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부음] 탁희준 성균관대 명예교수 별세 外

    탁희준씨 (성균관대 명예교수) 별세, 오선주씨 (청주대 법대 교수) 상부, 탁승호 (서울대 센터장).진우 (㈜대우 대리).정신 (온누리선교교회 목사).혜선 (재캐나다).문신 (사

    중앙일보

    1999.09.04 00:00

  • 셩균관大 신문동인 城鐸會 신년모임

    …성균관대 신문동인들의 모임인 成鐸會(회장 崔烈坤.전서울시교육감)신년인사모임이 22일 저녁 한국프레스센터 20층 멤버스클럽에서 열렸다. 성탁회는 54년 당시 성대교수였던 月灘 朴鍾

    중앙일보

    1996.01.23 00:00

  • 金芝雲 成大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봉정식

    ○…70년대초 中央日報 논설위원을 지낸 東嶽 金芝雲 성균관대교수의 정년기념 논문집 증정및 축하연이 25일 밤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논문집 『언론문화의 비판적 성찰』간행위원회(

    중앙일보

    1994.11.26 00:00

  • 광운大총장 康俊吉씨

    학교법인 광운학원(이사장 卓熙俊)은 22일 오전 재단이사회를열어 광운대학교 제4대 총장에 現공과대학장 康俊吉교수(50.전자공학과)를 선임했다.

    중앙일보

    1994.08.23 00:00

  • 신진욱,강동호,탁희준,유태영,윤성태,이근규,서경보

    ◇申鎭旭 국회 경제.과학위원장(民主)은 24~25일 이틀간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되는 제2차 韓美 과학기술협력포럼에서 강연하기 위해 20일 출국. ◇康東鎬 언론피해구제협회 회장은 2

    중앙일보

    1994.05.20 00:00

  • "대기업 경영 혁신 방향 제시|"탁희준『한·일 대기업…』

    일본과 한국의 인사관리·노사 관계 제도는 종신 고용제·연공서열형·기업별 조합 등 적어도 겉으로는 같다. 그런데 어째서 그것이 일본에서는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한국에서는 그렇지

    중앙일보

    1993.08.22 00:00

  • 단체교섭 실무교육

    탁희준 한국노사문제 임의중재협의회장은 대한변호사회관 12층 교육장에서 노사관계전문인력 양성과정의 하나로 18∼20일 노조간부 50명, 24∼26일 회사측 인사노무담당 부서장 50

    중앙일보

    1989.10.18 00:00

  • 정권의 도덕성 결여가 "주인"

    전교조사태의 후유증으로 고등학생들이 교장선생을 폭행, 교문 밖으로 내쫓는 등 충격적인 사건들이 잇따라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우리사회의 윤리부재는 어디서 온 것이며 치유책은 무엇인

    중앙일보

    1989.09.07 00:00

  • 노사 중재협 회장에

    탁희준 전 성균관대 교수는 최근 한국 노사 문제 임의 중재 협의회의 초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중앙일보

    1989.06.08 00:00

  • 마음은 하나로 시야는 세계로

    서울 올림픽은 우리에게 있어 과연 무엇인가. 지난 7년여 국가 역량을 기울여 준비해온 역사적 행사를 통해 우리가 얻은 것은 무엇이며 또 무엇을 얻어야 할까. 올림픽 후 한국과 한국

    중앙일보

    1988.09.22 00:00

  • 사회·교양

    KBS 제2TV『11에 만납시다』(1일 밤 11시5분)=「노사군제의 민간중재자-탁희준」. 노사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한 최초의 민간단체「한국노사문제 임의중재 협의회」를 설립한

    중앙일보

    1988.08.01 00:00

  • 정년퇴임 기념식 가져

    탁희준(경영학)·정병조(영문학)·최종인(약학)·유승국(한국철학)성균관대 교수는 29일 오후3시 대학교수회관 홀에서 정년퇴임 기념식을 갖는다.

    중앙일보

    1988.02.27 00:00

  • 정년퇴임 논문집 받아

    탁희준 성대 교수는 24일 서울상의 클럽에서 제자들로부터 정년퇴임 기념논문집을 헌정 받는 모임을 갖는다.

