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탈북청소년 멘토 나선 탈북 신혼부부 12쌍

    탈북청소년 멘토 나선 탈북 신혼부부 12쌍

    10대 탈북 청소년들의 멘토로 나선 탈북자 신혼부부들이 1일 ‘희망과 나눔의 축구대회’가 끝난 뒤 생활용품을 전달하고 있다. 서울 양천구 신월동 겨레얼학교에 다니는 장성혁(16)군

    중앙일보

    2012.07.03 00:37

  • 성균관대 입학사정관 전형 모의평가 사례

    성균관대 입학사정관 전형 모의평가 사례

    김송리 (성균관대 입학사정관), 권영신 (성균관대 책임입학사정관) 성균관대 자기소개서 항목 - 고교 재학 기간 중 본인의 역량을 가장 잘 드러내는 활동을 중요한 순서대로 기록하라(

    중앙일보

    2012.06.10 23:22

  • [j Focus] 미국 방송가 리얼리티 쇼의 대부 켄 목

    [j Focus] 미국 방송가 리얼리티 쇼의 대부 켄 목

    “한국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화면에서 눈을 뗄 수가 없다.” 미국 NBC 엔터테인먼트 부문 부사장인 에드윈 정은 지난달 j섹션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다.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팔

    중앙일보

    2011.12.24 01:30

  • 단신

    『新 수학의 바이블』 해설집 무료 제공 이투스교육은 겨울방학을 맞아 『新 수학의 바이블』 구매자 모두에게 해설집을 무료로 제공한다. 이 수험서는 고교생의 수학 공부를 도와주기 위한

    중앙일보

    2011.12.19 01:02

  • 탈북청소년들의 ‘서울말선생님’ 안타까운 호소

    탈북청소년들의 ‘서울말선생님’ 안타까운 호소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인 여명학교가 19일 오후7시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백주년 기념관에서 `제7회 여명후원의 밤` 행사를 열었다. 방현주(37) MBC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된

    온라인 중앙일보

    2011.11.22 12:40

  • [j Focus] 조남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

    [j Focus] 조남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

    한국방송통신대는 주경야독의 상징이다. 1970~80년대 가난했던 시절, 대학에 갈 형편이 안 되는 이들에게 배움의 불을 밝혀줬다. 90년대 들어서는 새로운 지식을 얻으려는 사회인

    중앙일보

    2011.07.23 01:34

  • [브리핑] 저소득층에 방과후 학교 수강권

    경기도교육청은 저소득층 가정 자녀 20만 명에게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자유수강권을 지급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지원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자녀나 소년소녀가장

    중앙일보

    2011.04.18 01:18

  • 5000 vs 5000 … 다문화·탈북자 가정에 ‘공신’이 달려갑니다

    5000 vs 5000 … 다문화·탈북자 가정에 ‘공신’이 달려갑니다

    중앙일보 공신 프로젝트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이 멘토 대학생들과 함께 자신들의 미래 모습을 담은 신문을 제작했다. 이들은 멘토들로부터 8월까지 무료 학업 지도를 받는다.

    중앙일보

    2011.02.09 00:28

  • 새터민·보육원생·쉼터생 … 가족이 그리운 10대 4명 가족 만들어 요리왕 도전

    새터민·보육원생·쉼터생 … 가족이 그리운 10대 4명 가족 만들어 요리왕 도전

    ‘가족’이라는 단어에 한결같이 가슴 시린 표정을 지었다. 혼자 남매를 키우는 어머니가 안쓰럽다는 이태현(17)군, 친부모님 얼굴이 기억나지 않는다는 추진희(17)양, 북한에 언니와

    중앙일보

    2009.05.06 03:29

  • “절망의 나락에 떨어질 때 나를 잡아준 누나 선생님”

    “절망의 나락에 떨어질 때 나를 잡아준 누나 선생님”

    “선생님, 엄마가 너무 아파요. 어떡하죠?” ‘봉사천사’ 이은혜씨(성균관대 법학과 4학년)가 23일 어머니와 둘이 사는 고교생 현철에게 무료 영어 과외를 하고 있다. [최승식 기자

    중앙일보

    2009.01.30 02:53

  • '가난에 갇힌 아이들' 지자체서 보듬는다

    "소설 '키다리아저씨'를 읽어보셨나요. 고아인 주인공을 항상 편지로 격려하며 주인공이 훌륭하게 성장하도록 도와주지요. 저소득 결손가정 아이들에게는 물질보다 정서적 지원이 무엇보다

    중앙일보

    2004.04.20 1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