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분수대] '용가리'의 분투

    지난주 유엔개발계획 (UNDP) 이 발표한 99년판 '인간개발보고서' 에 따르면 현재 미국의 최대 수출산업은 항공기.컴퓨터.자동차 그 어느 것도 아닌 영화.TV 프로그램 등 오락산

    중앙일보

    1999.07.23 00:00

  • 90년대 한국영화 상업성 '과열'-계간 '필름컬쳐' 분석

    한국영화에 있어 90년대는 과연 '중흥기' 였는가. 아니면 알맹이보다 포장만 화려해진 '실속없는 생산기' 였나. 영화전문계간지 '필름컬쳐' (한나래) 최근호는 90년대 한국영화의

    중앙일보

    1999.07.13 00:00

  • TV는 영화정보 보물창고…채널별 다양한 프로 마련

    'TV를 보면 영화가 보인다. ' 주말 안방 영화를 말하는 게 아니다. 80년대 후반 들어 불어 닥치기 시작한 영상문화 붐. '영상세대' 로 불리는 젊은 세대는 물론이고 좀처럼 영

    중앙일보

    1999.07.09 00:00

  • [테마토크쇼]이광모-로랑스 파랑 '할리우드 넘어서기'

    프랑스의 라즈넥 프로덕션의 신예 프로듀서 로랑스 파랑 (27.여) 과 영화 '아름다운 시절' 로 최근 대종상 작품상을 수상한 이광모 감독 (38) .두 사람이 '할리우드 넘어서기'

    중앙일보

    1999.04.15 00:00

  • 英영화 세계 이목끈다…작품성 인정·흥행 성공

    아카데미상 작품상 등 7개 부분을 휩쓴 영국영화 '셰익스피어 인 러브' , 7개부문 후보작으로 올랐던 '엘리자베스' …. 올해는 엘리자베스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국영화들이 할리우드

    중앙일보

    1999.03.30 00:00

  • [사설] 씁쓸한 美상무 방한 결과

    윌리엄 데일리 미국 상무장관의 이번 방한은 한국에 대한 미국인들의 투자촉진이 그 목적이었다. 그와 함께 온 17명의 기업대표단은 내세운 명칭부터가 '기업활동증진사절단' 이었다. 그

    중앙일보

    1999.03.29 00:00

  • [테마비평] 아카테미 시상식을 보고

    아카데미 시상식을 보고 할리우드 영화산업은 기본적으로 '관객이 원하는 것을 준다' 라는 자유주의 문화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한다. 그 믿음은 다수 관객이 선택하는 영화가 소수 문화

    중앙일보

    1999.03.24 00:00

  • 지구촌 휩쓰는 미국 '문화 독재'

    맥도널드 햄버거와 코카콜라.할리우드영화로 대표되는 미국문화의 확산은 거역할 수 없는 대세인가. 90년대 들어 소련 등 사회주의권이 자본주의경제권에 편입되고 세계경제가 안정적 성장을

    중앙일보

    1998.10.28 00:00

  • 미국-유럽 문화시장 개방 싸고 문화충돌

    유럽과 미국간에 문화시장 개방을 둘러싼 문화충돌이 빚어지고 있다. 문화의 본고장이라고 자랑하는 유럽이라지만 대자본을 배경으로 물밀듯 공세를 취하는 미국 문화상품에 대책없이 밀리고

    중앙일보

    1998.10.21 00:00

  • [일본문화지도]1.영화 '큰시장규모 비해 내실은 허약'

    오늘 정부가 일본 대중문화개방 계획을 발표한다. 단계별 개방인데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과연 일본문화는 얼마나 강한가. 아니 우리는 일본문화를 제대로 알고 있나. 상대를 알아야

    중앙일보

    1998.10.20 00:00

  • 일본영화가 오는데 우리는…DCN 10일부터 현상진단

    "일본영화 하면 핑크무비 (포르노) 아니면 예술영화만 있는줄 안다. 일본문화 개방 하는데 정작 정확한 사정은 많이들 모른다. 막아야 하는 이유와 풀어야 하는 이유를 정확히 짚고 대

    중앙일보

    1998.08.07 00:00

  • DCN 10일부터 일본영화 현상진단

    "일본영화 하면 핑크무비 (포르노) 아니면 예술영화만 있는 줄 안다. 일본문화를 개방 하는데 정작 정확한 사정은 많이들 모른다. 막아야 하는 이유와 풀어야 하는 이유를 정확히 짚고

