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소신·강직 황희 정승도 요즘 같은 청문회 통과 못할 것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소신·강직 황희 정승도 요즘 같은 청문회 통과 못할 것

    서울 경복궁 근정전 앞에 배열된 정1품 품계석. 조선시대 영의정이 조회나 하례 등 궁궐 주요 행사 때 서 있었던 자리다. 근정전에는 좌우 12개씩 24개의 품계석이 놓여 있다.

    중앙선데이

    2014.06.08 00:29

  • 왕이 된 함경도 촌뜨기 '인간 이성계' 살려내다

    왕이 된 함경도 촌뜨기 '인간 이성계' 살려내다

    유동근은 “며칠 밤을 새도 집에 들어갈 땐 촬영의 연장선에 나를 두지 않는다. 카메라 앞 배우의 모습은 거기서만이다. 빨리 일상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말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중앙일보

    2014.04.17 00:18

  • 피부병 흔적까지 그렸다, 조선 초상화

    피부병 흔적까지 그렸다, 조선 초상화

    사시(斜視)도 있는 그대로(사진 왼쪽) 1910년 경술국치에 절명시를 남기고 자결한 매천 황현의 초상화. 마지막 어진화가 채용신은 1911년 사시(斜視)인 매천을 있는 그대로 그렸

    중앙일보

    2014.02.20 00:22

  • "고발돼 봐야 …" 무시당하는 환경평가

    "고발돼 봐야 …" 무시당하는 환경평가

    16일 한전에서 강원도 횡성의 송전탑 공사를 위해 만든 차량 진입로에 눈이 쌓여 있다. 이 길은 환경영향평가를 안 받은 불법 진입로다. 지난 16일 오후 강원도 횡성군 둔내변전소.

    중앙일보

    2013.12.24 00:57

  • 단군을 한민족사 정점에 놓고, 중국과 분리된 정통史 첫 서술

    단군을 한민족사 정점에 놓고, 중국과 분리된 정통史 첫 서술

    천은사.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저술할 당시 살던 강원도 두타산 기슭의 집터에 지어진 절이다. 1948년 화재로 전소됐다가 72년부터 재건됐다. 삼척시 청라초등학교 5~6학년 학생

    온라인 중앙일보

    2013.09.22 08:24

  • 단군을 한민족사 정점에 놓고, 중국과 분리된 정통史 첫 서술

    단군을 한민족사 정점에 놓고, 중국과 분리된 정통史 첫 서술

    천은사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저술할 당시 살던 강원도 두타산 기슭의 집터에 지어진 절이다. 1948년 화재로 전소됐다가 72년부터 재건됐다. 삼척시 청라초등학교 5~6학년 학생

    중앙선데이

    2013.09.21 23:59

  • [팝업] 고려 때 박해받았던 경주 … 조선이 끌어안은 까닭은 …

    [팝업] 고려 때 박해받았던 경주 … 조선이 끌어안은 까닭은 …

    조선 후기 경주의 모습을 담은 ‘경주읍내전도.’ [사진 국립경주박물관]별칭 ‘에밀레종’으로 유명한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 신라 혜공왕(771년) 때 만들어져 경주 봉덕사에 걸

    중앙일보

    2013.09.16 00:19

  • 불교국교설은 史實무근 수신은 불교, 통치는 유교

    불교국교설은 史實무근 수신은 불교, 통치는 유교

    1 중생을 안락의 세계로 이끄는 관음보살의 모습을 그린 ‘수월관음도’. 고려시대 불화를 대표하는 작품의 하나이지만 일본 규슈에 위치한 신사인 가가미신사(鏡神社)에 소장돼 있다.[

    중앙선데이

    2013.07.06 23:30

  • ‘쓴소리 학자’ 최승로 재상 앉혀 국가 틀 잡다

    ‘쓴소리 학자’ 최승로 재상 앉혀 국가 틀 잡다

    경기도 여주군 산북면에 있는 서희(942~998) 장군 부부의 묘. 그가 숨진 998년(목종 1년) 조성됐다. 1977년 10월 13일 경기도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됐다. 조용철

    중앙선데이

    2013.06.23 02:07

  • 세계문화유산 창덕궁 가꾸는 날, 스타들도 팔 걷었다

    세계문화유산 창덕궁 가꾸는 날, 스타들도 팔 걷었다

    지난해 10월 3일 문화체육관광부가 31개국 주한 외교공관장 부부 58명을 창덕궁에 초청하는 행사를 가졌다. 한 외교공관장 부부가 초롱불을 들고 거닐고 있다.한 프랑스 디자이너가

    중앙일보

    2013.05.24 03:10

  • 고종황제가 생전에 처음 맛본 커피맛은 어땠을까

    고종황제가 생전에 처음 맛본 커피맛은 어땠을까

    고종이 커피를 즐기고 연회를 열기 위해 지은 정관헌. 서울시 중구 정동 덕수궁 내에 위치해 있다. ‘과거에 눈을 감는 자는 현재에도 장님이 된다.’  김진명의 소설 ‘황태자비 납치

    중앙일보

    2013.05.24 03:10

  • 뉴욕타임스 전주 여행 기사 눈길

    뉴욕타임스 전주 여행 기사 눈길

    뉴욕타임스가 ‘한식 식도락가들의 낙원’이라고 표현한 전주의 음식에 대한 기사와 사진. 전주 비빔밥은 야채, 콩나물, 당근, 버섯 등 신선하면서도 질 좋은 재료가 가득하다는 내용이

