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北이 해안침투 눈돌린 계기…목책 휴전선은 언제 철책이 됐나 [정전 70년 한미동맹 70년]

    北이 해안침투 눈돌린 계기…목책 휴전선은 언제 철책이 됐나 [정전 70년 한미동맹 70년]

    ‘전 휴전선에 방책 ’   휴전선에 철책선을 설치한다는 국방부 발표를 기사화한 중앙일보 1967년 9월 15일자 1면 지면.   중앙일보 1967년 9월 15일 1면 기사 제목이

    중앙일보

    2023.07.24 05:00

  •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권력에 올바른 말 할 수 있어야 국민의 군대다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권력에 올바른 말 할 수 있어야 국민의 군대다

     ━  권력에 약한 군 수뇌부, 스스로 무너뜨린 군 기강   권력의 잘못된 지시에 ‘노(No)’라고 외친 장군들. 왼쪽부터 충무공 이순신 장군, 참군인 한신 전 합참의장, 조지

    중앙일보

    2020.09.24 00:34

  • 민주, 비례대표에 김미화 '깜짝 카드' 만지작

    민주, 비례대표에 김미화 '깜짝 카드' 만지작

    민주통합당은 이르면 19일 4·11총선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발표한다. 민주당은 18일 밤 최고위원 회의를 열어 비례대표 후보 확정을 위한 최종 작업을 벌였다.  이와 관련, 민주

    중앙일보

    2012.03.19 00:52

  • [9월의 호국인물] 한신 장군

    전쟁기념관이 '9월의 호국인물' 로 선정한 한신(韓信.1922~96)장군은 한국전쟁의 영웅이며 군인정신의 표상으로 존경받아 온 인물이다. 함남 영흥에서 태어난 韓장군은 함흥고보를

    중앙일보

    2000.09.07 00:00

  • 13. 박정희 대통령의 서해5도 死守작전

    요즘 황장엽(黃長燁)전북한 노동당비서의 입에서 흘러나오는 북한의 섬뜩한 전쟁준비 얘기를 들으면 나의 기억은 남북한의 긴장이 한껏 고조되었던 70년대로 달려간다.세월이 많이 흘러 사

    중앙일보

    1997.05.12 00:00

  • 한신 前합참의장 별세

    5.16직후 군정 당시 내무장관.감사원장을 지낸 한신(韓信)전합참의장(사진)이 6일 오전11시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74세. 〈관계기사 15면〉 韓장군은 6.25

    중앙일보

    1996.05.07 00:00

  • 타계한 한신 前합참의장-6.25때 큰 功 '참군인'

    6일 타계한 韓信 전합참의장은 6.25때 큰 공을 세운 참전용사로 청렴.강직해 군내의 존경을 한몸에 받은 대표적인 참군인이었다. 1922년 함남 영흥에서 태어난 韓장군은 일본으로

    중앙일보

    1996.05.07 00:00

  • 정일권 전 의장 빈소/최·전 전직대통령도 문상

    ◎조화 10개만 진열하고 부의금 사절 ○…정일권 전 총리의 빈소가 마련된 중앙병원에는 20일 하룻동안 3백여명이 다녀가는 등 21일 오전까지 5백여명의 조문객이 문상. 21일 오전

    중앙일보

    1994.01.21 00:00

  • 각계 50여명「원로들의 대화」모임

    강원룡 한국 크리스천 아카데미 원장(사진)은 15일 오후5시30분 서울수유동 아카데미하우스에서 각계 원로초청 대화모임을 갖는다. 지난 9월과 10월에 이어 세번째로 열리는 이번 원

    중앙일보

    1992.12.15 00:00

  • 군장성-하늘의 별만큼 따기 힘든 "군인의 꿈"

    국방부가 지난달 28일 대통령의 최종 재가를 받아 확정 발표한 내년도 준장 진급자는 모두 73명. 이 가운데 육군이 47명으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고 해·공군은 각각 13명씩 26

    중앙일보

    1992.12.11 00:00

  • 호랑이장군 한신대장|"정치인 사심 버려야 정의살아"

    청렴·강직한 군인의 표상으로 세인들의 기억속에 남아있는 한신 예비역 육군대장(69). 육사 동기생 (2기)인 고 박대통령과의 인연으로 5·16직후 「혁명정부」에서 잠시 내무장관과

    중앙일보

    1991.12.13 00:00

  • 전 합참의장 14명 초청

    ◇정호근 합참의장은 1일 오전 이형근·유재흥·백선엽·최영희·한신 장군 등 역대 합참의장 14명을 합참본부로 초청, 현황을 설명하고 환담했다.