    중앙일보

    1998.08.06 00:00

  • [이사람]대중문화관련서 3권출간 서울대 강현두 교수

    작년 봄 당시 넥스트의 리드싱어이자 대중문화 달변가 신해철을 대학강단에 불러세워 화제를 일으켰던 서울대언론정보학과 강현두교수. 강의실을 가득 메운 학생들의 진지하고도 열광적인 반응

    중앙일보

    1998.07.31 00:00

  • 부산 '한국의 헐리우드'로

    부산이 '한국의 할리우드' 를 꿈꾸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대규모 복합영상관 3곳을 지을 예정이며 영화제작에 투자하는 업체들도 등장했다. 자동차 야외극장이 생겨나 여름밤 영화

    중앙일보

    1998.07.25 00:00

  • [이주일의 영화史]1.셀즈닉의 텔렉스 사건

    오늘의 문화산업에서 거대한 한 축을 이루고 있는 영화는 1백년 역사의 문턱을 넘어 이제 새 세기로 접어들었다. 영화사에서 주요한 전환이 되었던 사건들을 짚어봄으로써 '내일의 영화'

    중앙일보

    1998.06.11 00:00

  • [책속으로]김호석박사 '스타시스템' 펴내…'대중문화의 꽃' 경제학적 접근

    대중매체 시대의 중요한 현상 중 하나가 스타와 스타 시스템이다.방송과 영화 등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스타들은 그 자체가 20세기 후반을 특징짓는 한가지 문화 현상이다. 또 그들을

    중앙일보

    1998.04.10 00:00

  • 시상자측 '입맛'따라 춤추는 아카데미賞

    제70회 아카데미 시상식이 오는 23일 열린다. 아카데미상은 연예.스타산업의 상업성에 관한한 전세계적 권위를 과시한다. 한국 영화흥행에서도 오스카상의 주요 부문 수상은 작품성과는

    중앙일보

    1998.03.16 00:00

  • [세기말 문화혁명]4.'국민가수'가 사라진다…소비주체 입맛 다양화

    지난해 국내에서 가장 성공한 대중가수는 그룹 에초티 (H.O.T.) .97년 2월 내놓은 2집 앨범 '행복' 은 1백50만장이나 팔렸다. 이쯤 되면 이들을 모든 젊은이의 우상이라고

    중앙일보

    1998.02.09 00:00

  • [신 자격증]조주사…'칵테일 사랑' 섬세한 감각 필수

    수년전 개봉됐던 영화 '칵테일' 에는 헐리우드의 톱스타 톰 크루즈가 바텐더로 등장해 환상적인 손놀림과 화려한 빛깔의 칵테일을 척척 만들어내는 장면을 연출, 관객들을 매료시켰다. 우

    중앙일보

    1998.01.26 00:00

  • [세기말 문화혁명]1.프로슈머 시대(1)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상징되는 세기말.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문화 전반에 극적인 변혁을 촉발하고 있다. 생산과 소비를 맞닿게 한 '프로슈머' 가 상징적이다. 집단적 문화생

    중앙일보

    1998.01.04 00:00

  • [김홍준의 프레임24]대통령 당선자에게…

    우선 당선을 축하드립니다. 안팎으로 어려운 때에 힘든 자리에 앉게 되셔서 어깨가 무거우시리라 생각합니다. 수많은 공약을 일일이 챙기기에도 시간과 노력이 빠듯하시겠지만, 축하의 자리

    중앙일보

    1997.12.19 00:00

  • [문화지도]70.영화연구와 교육(1)

    요즘 어느 대학이든 영화 관련 과목의 강의실은 가장 큰 걸로 쓴다. 수강생이 엄청나게 많기 때문이다. 수강생들은 전공도 제각각이다. 학과마다 영화모임이 있을 정도다. 지금 한국의

    중앙일보

    1997.11.05 00:00

  • 복합상영관 줄줄이…'영화백화점' 시대

    우리 영화관 문화에 일대 변혁이 시작되고 있다. 그 중심은 이른바 시네플렉스 (시네마+컴플렉스.여러개의 스크린을 갖춘 복합상영관) . 서울 중심부의 명보 (5개관).서울 (7개관)

    중앙일보

    1997.10.31 00:00

  • 대통령과 영화산업…케네디·레이건,할리우드와 밀접한 관계

    절대권력자인 대통령이 등장하는 상업영화들은 주로 정치비리와 음모를 주제로 삼아 흥미를 돋구었다. 올리버 스톤은 'JFK' (91년) 와 '닉슨' (95년) 등으로 권력을 둘러싼 미

    중앙일보

    1997.10.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