블라디미르 푸틴(사진) 러시아 대통령이 군부에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 대응해야 한다며 핵 전력 강화를 직접 지시했다. 푸틴은 올해 들어 "미국이 일방주의적 세계

    중앙일보

    2007.11.22 05:12

  • "달에 공동기지 건설 때까지는 러·미, MD 공동운영 힘들 것"

    미국과 러시아의 외교.안보 갈등이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미국의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이 12~13일(현지시간) 러시아를 찾아 대화를 했음에도 동유럽

    중앙일보

    2007.10.15 04:52

  • 10년간 핵탄두 70% 없애기로

    미국과 러시아가 양국이 보유한 전략 핵탄두의 수를 현재 규모의 3분의 1 이하로 줄이기로 합의한 것은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의 표현대로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냉전(戰)의

    중앙일보

    2002.05.14 00:00

  • [역사를 바꾼 정상회담] 中. 인내심 게임

    정상회담은 성사되기도 어렵지만 결실을 보기는 더욱 힘들다. 역사 속의 정상회담들은 눈앞의 성과에 집착하지 말라는 교훈을 준다. 장기적 안목과 인내력을 바탕으로 한걸음 한걸음 내딛은

    중앙일보

    2000.05.31 00:00

  • [세계의 주요 정상회담 일지]

    ▶1955.9 아데나워-후르시초프 (서독.소련 국교수립) ▶1957.11 마오쩌둥-흐루시초프(중.소 관계 악화) ▶1961.6 케네디-흐루시초프(동서문제 합의) ▶1970.3 브란

    중앙일보

    2000.05.30 00:00

  • [월간중앙] 외자유치 '매국'인가 '국부창출'인가

    외국인투자는 악마도 천사도 아니다. 따라서 무조건적인 수용 반대도 곤란하지만 외국인투자지상주의도 곤란하다. 불안정한 글로벌화가 급진전되는 때일수록 정신을 차리고 주체성과 분별력을

    중앙일보

    2000.05.15 21:33

  • 오코노기 마사오 게이오대 교수

    럽의 냉전이 급속히 아시아로 파급된 것과 같이 87년12월의INF(중거리핵전력)교섭 타결이래 냉전종결도 유럽에서 아시아로이어졌다.특히 획기적인 의미를 가진 일은 89년5월 미하일

    중앙일보

    1994.01.03 00:00

  • 「끝내기」 들어간 탈냉전/STARTⅡ 타결 무얼 뜻하나

    ◎미 “의욕”­러 “경제난” 일치/구소권 핵은 클린턴의 숙제로 29일 양국 외무장관이 합의한 미­러시아간 제2단계전략무기감축협정(STARTⅡ)는 2차대전이후 이른바 냉전이라는 이름

    중앙일보

    1992.12.30 00:00

  • “소 INF 협정 위반”/베이커 미 국무 비난

    【워싱턴=연합】 제임스 베이커 미 국무장관은 지난 13일 모스크바 주재 미국대사관에 보낸 비밀전문에서 소련측이 88년 체결한 중거리핵무기폐기(INF) 협정을 지키지 않고 거짓말하고

    중앙일보

    1991.07.24 00:00

  • 7년 걸쳐 전략핵 30% 감축/마무리진 미·소 START

    ◎유효기간 15∼20년 화해시대 예약/미 신국제질서 주도 소서 승인한셈 제임스 베이커 미 국무장관이 16일 미·소간의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이 완전타결 됐다는 보도를 부인했지

    중앙일보

    1991.07.17 00:00

  • 전문가 진단/90년대의 변화/30문 30답:1

    ◎이데올로기 퇴조 동서공존 시대로 90년대의 문턱에 들어선 지금 우리는 아직도 계속되는 역사의 격변속에서 불가측의 시대를 살고 있다. 유럽에선 반세기 가까이 계속된 동서냉전의 견고

    중앙일보

    1990.01.06 00:00

  • 우방영향력 감소 우려|대소 화해에 "미온적"|재검토되는 부시의 대 소련정책

    「고르바초프」소련공산당서기장의 잇따른 대 서방 평화공세가 갓 태어난「부시」미행정부의 신속한 대소정책 정립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20일 취임한「부시」미대통령은 선거운동 기간 중 줄

    중앙일보

    1989.01.24 00:00

  • 소, 중거리 핵미사일 파괴 개시

    【모스크바=연합】소련은 1일 미소간 INF(중거리 핵전력)폐기협정에 따라 미국측 참관인단이 지켜보는 가운데 처음으로 SS-12미사일들을 파괴하기 시작했다고 소련관영 타스통신이 보도

    중앙일보

    1988.08.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