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울 주택가 주차장 확보 비상-거주자 우선주차제 내달시행

    이달부터 서울시내 곳곳 단독주택과 빌라 밀집지역에서 대문.담장을 헐어내는 공사가 시작된다.뿐만 아니라 주택가 곳곳의 소공원 지하도 조만간 주차장으로 바뀔 전망이다. 7월부터 시내

    중앙일보

    1996.06.03 00:00

  • 서울도심재개발 주거복합건물 용적률 최고1천2백%까지 확대

    앞으로 서울도심재개발구역내에서 주거복합 형태로 건물을 지을 경우 연건평을 지금보다 20%정도 더 늘릴 수 있게 된다. 또 건물신축때 일정비율 이상의 주거용을 반드시 짓도록한 주거복

    중앙일보

    1996.03.27 00:00

  • 서울 「종일 교통체증」갈수록 심화

    지난해 10월부터 계속된 도심지 불법주차단속 차량의 도심지 운행기피 현상등으로 도심지 차량운행속도가 지난해에 비해 13%정도 빨라졌으나 서울시 전체도로의 차량속도는 오히려 1·3%

    중앙일보

    1991.09.27 00:00

  • 명암 엇갈린 강남-북>

    올해 신년 연휴가 끝나기 무섭게 서울시가「강남-북 균형발전 종합대책」이란 계획을 요란스레 발표했다. 당시 서울시가 마련한 주요 균형 발전 계획은 강북지역의 ▲용적률·건폐율을 강남수

    중앙일보

    1990.11.26 00:00

  • 밥솥·코피포트 등 7개 제품 무료교환

    1백V전용 전기제품의 생산이 93년부터 전면 금지되고 96년까지는 전국 모든 가정에 2백20V전기가 들어간다. 공업 진흥청은 지난25일 1백V 전기제품 생산을 마지막으로 허용해왔던

    중앙일보

    1988.11.03 00:00

  • 14개 주요 간선도로변 뱀탕·보신탕 영업못해

    4대문안 전지역을 비롯해3급이상의 관광호텔, 각경기장 주변 5백m이내, 외국인들이 자주 통행하는 14개 주요간선도로변에서는9월21일부터 뱀탕및 보신탕·개소주· 토룡탕·굼벵이탕·용봉

    중앙일보

    1983.08.02 00:00

  • 강북지역건축 계속 억제

    건설부는 15일부터 건축억제조치를 전면 해제했으나 서울의 강북지역에서는 도심부인구과밀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건물의 신축이 계속 억제된다. 서울에서 건축이 계속 규제되는 것은 판매

    중앙일보

    1979.11.16 00:00

  • 4대문안 일반 가정의 취사연료 연말까지 『가스』·유류화|14개동 1,700여 가구

    4대문안 모든 업소의 조리 및 난방연료와 일반가정의 취사용 연료가 연말까지 「가스」 또는 유류로 바뀐다. 77년부터 연료 전환 시책을 추진중인 서울시는 21일 종로·중구 전역과 동

    중앙일보

    1979.04.21 00:00

  • 수도권 공장 신증축땐 각종 세금 5배로

    정부는 수도권 인구 억제를 위해 서울 강북 지역에 고교 신설을 금지하고 올해부터 공동학군을 축소 조정, 81년부터 강남·강북의 학군을 점차 분리키로 했다. 3일 관계부처에 시달된「

    중앙일보

    1978.01.24 00:00

  • 도심건물옥상광고물설치금지|서울시, 정비방안마련 이미 있는 곳도 철거

    서울는 18일 도심에 난립한 광고물공해로부터 도시미관과 주거환경을 보호키위해 도심권(4대문안)의 건물옥상에 광고탑을 시설치 못하도록 규제하고 이미 허가 설치된 옥상광고를드 이전 또

    중앙일보

    1976.02.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