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최신육아법|소아진료를 받을 때

    아기가 병에 걸렸을 때 성의 있고 친절한 진찰을 받고자 하는 것은 누구나 공통된 생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태도가 중요하다. ▲진료시간을 지킨다-급한 병이거나 사고는 진료

    중앙일보

    1984.05.05 00:00

  • (428) 최신육아법-소아결핵

    육아에 관한 조언에서 결핵에 관해 쓰는것은 좀 뭣하지만 아기를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서는 결핵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래전부터 결핵박멸사업을 벌여 과거보다 환자가 감소되

    중앙일보

    1984.04.28 00:00

  • 최신 육아법

    어린아이가 홍역이나 수두와 같은 전염병에 걸리면 그 후 다시는 이런 병에 걸리지 않게 된다. 전염병은 병원체, 즉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입함으로써 발병한다. 병원균이 침입하

    중앙일보

    1984.04.20 00:00

  • (425)최신육아법-어린이 질병의 특징|손근찬

    부모는 늘 어린아이나 아기의 얼굴과 신체를 잘살펴보고 평상시와 다르면 병이 있지 않나를 생각해야 한다. 어린아이가 엎드려 자서 눈꺼풀이 부석부석 해지는 것은 자세에서 오는것이 많지

    중앙일보

    1984.04.14 00:00

  • 최신 육아법|어린이 사고와 부상|손근찬

    어린이의 사고는 어린이의 주위에 있는 어른들이 환경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면 거의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어린이가 자라면 어린이의 행동반경이 넓어지고 또한 어린이들끼리 활발하게 놀게

    중앙일보

    1984.04.07 00:00

  • (420)최신 육아법 손근찬|손가락 빠는 아이

    손가락을 빠는 버릇에 대한 견해는 심리학적으로 보는 것과 치과의 입장에서 보는 두가지가 있다. 심리학의 입장에서 보면 손가락을 빠는 일은 당연한 것으로 오히려 부모가 마음에 걸린다

    중앙일보

    1984.03.23 00:00

  • (418) 최신육아법 손근찬(국립의료원 소아과장)-오줌싸개

    「오줌싸개」로 불리는 야뇨증은 약80%가 습관성 야뇨증이며 나머지 약20%는 야뇨증과 비슷하지만 사실은 다른 병이거나 기형이 있어서 야뇨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방광염이나

    중앙일보

    1984.03.14 00:00

  • (417)최신 육아법-잘 먹지 않는 아이

    어린이가 잘 먹지않을 때에는 어머니는 초조하고 마음은 부담스러워진다. 그러나 어떤 아이들에게는 그 음식이 필요하고 충분한 분량일 수도 있으나, 어떤 아이들에게는 필요 이상으로 도저

    중앙일보

    1984.03.10 00:00

  • 최신 육아법|분야를 먹이려면

    아기는 본래 모유로 키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부득이한 사정이 있어서 모유를 줄수 없을때가 있다. 모유의 분비가 계속 없을 때나 다음 임신이 확실해졌을 때, 어머니가 병이 있을때 등이

    중앙일보

    1984.03.03 00:00

  • 최신육아법 손근찬

    어린이는 작은 어른이 아니다. 어른과 어린이의 차이는 다만 체격이 크고 작다는 것만이 아니다. 어린이는 어린이대로의 특수한 생리가 있고 특수한 심리가 있으므로 어른의 생리나 심리로

    중앙일보

    1984.02.25 00:00

  • (411) 최신 육아법

    사람의 생명은 난자와 정자가 서로 만난 순간부터 시작된다. 그후 어머니의 태안에서 40주라는 기간을 지내고 진정한 개체로서 이 세상에 나오게 된다. 따라서 갓난아기가 태어날때 그의

    중앙일보

    1984.02.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