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등록금 만족도 POSTECH 1위

    등록금 만족도 POSTECH 1위

    POSTECH(옛 포항공대)에 다니는 학생들이 등록금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대학 학부생의 연간 등록금은 550여만원 수준이고, 학비 감면이나 장학금 혜

    중앙일보

    2011.07.04 03:00

  • “미국 MIT는 14가지 유인책 써 ‘더미지니어스’ 끌어와”

    “미국 MIT는 14가지 유인책 써 ‘더미지니어스’ 끌어와”

    관련기사 우린 연구실서 자주 밤새워 … 공대 위기는 과장됐다 이공계 기피 현상의 뿌리는 어디에 있으며 해법은 뭘까. 지난해 12월 30일 오후 3시 서울 강남 팔레스호텔 커피숍에

    중앙선데이

    2011.01.02 03:29

  • 암 진단 빠르게 … 획기적 실험기법 개발

    세포막에 붙어 있는 단백질만 낚시하듯 분리해 암 진단 등을 신속하게 끝낼 수 있는 획기적인 실험기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POSTECH 김기문(첨단재료과학부) 교수팀은

    중앙일보

    2010.12.20 00:27

  • 포스텍 ‘노벨상 석학 10명’ 500억 들여 뽑는다

    POSTECH(옛 포항공대)이 500억원을 투입해 노벨상과 필즈상을 수상한 세계적 석학 10명을 초빙하기로 했다. 2020년까지 세계 20위권 대학으로 발돋움하려는 ‘POSTECH

    중앙일보

    2010.02.22 03:01

  • [토요인터뷰] 키 크는 유전자 비밀 풀어낸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

    김빛내리(40) 서울대 교수가 또 하나의 개가를 일궈냈다. 미국의 세계적 생명과학 학술지인 ‘셀(Cell)’에 ‘마이크로RNA’에 관한 획기적인 연구 결과를 11일 게재했다. 아

    중앙일보

    2009.12.12 02:32

  • 박한 처우, 학벌주의 심한 이공계 인터넷으로 외국大 직접 ‘노크’

    박한 처우, 학벌주의 심한 이공계 인터넷으로 외국大 직접 ‘노크’

    연세대를 나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석·박사 학위를 딴 강형우(36)씨는 2003년 9월 미국 미주리주립대 교수로 임용됐다. 그는 교수로 임용되기 전 이력서와 연구 업적

    중앙일보

    2007.10.14 07:00

  • "국적 넘어 실력으로 승부하는 시대"

    "국적 넘어 실력으로 승부하는 시대"

    온 나라가 걱정할 만큼 국내 대학의 연구 토양은 척박하다. 이런 역경을 딛고 자수성가한 토종 박사들이 해외에서 주가를 올리고 있다. 간판(해외 학위)을 중시하는 문화 때문에 해외

    중앙일보

    2007.10.14 04:09

  • 박한 처우, 학벌주의 심한 이공계 인터넷으로 외국大 직접 ‘노크’

    박한 처우, 학벌주의 심한 이공계 인터넷으로 외국大 직접 ‘노크’

    지난 8월 KAIST 대강당에서 열린 후기 졸업식에서 서남표 총장이 박사 학위증을 수여하고 있다. 이날 졸업식에서는 141명의 박사가 배출됐다. [KAIST 제공] 관련기사 "국

    중앙선데이

    2007.10.13 21:15

  • "국적 넘어 실력으로 승부하는 시대"

    "국적 넘어 실력으로 승부하는 시대"

    대전 한국화학연구원에 초청받아 강의를 하고 있는 장영태 교수(左), 음향실험실에서 연구 중인 정철호 교수(右) [사진=신동연 기자] 관련기사 박한 처우, 학벌주의 심한 이공계 인

    중앙선데이

    2007.10.13 21:11

  • 세계 5번째 독자 개발 … 국산화가 세계화

    세계 5번째 독자 개발 … 국산화가 세계화

    채종서 박사가 사이클로트론 앞에서 부품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강정현 기자 한국은 2002년 세계에서 5번째로 독자적으로 의료용 사이클로트론을 개발한 국가다. 국제원자력기구(

    중앙일보

    2007.05.11 05:44

  • 포스텍 수석 입학·졸업 → 서울대 의대 편입

    포스텍 수석 입학·졸업 → 서울대 의대 편입

    부산 과학고 재학 때부터 각종 과학경시대회 금상을 휩쓴 재원, 고등학교 2년 만에 조기 졸업, 포항공대 수석 입학.수석 졸업(화학과), 제1기 대통령 과학 장학생…. 14일 열린

    중앙일보

    2007.02.27 04:12

  • 가자! G10으로 ⑩ 산학협력 잘 되려면

    가자! G10으로 ⑩ 산학협력 잘 되려면

    서울대 재료공학부 홍국선 교수는 한때 '치약박사'라는 우스갯소리를 들었다. 그가 개발한 인공뼈 재료 '하이드록시 아파테이트'를 나노입자 크기로 작게 합성해 치약연마제로 만들면 좋겠

    중앙일보

    2007.01.16 18:51

  • 한국 벤처 부자 100인, 평균 나이 49세·재산 412억

    추석 명절 가족,친지들의 회식 자리에서 화제가 되는 단골메뉴는 역시 돈 이야기다. 사촌 누구는 무슨 일을 해서 떼돈을 벌었고, 친구 누구는 잘나가다가 사업에 망했다는 전언들이다.

