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산모와 아이 모두 환경호르몬에 노출되는 ‘나쁜 습관’

    산모와 아이 모두 환경호르몬에 노출되는 ‘나쁜 습관’

    경희대학교(총장 한균태) 간호과학대학 김주희 교수 연구팀이 ‘국내 산모의 모유와 소변 중 환경호르몬 노출 실태와 생활 습관의 연관성’에 대한 논문 네 편을 발표했다. 환경호르몬은

    중앙일보

    2021.05.12 16:48

  • 용산구, 쓰레기 대란 막는다…전년 대비 4천톤 감량 추진

    용산구, 쓰레기 대란 막는다…전년 대비 4천톤 감량 추진

    지난해 용산구 생활쓰레기 발생량은 3만2680톤. 이 중 67%(2만1800톤)을 마포자원회수시설, 33%(1만880톤)을 수도권매립지로 보냈다. 문제는 수도권매립지 ‘반입총량제

    중앙일보

    2020.03.27 11:51

  • 커피전문점·패스트푸드점 매장내 일회용컵 사용량 72% 감소

    커피전문점·패스트푸드점 매장내 일회용컵 사용량 72% 감소

    지난해 5월 일회용컵 줄이기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이후 커피전문점과 패스트푸드점 매장내 일회용컵 사용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뉴스1] 커피전문점과 패스트푸드점 매장

    중앙일보

    2019.06.04 09:38

  • 플라스틱컵 못쓰는데...동네카페 "점심 때 150잔 설거지 누가?"

    플라스틱컵 못쓰는데...동네카페 "점심 때 150잔 설거지 누가?"

    30일 서울시내의 한 카페에서 고객들이 일회용컵에 담긴 음료를 마시고 있다. 김정연 기자   30일 서울시청 인근의 한 카페. 15개 테이블 중 14 테이블에 앉은 사람들이 일회

    중앙일보

    2018.07.31 14:21

  • 1회용 컵 보증금 10년 만에 부활 추진…‘쓰레기 대란’ 대책

    1회용 컵 보증금 10년 만에 부활 추진…‘쓰레기 대란’ 대책

    한 버스정류장에서 일부 시민이 버리고 간 1회용 플라스틱 컵들이 줄줄이 놓여 있다.[중앙포토] 환경부가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 사라졌던 1회용 컵 보증금을 부활시키고 비닐봉지 규

    중앙일보

    2018.04.19 06:41

  • 광주시내 유통업체 1회용품 많이 쓴다

    광주 유통업체와 패스트푸드점의 1회용품 사용비율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최근 광주시내 백화점.대형할인점.패스트푸드점 등 42곳에 대해 1회용품 사용실태

    중앙일보

    2003.08.21 21:24

  • '깨끗한 휴가보내기' 7대지침

    녹색연합 등 전국 274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쓰레기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협의회'(공동대표 김재옥)는 24일 낮 서울역 앞에서`쓰레기 없는 깨끗한 여름휴가 보내기 캠페인'을 벌

    중앙일보

    2001.07.24 10:29

  • '쇼핑봉투 보증금제' 겉돈다

    주부 김정옥(39.대전시 서구 도마동)씨는 아파트단지 안에 있는 H슈퍼에서 생활용품을 구입할 때마다 까만 비닐봉투에 담아온다. 봉투는 슈퍼에서 무료로 준다. 이 슈퍼에서는 봉투에

    중앙일보

    2000.06.13 00:00

  • 대형유통업체 1회용품 사용하다 적발

    쇼핑백 등을 무료로 제공하거나 재활용품 교환 판매대를 설치하지 않은 유명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환경부는 작년 12월 22일부터 30일까지 백화점, 대형할인점

    중앙일보

    2000.01.13 08:12

  • 1회용품 규제 단속도 1회용

    당국 "일손 없다" 뒷짐 지난 2월 22일부터 시행 중인 종이컵.비닐봉투.합성수지도시락 용기 등 1회용품 사용에 대한 규제가 당국의 관리.감독소홀과 지자체의 느슨한 단속, 업체들의

    중앙일보

    1999.12.03 00:00

  • 1회용품 규제 단속도 '1회용'

    당국 "일손 없다" 뒷짐 지난 2월 22일부터 시행 중인 종이컵.비닐봉투.합성수지도시락 용기 등 1회용품 사용에 대한 규제가 당국의 관리.감독소홀과 지자체의 느슨한 단속, 업체들의

    중앙일보

    1999.12.02 21:56

  • 1회용 용기 특혜 논란…영세도시락업체 헌법소원

    환경부가 지난 2월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1회용 합성수지 용기의 사용을 금지하면서 대기업의 컵라면.햇반 용기는 규제대상에서 제외시킨 채 영세 도시락업체들의 도시락 용

    중앙일보

    1999.08.10 00:00

  • 1회용품 22일부터 못쓴다…결혼.장례식은 예외적 허용

    22일부터 음식점과 유통점의 종이컵.나무젓가락.비닐봉투 등 1회용품 사용이 금지된다. 그러나 결혼식.회갑잔치.상가 (喪家) 등 일시에 사람이 많이 몰리는 장소에서의 1회용품 사용은

    중앙일보

    1999.02.22 00:00

  • 「환경마크」면 기저귀 나온다

    「환경마크」가 붙은 천(면)기저귀가 곧 시중에 선보일 예정이어서 펄프 원료인 열대우림의 보호와 쓰레기·산업폐수의 감량 등 환경보전에 대한 여러가지 측면에서 큰 관심을 끌고있다. 특

    중앙일보

    1993.04.21 00:00

  • 1회용품 홍수 자원낭비·환경 망친다|월간 『소비자시대』지적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쓰이는 1회용품들이 심각한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가져오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는 소비자들은 많지 않다. 한국소비자보호원에서 펴내는 『소비자시대』 1월호에서는 무

    중앙일보

    1992.01.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