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日 쇠말뚝이 민족정기 말살? 풍수사 빵 터진 ‘파묘’ 장면

    日 쇠말뚝이 민족정기 말살? 풍수사 빵 터진 ‘파묘’ 장면

     ━  풍수학 권위자 김두규 교수     ■ VOICE: 세상을 말하다 「 더중플의 ‘VOICE: 세상을 말하다’는 뉴스와 이슈의 이면을 들여다보고 그 맥락을 더 깊게 읽는 영상

    중앙일보

    2024.03.13 23:00

  • “파묘 후 뼈 색깔 보면 딱 안다” 현실판 최민식 찍은 최악 흉지

    “파묘 후 뼈 색깔 보면 딱 안다” 현실판 최민식 찍은 최악 흉지 유료 전용

    조선 시대 ‘파묘’는 일종의 권력 쟁탈전이었다   최근 영화 흥행으로 묫자리를 옮긴다는 뜻인 이장(移葬) 대신 ‘파묘(破墓)’라는 생소한 말이 대중에 널리 회자 중이다. 지난 1

    중앙일보

    2024.03.07 16:23

  • [커버 스토리] 강남의 명당 아파트를 공개합니다

    [커버 스토리] 강남의 명당 아파트를 공개합니다

    대동여지도에 강남 아파트 그림을 합성했습니다. 풍수무전미(風水無全美). 옛말에, 풍수에 완전한 명당은 없다고 합니다. 자연과 어울려 살았던 시절에도 확고하게 정해진 명당은 없었다는

    중앙일보

    2013.04.03 03:33

  • “이 단지서 큰 인물 나온대요”

    비싼 집을 분양할 때는 특별한 마케팅이 필요하다. 집이 갖고 있는 특이성을 부각해 고급 수요를 끌어들이는 방법이 그것이다. 요즘 건설업체들이 내세우는 고급상품으로 ‘풍수 주택’이

    중앙일보

    2010.09.06 19:27

  • 음지의 사도세자 양지로 … 정조의 조선 개조 시작되다

    음지의 사도세자 양지로 … 정조의 조선 개조 시작되다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융릉.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소를 양주 배봉산에서 이곳으로 옮기고 현륭원으로 불렀다. 고종 때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융릉으로 높여졌다. 사도세자

    중앙선데이

    2010.07.18 01:27

  • [스페셜리포트] “제왕 地氣는 없다. 그러나…!”

    임금과 제후가 나는 명당은 기이한 형태의 ‘괴혈’에 있다고 한다. 12월19일, 최후 일전을 앞둔 3룡 가운데 제왕의 지기는 누가 받을 것인가? 풍수지리로 내다본 2007년 대선

    중앙일보

    2007.12.12 13:40

  • 대통령의 운명이 북악에 담겨있다

    청와대의 휘장을 보면 건물 뒤로 삼각형의 도형이 있다. 북악산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만큼 청와대는 북악산과 뗄 수 없는 관계다.북악산은 풍수 이론에 따르면 청와대의 주산이다. 이

    중앙일보

    2002.11.01 14:58

  • [이 시대의 명인] 윤도장 김종대씨

    도수 높은 돋보기를 쓰고 대추나무 판 위에 자그마한 글씨를 새기는 윤도장(輪圖匠.중요 무형문화재 제 110호) 김종대(金鍾垈.68.전북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063-562-3167

    중앙일보

    2001.04.18 00:00

  • 갤러리 사비나, 1월3일부터 '점(占)전'

    (占) 과 풍수는 알게모르게 우리 사회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있다. 터를 잡는 일에서 인생상담과 진로문제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은 다양하다. 이런 현상을 미술적으로 조명해보는 흥

    중앙일보

    2000.12.26 10:36

  • [갤러리 사비나, 1월3일부터 '점(占)전']

    점(占)과 풍수는 알게모르게 우리 사회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있다. 터를 잡는 일에서 인생상담과 진로문제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은 다양하다. 이런 현상을 미술적으로 조명해보는 흥

    중앙일보

    2000.12.26 00:00

  • [북녘산하 북녘풍수]2.공민왕릉의 자리…四神도 제대로 갖춰

    공민왕의 형인 충혜왕이 아버지의 후궁을 욕보이려 했다는 이야기는 앞서 했다. 공민왕 또한 자신의 후비 한씨를 신하들을 시켜 능욕케 한 바 있고, 정비 안씨와 신비 염씨 또한 그리하

    중앙일보

    1998.02.14 00:00

  • 25.제주 곽지리의 자생풍수

    지금 우리나라에서 풍수의 교과서처럼 취급되고 있는 책은 4세기중국 동진(東晋)시대 곽박(郭璞)이 저술한 것으로 알려진 장서(葬書)다.금낭경(錦囊經) 혹은 장경(葬經)이라 불리기도

    중앙일보

    1996.06.16 00:00

  • 日帝의 쇠말뚝 뽑기

    우리나라에 풍수지리(風水地理)가 들어온 것은 신라말 도선(道詵)에 의해서다.도선은 중국의 참위설(讖緯說)을 토대로 독자적풍수지리설을 발전시켰으며 그것이『도선비기(비記)』다. 고려조

    중앙일보

    1995.02.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