    중앙일보

    2006.10.06 06:01

  • 꿈의 '과학+예술' 연구 도시 생긴다

    과학자 3000명과 예술가 1000여 명이 함께 사는 도시. 매일 아침이면 물리학자와 화가, 공학도와 조각가가 곳곳에서 티 타임을 가지며 서로의 철학을 공유하고 수시로 포럼을 여

    중앙일보

    2006.09.16 19:26

  • [교육Q&A] 2008년 서울에 생길 과학영재학교는

    Q : 중 1학년인 우리 아이는 수학과 과학에 큰 흥미를 보이고 소질도 제법 있는 것 같다. 부산의 한국과학영재학교에 보내려 준비하고 있는데, 2008년 서울에도 이와 비슷한 학

    중앙일보

    2006.07.18 17:46

  • [2005 전국 대학 평가] 화학공학과

    [2005 전국 대학 평가] 화학공학과

    충남대 화학공학과 학생들이 국내 학부 중 최대 규모의 실험실인 단위조작 실험실에서 물과 에탄올을 이용한 정류실험을 하고 있다. [충남대 제공] 화학공학과 평가에서는 KAIST(한국

    중앙일보

    2005.10.07 04:57

  • [위기의 이공계] 4. 이공계 정책 해법은(끝)

    [위기의 이공계] 4. 이공계 정책 해법은(끝)

    ▶ 이공계의 대학원 진학 기피 현상이 확산되면서 연구실에 빈 의자가 늘고 있다. 사진은 서울 한 대학의 실험실. [중앙포토]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난해 청소년의 이공계 기피에 대한 대

    중앙일보

    2004.07.08 17:57

  • [인제대] 인제대 의학과 공학 접목… 의료장비 국산화 도전

    [인제대] 인제대 의학과 공학 접목… 의료장비 국산화 도전

    인제대 의생명공학대 2학년 이상 학생들은 한 학년 선배를 '튜터'(tutor)로 정해 놓고 있다. 학생들이 실험이나 공부를 하다가 모르는 것은 튜터에게 묻는다. 4학년생 튜터는 대

    중앙일보

    2003.11.03 09:46

  • 인제대 의학과 공학 접목… 의료장비 국산화 도전

    인제대 의생명공학대 2학년 이상 학생들은 한 학년 선배를 '튜터'(tutor)로 정해 놓고 있다. 학생들이 실험이나 공부를 하다가 모르는 것은 튜터에게 묻는다. 4학년생 튜터는 대

    중앙일보

    2003.11.02 20:18

  • [집중 토론] 이공계 기피 해법없나

    *** 참석자 ▶任敬淳 포항공대 교수.과학문화연구센터장 ▶鄭奉根 교육인적자원부 인적자원정책국장 ▶陳美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韓民九 서울대 공대 학장 사회=都成鎭 논설위원

    중앙일보

    2003.09.30 19:37

  • [2003 전국대학평가] 산업공학과

    [2003 전국대학평가] 산업공학과

    1998년 평가에서 종합순위 1, 2, 3위를 차지했던 포항공대.한국과학기술원(KAIST).서울대 등 산업공학과 '빅3'가 교수 연구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1~3위를 휩쓸

    중앙일보

    2003.09.26 22:07

  • 대학평가 1등 인재 키우기 비결

    '학생 1명당 연간 교육비 4천3백여만원'. 올해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국내 최상(最上) 대학으로 부상한 포항공대가 인재를 키우기 위해 얼마나 공을 들이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

    중앙일보

    2002.09.26 00:00

  • 인간복제도 철학·인류학적 측면 고려를

    "역사·문화에 대한 성찰이 없는 실험실적인 자연과학 이론은 허물어지기 쉬운 모래성(砂上樓閣)과 같습니다." 전북대 과학문화연구센터를 이끌고 있는 정광수(46·과학학과·사진)교수는

    중앙일보

    2002.08.29 00:00

  • "이공계 우리가 이끈다"

    "몸은 피곤하지만 해보고 싶었던 실험을 마음껏 할 수 있어 정말 행복합니다." 부산대 이호성(李浩性·25·미생물3)씨는 한달 가까이 포항공대 실험실에 틀어박혀 구슬땀을 흘리고 있

    중앙일보

    2002.07.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