    중앙일보

    1988.02.24 00:00

  • 국민의사 들은 뒤 후보 단일화를

    함석헌·김관석·윤반능씨 등 재야인사 46명은 5일 상오 연지동 기독교백주년기념관에서 「민주화를 위한 후보단일화에 대한 우리의 견해」를 발표, 『민주당의 김영삼총재와 김대중고문은 정

    중앙일보

    1987.10.05 00:00

  • 여성개발원 3주…발전전략 토론|"미래사회는 여성이 주역"

    미래사회에서 여성이 주역이 되기 위해서는 자율적 소집단 육성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의됐다. 이는 한국여성개발원(원장 김형덕)이 개원 3주년 기념으로 26∼27일 사학연금회관에서 개최

    중앙일보

    1986.08.26 00:00

  • 해직교수 3명 성대서 임명장

    성균관대는 11일 장을병·탁희준·이우성교수 등 3명의 해직교수에 대한 복직절차를 끝내고 임명장을 주었다. 이에 앞서 고려대는 지난9일 조용범·강만길·김윤환·김용준·이상신교수 등 5

    중앙일보

    1984.07.11 00:00

  • 제삼공화국『국가재건 최고회의』⑤

    최고회의는 방대한 권력기반 위에 섰다. 어느 곳의 통제도 받음이 없이 입법과 행정권을 장악했고 혁명재판을 통해 사법권의 일부도 행사했다. 그러나 역시 군정이라는 데서 그 성격은 과

    중앙일보

    1982.02.22 00:00

  • 주한 외국인업체 한국인그로자의 실태|돈은 몇푼 더 받지만 「차별」이 괴롭다

    한국에 진출한 외국인업체에 근무하는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불평·불만이 최근 잇따라 일고 있다. 60년대중반 한일국교정상화 이후 일본업체를 필두로 한국에 건너오기 시작한 외국인 업체는

    중앙일보

    1981.12.23 00:00

  • 시대착오적인 우월감서 비롯|외국인기업 특혜제도 없애야

    탁희준교수(성대·노동법)=주한 외국인상사에서 일어나는 차별대우문제는 사규나 노사협의등 사전 조정장치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계 회사들의 경우 막연한 우월감을 갖고 한국인직원을

    중앙일보

    1981.12.19 00:00

  • 경제·통일 문제 등은 표현의 차이뿐|주요 정당들의 정강 정책

    민정당·민한당 등 주요 정당들이 창당 대회를 통해 채택했거나 이미 확정 발표한 정강 정책을 보면 한마디로 「별다른 차이」를 찾아보기 어렵다. 모든 정당이 정책 정당을 표방하고 나선

    중앙일보

    1981.01.26 00:00

  • 김대중 등 37명 곧 군표송치|계엄사 발표 내란음모-반공법 위반 등 혐의로

    조총련 돈 받아쓰고 63년 간첩접촉 복학생으로 행동대 조직, 유혈 데모 지시 6월∼12일엔 구로 공단서 폭력시위 계획 각 분야 14명으로 「과도정부」를 구성 계엄사령부는 4일 김대

    중앙일보

    1980.07.04 00:00

  • 저임 해소·복지 질서 실현돼야

    또 근로의 날을 맞았다. 이번 행사에 특히 큰 뜻을 느끼는 것은 올해가 우리나라 분배·복지제도의 전환점이 될 것을 내다볼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 경제개발의 잠정목표로 설정했던

    중앙일보

    1978.03.10 00:00

  • (4) 임금

    77년 하반기에는 대졸초임 수준으로부터 출발한 업계의 「임금논쟁」이 전반적인 임금수준에까지 확대, 활발한 논쟁을 벌였었다. 비록 이러한 임금논쟁이 어떤 결론을 맺지 못했지만 저 임

    중앙일보

    1978.01.10 00:00

  • 학계

    현행 각 직종의 정년을 55∼65세로 정한 것은 한마디로「노동력의 낭비」다. 특히 공무원·교원·회사원 등의 고급기술 노동력은 절대수가 부족한 것이 우리나라 현실이다. 4차 5개년

    중앙일보

    1977.06.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