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름만 전하던 3점 찾았다

    이름만 전하던 3점 찾았다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은 각별한 가족 사랑으로 유명하다. 다산의 가족 사랑을 대표하는 유산이 유배지에서 아들에게 보낸 가계(家戒.집안

    중앙일보

    2006.03.28 05:30

  • [새로나온 책] 인문·사회 外

    [새로나온 책] 인문·사회 外

    ◆러시아가 뛴다(백주현 지음, 경진문화사, 224쪽, 1만2000원)=현재 주 러시아 한국대사관에서 정무참사관으로 있는 저자가 바라보는 러시아의 오늘. 오랜 현지 경험을 바탕으로

    중앙일보

    2005.11.11 21:57

  • 4대째 '임시정부 수립지' 인연

    4대째 '임시정부 수립지' 인연

    "국가와 가족의 뿌리인 상하이(上海)에서 일하게 돼 큰 영광입니다." 16일자로 중국 주재 상하이 총영사에 임명된 김양(52.사진)씨는 17일 이렇게 소감을 밝혔다. 그는 대한민

    중앙일보

    2005.08.18 05:00

  • [현대사 추적] 死後 110년 명성황후 진짜 사진 가린다

    [현대사 추적] 死後 110년 명성황후 진짜 사진 가린다

    ‘월간중앙’이 명성황후 사진 진위 논쟁과 관련, 새 사진 3장을 입수해 공개한다. 명성황후가 일본 자객의 칼을 맞고 비명에 간 지 110년이 된 시점을 기리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중앙일보

    2005.04.20 10:51

  • [주말 여행] 충남 예산 한국고건축박물관

    [주말 여행] 충남 예산 한국고건축박물관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한국고건축박물관 전경 아직 늦지 않았다. 충남 예산군에서 단풍의 끝자락을 잡아보자. 단풍과 함께 우리 옛건축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 있다. 수덕사에

    중앙일보

    2004.11.26 16:00

  • [week& 레저] 우린 청와대로 놀러 간다

    [week& 레저] 우린 청와대로 놀러 간다

    ▶ 청와대 문턱이 더 낮아졌다. 청와대는 지난달부터 관람일을 크게 늘렸다. 사진은 청와대 녹지원에 놀러 나온 week& 가족 독자모델. 왼쪽부터 엄마 김민숙(32)씨, 막내 예나(

    중앙일보

    2004.09.02 15:53

  • [week& 웰빙] 엄마, 저녁엔 떡볶이 해 먹을래요

    "엄마가 어릴 적에 할머니가 수제비를 하는 날은 진흙놀이 공작시간처럼 정말 신나는 날이었단다. 지금 너희가 주방에 들어와 엄마의 정신을 빼 놓는 것처럼 엄마도 그때 할머니에게 수제

    중앙일보

    2004.07.22 15:31

  • 어린이책 '팥죽할멈과…' '지하철은…' 국제무대서 우수상 받아

    어린이책 '팥죽할멈과…' '지하철은…' 국제무대서 우수상 받아

    오는 4월에 열리는 '2004 이탈리아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에서 국내 어린이 책 두 권이 라가치(Ragazzi)상을 받게 됐다. 이 도서전은 아동.청소년 책 전시 행사로는 세계

    중앙일보

    2004.02.18 18:26

  • 육아일기·멋내기…디카는 주부 필수품

    육아일기·멋내기…디카는 주부 필수품

    n세대 주부들에게 인터넷은 필요조건, 디지털카메라(이하 디카)는 충분조건이라고들 한다. 육아일기에서부터 멋내기까지. 신세대 살림꾼 주부에게 디카는 빠뜨릴 수 없는 필수품이 됐다.

    중앙일보

    2003.10.28 17:04

  • "네게 추억을 주마" 톡!톡! 돌잔치

    '탄생 일보.탄생 잡지.덕담 보드.사진 보드.감사장.답례품.번호표.풍선 기둥.헬륨 풍선.당의(唐衣).포숍(포토숍).파포(파워 포인트).분할 출력.비디오.스냅.실사(實寫)입간판.롤

    중앙일보

    2003.01.09 17:55

  • 토착詩語 보듬은 '평론의 향기' : 다시 읽는 한국 시인 유종호 지음, 문학동네,1만2천원

    "의혹의 날에도, 조국의 운명을 생각하고 괴로워하던 날에도 그대만이 나의 지팡이요, 기둥이었다. 아, 위대하고도 힘차고 자유로운 러시아 말이여 !" 가슴 벅찬 모국어 찬사를 토해

    중앙일보

    2002.06.29 00:00

  • '가지 않은 길' 걸어온 여성들의 삶…서울여성사 전시회

    지난 1백년은 한국 여성들에게 변화의 시간이었다. 여자가 학교에 가고, 교장.장관.군인.변호사가 된 것은 바로 지난 1백년 사이에 일어났던 최초의 일들이다. 21세기에 들어서도 '