    중앙일보

    2013.02.27 00:11

  • 모든 종교를 품은 길 … 그 길 위에서 소망 하나 품어봅니다

    모든 종교를 품은 길 … 그 길 위에서 소망 하나 품어봅니다

    새해 들머리다. 굳이 신앙이 없어도 가슴에 소원 하나쯤 품게 되는 때다. 종교를 막론하고 기도의 깊이는 얼마나 진심을 담느냐에 달려 있다고 한다. 종교에서 수행과 순례를 강조하는

    중앙일보

    2013.01.04 03:15

  • 빨간 벽돌에 기와 얹은 성당, 구한말 신부 숨겨준 송광사 …

    빨간 벽돌에 기와 얹은 성당, 구한말 신부 숨겨준 송광사 …

    전북 익산에 있는 나바위 성지 성당.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한옥 성당이다. 아름다운 순례길은 길이 240㎞의 대형 트레일이다. 전라북도 전주시(32㎞)·완주군(80.4㎞)·김제시(

    중앙일보

    2013.01.04 03:15

  • 어진 없어 상상으로 그린 세종대왕, 표준은 뭘까

    어진 없어 상상으로 그린 세종대왕, 표준은 뭘까

    왼쪽부터 세종대왕·신사임당·유관순 표준영정. 운보 김기창 화백이 그린 세종대왕 영정은 1973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됐으나 실재감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5만원권 지폐의 신사임

    중앙일보

    2012.12.18 00:06

  • 그 길 속 그 이야기 서울 정동길

    그 길 속 그 이야기 서울 정동길

    정동길은 정겹다. 덕수궁 돌담을 따라 부드럽게 나 있는 길을 걷다 보면 마음이 평온해진다. 복잡한 도시 한가운데 이런 소소한 산책로가 있다는 것은 축복이다. 특히 이맘때면 누렇게

    중앙일보

    2012.11.09 04:11

  • 돈 내고 곤장 맞는데 입장객 늘었네

    돈 내고 곤장 맞는데 입장객 늘었네

    남원시 어현동 춘향테마파크에서는 동헌재판 체험이 매일 열린다. [사진 남원시]전북 전주시는 경기전(사적 제339호)의 지난 한 달 입장료 수입이 4400여만원에 이른다고 5일 밝혔

    중앙일보

    2012.07.06 00:51

  • 대나무 그늘 아래

    대나무 그늘 아래

    ‘멀리’ 혹은 ‘오랫동안’ 어디로 간다는 것은 정해진 틀을 벗어나는 즐거움입니다. 동네 근처 들판이나 강가를 기웃거리던 친구들과 어울려 우리 동네로부터 무려 ‘120㎞’나 떨어진

    중앙선데이

    2012.05.26 23:37

  • 전주 경기전, 이젠 수문장이 지킨대요

    전주 경기전, 이젠 수문장이 지킨대요

    지난해 전주한지축제 때 경기전에 배치됐던 수문장들. [사진 전주시]태조 이성계의 어진(초상화)을 보관하고 있는 경기전(사적 339호)이 전통 문화체험의 관광명소로 거듭난다. 전북

    중앙일보

    2012.04.24 01:03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다시 보는 서울성곽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다시 보는 서울성곽

    윤창희 기자남산 정상에는 돌담이 하나 있다. 사적 제10호인 서울 성곽이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이 남산에 성곽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그냥 지나친다. 서울시가 이런 서울 성곽

    중앙일보

    2012.04.06 00:56

  • 그 길 속 그 이야기 서울성곽길

    그 길 속 그 이야기 서울성곽길

    서울은 원래 성곽의 도시다. 북악산·인왕산·남산·낙산을 잇는 서울성곽은 사적 제10호다. 서울성곽길은 이 성곽을 따라 조성된 약 18.6㎞에 달하는 길을 말한다. 낙산공원·남산공원

    중앙일보

    2012.03.09 04:00

  • 사도세자에게 내린 가르침, 돌에 새긴 영조

    사도세자에게 내린 가르침, 돌에 새긴 영조

    숙종이 쓴 ‘날 비(飛)’자. 세로 25.5㎝, 가로 16.3㎝, 두께 약 7.5㎝ 대리암에 새겼다.“넓고도 굳세게 뜻을 세우고 너그러운 마음과 간편한 정책으로 백성을 통치하며,

    중앙일보

    2012.02.07 00:20

  • 한국의 아름다운 여행지 ②

    한국의 아름다운 여행지 ②

    CNNgo에서 선정한 한국의 아름다운 관광지 50곳 중 11~20위를 소개한다. 1~10위는 성산일출봉, 꽃지 해수욕장, 경상남도 남해 가천 다랭이마을, 부산 광안대교, 진해 경화

    온라인 중앙일보

    2012.01.20 00:00

  • 마마자국,검버섯...삶의 흔적 숨쉬는 날것 그대로의 얼굴

    마마자국,검버섯...삶의 흔적 숨쉬는 날것 그대로의 얼굴

    1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지낸 조선 후기 무관 전일상 초상(부분). 김희겸 그림. 비단에 채색. 142.5)90.2㎝. 거대한 중국, 인조적인 일본, 자연스러운 한국명지대 유홍준

    중앙선데이

    2011.10.29 2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