    중앙일보

    1991.06.01 00:00

  • (3600)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53) 장창국

    5·6이 성공한뒤 2기 혁명주체인 한웅진소장은 박대통령에게 동기생들을 될수록 많이 발탁해 쓰도록 권했다고 한다. 그러나 박대통령은 『동기생이면 다 동기생이야? 동기생을 불러들이면

    중앙일보

    1982.12.28 00:00

  • (3595)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48) 장창국

    우리 군과 사회와 국가에 미친 영향에 있어서 육사의 어느 기도 2기를 능가할 수는 없을 것같다. 한사람의 대통령과 6명의 대장, 9명의 중장을 포함한 79명의 장성, 8명의 장관등

    중앙일보

    1982.12.22 00:00

  • 부침했던 주역들의 증언과 묻혔던 자료를 캐내 엮는 대하 다큐멘터리(5)제작·원곡 김기승)

    5·16 거사는 정군운동에서 태동되어 곧장 정치변혁으로 방향을 돌려 갔다. 정치 사회적 혼란은 이들 젊은 장교들의 변혁의 욕구를 현실화해 가는 토양이 되었다. 『그해 봄 내가 육본

    중앙일보

    1982.01.20 00:00

  • 한신 예비역대장에「브라질」서 대훈장

    전합참 의장 한신예비역대장 (현아세아자동차사장)은 2일하오 「브라질」대사관에서 「세라」주한「브라질」대사를 통해 「브라질」「마세도」공군장관이 수여하는 공군대훈장을 받았다.

    중앙일보

    1975.12.03 00:00

  • 자기만 살겠다는 사람은 죽음을 피할 수 없다|한신

    인지사태 이후 안보의식이 높아지고 총화안보태세의 확립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철통같은 안보태세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국민총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국민총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중앙일보

    1975.06.02 00:00

  • 아시아 자동차 사장

    합참의장에서 퇴임한 예비역대장인 한신씨가 5일자로 「아시아」자동차 대표이사 사장에 취임했다. 「아시아」자동차는 정부가 군용차량 정비 및 재생공장으로 육성키로 결정한바 있다.

    중앙일보

    1975.03.05 00:00

  • 합참의장 이·취임식

    신구합참의장 이취임식 및 한신 대장의 전역식이 28일 상오11시 육군본부광장에서 거행됐다. 식장에는 서종철 국방부장관을 비롯, 「스틸웰」유엔사령관 및 육군 장성급 다수가 참석했다.

    중앙일보

    1975.02.28 00:00

  • 육군 수뇌 이동

    정부는 3월1일자로 합동참모회의 의장에 육군참모총장 노재현 대장, 육군 참모총장에는 이세호 대장을 각각 임명했다. 합동참모회의 의장 한신 대장은 동일 자로 예비역에 편입된다. (5

    중앙일보

    1975.02.22 00:00

  • 서 국방·넌 의원 요담|북괴 도발 상황 설명

    서종철 국방장관은 18일 상오 8시 방한 중인 미 상원 군사위원회 소속 「샘·넌」의원 일행의 예방을 받고 약30분간 요담했다. 이 자리에는 미 상원 군사위 전문위원 「설리번」의원과

    중앙일보

    1975.01.18 00:00

  • "터널 구축은 남침"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가 4일 하오 국방부 회의실에서 서종철 국방장관 주재로 열려 DMZ내 지하 「터널」구축 사건 등 속전속결에 의한 북괴의 최근 침략 동향을 분석, 검토하고 북괴

    중앙일보

    1974.12.04 00:00

  • 서 국방·유엔군 사령관 요담|합참, 일 무관 불러 모종 통보

    「리처드·G·스틸웰」주한「유엔」군 사령관은 30일하오1시30분 이례적으로 국방부를 방문, 서장관과 약2시간 동안 요담했으나 그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군 수뇌부 회의에 이어

    중앙일보

    1974.08.31 00:00

  • 2기생회 육 여사 묘소 참배

    육사2기생회<회장 권오태 의원)회원 50여명은 29일 상오 육본「버스」편으로 고 육영수 여사의 묘소를 참배. 회원들은 육 여사 묘소주위에 식수할 예정이었으나 아직 식수계획이 없어

    중앙일보

    1974.08.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