    중앙일보

    2001.12.07 00:00

  • [어버이날·어린이날 이런 이벤트 어때요]

    어린이날과 어버이날로 이어지는 5월이 시작됐다. 집집에 선물 꾸러미가 등장하고, 분홍색 카네이션이 집안을 장식하게 된다. 날씨도 포근해 가족 나들이나 외식을 하면서 두 날을 보내

    중앙일보

    2001.05.03 10:25

  • [어버이날·어린이날 이런 이벤트 어때요]

    어린이날과 어버이날로 이어지는 5월이 시작됐다. 집집에 선물 꾸러미가 등장하고, 분홍색 카네이션이 집안을 장식하게 된다. 날씨도 포근해 가족 나들이나 외식을 하면서 두 날을 보내는

    중앙일보

    2001.05.03 00:00

  • 광주 신세계서 60년대 생활상 전시회

    골목길의 허름한 이발소, 아궁이 딸린 부엌과 석유 풍로, 딱총, 요강 등 헐벗고 굶주렸지만 훈훈한 인간미를 지녔던 1960년대의 우리네 생활상을 담은 이색 전시회가 열린다. 광주

    중앙일보

    2001.01.30 00:00

  • 국립민속박물관 '20세기 문명전' 성황

    "아빠, 이게 뭐야?" "응, 그건 남포라는 거야. 등불을 영어로 램프라고 하는데 거기서 나온 말이야. 옛날에 전기가 없을 때 남포로 불을 밝혔지. " "박래품은 무슨 말이야?"

    중앙일보

    1999.09.20 00:00

  • 경기 광주군에 위안부 역사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회복과 일본의 전쟁범죄를 고발하기 위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보금자리인 경기도광주군퇴촌면 나눔의 집 (원장 慧眞) 옆 부지에 1백평 규모로 건립된 '

    중앙일보

    1998.08.15 00:00

  • [인터뷰]'북한 문화유산 답사기'연재하는 유홍준 영남대 박물관장

    15대 대통령선거를 하루 앞둔 17일 중앙일보는 분단 52년만에 처음으로 북한 문화유산을 취재하기 위한 방북 (訪北) 조사단이 북경을 거쳐 평양으로 떠났다는 기사를 1면 머리로 보

    중앙일보

    1997.12.22 00:00

  • 일본여성의 '정신대 사죄'

    "일본 총리가 정신대 문제에 대해 말로만 '나쁜 짓을 했다' 고 했을뿐 거기에 따른 정부 수준의 배상이나 공식적인 입장 표현이 없어 안타깝습니다. " 오는 9월 고려대 박사과정에

    중앙일보

    1997.08.15 00:00

  • 서울 압구정동 김수신 성형외과 전문의

    '인조미인이 뜬다?'인터넷 스타로 주가를 올린 재미동포 누드모델 이승희씨의'성형 유방'이 수많은 여성의 자존심(?)을 건드려 놓고 있다.'과거는 용서해도 못생긴 것은 용서할 수 없

    중앙일보

    1997.05.26 00:00

  • 3월 廣州 나눔의집에 挺身隊 전시관 세운다

    3.1절을 맞아 일제의 만행과 정신대의 비극을 후세에 전할 전시관이 지어진다.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장 宋月珠)은 26일 대동그룹(회장 郭正煥.47)과 함께 경기도광주군 정신대 할머

    중앙일보

    1997.02.27 00:00

  • 에어백 때에 따라선 흉기-성인기준 제작 어린이 특히 위험

    지난해 12월31일 미국 텍사스주의 한 지방법원엔 몬트리 존스라는 두살배기 어린이가 에어백이 부풀어 오르는 충격 때문에 목이 부러져 사망했다는 소송이 제기됐다. 존스의 가족들은 자

    중앙일보

    1997.02.19 00:00

  • 여운계-SBS "LA아리랑" 운계할머니役

    『명랑해서 좋아요.』『TV에 나온 얼굴이 더 젊어보여요.』요즘 남편의 총선출마 채비를 돕느라 이곳저곳을 다니다 보면 주변사람들이 하는 얘기다. 한편으로 「젊다」는 말에 기분이 좋다

    중앙일보

    1996.02.12 00:00

  • 朴勝賢 열아홉살 인간승리 死地탈출 수기

    이제 살아 돌아왔다는 느낌이 조금씩 현실로 다가오는 것 같다. 침도 못삼키던 내가 미음을 먹고 이제 죽까지 먹을 수 있으니 말이다.의사선생님이 내일이면 일반병실로 옮기고 곧 밥도

    중앙일보

    1995.07.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