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

    【목포=박근성 기자】제2회 목포∼서울간 중앙역전 경주대회가 오는 18일 정서 어린 목포를 출발, 5일 동안 호남평야를 종단하며「마라톤」중흥의 꿈을 불태운다.「코스」답사반의 거리측정

    중앙일보

    1972.04.11 00:00

  • 한국에도 「산수유」자생 광릉숲에서 5그루 발견

    산림청임업시험장의 연구「팀」(조무연·전구선)은 일본과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진 산수유가 광릉에서 자생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40년전 어떤 일본학자가 「산수유」나무는 한국광릉에서도

    중앙일보

    1972.04.04 00:00

  • 진도견 전람회 개최 5월 창경원서

    천연기념물 제53호인 진도 개의 혈통 고정 등을 위한 한국 진도견 전국전람회가 오는 5월 14일 상오 10시부터 하오 5시까지 서울 창경원에서 중앙일보사와 동양방송 및 사단법인 한

    중앙일보

    1972.03.31 00:00

  • 설악산서 크낙새 발견|천연기념물 197호

    【속초】천연기념물197호 크낙새가 국내에서 멸종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러져 있으나 지난12일 낮12시쯤 강원도설악산 동쪽 소토왕성 근처 숲 속에서 1마리가 발견되었다고 신고했다. 한

    중앙일보

    1972.03.13 00:00

  • 경주관광종합개발 계획

    정부는 10일 신라의 천년고도 경주를 국제적인 관광도시로 꾸미기 위한 방대한 종합개발 10개년 계획안을 확정 발표했다. 금년부터 81년까지 2백88억원을 투입, 총 3백여평방㎞에

    중앙일보

    1972.03.11 00:00

  • 사육신묘·종친부 등 6점|지방문화재로 지정 검토

    서울시는 21일 문화재로 지정도 받지 못하고 버려져 있는 사육신묘·종친부·정업원·성제묘, 낙성대, 용봉정 등 6점에 대해 지방문화재로 지정키 위해 서울시 지방문화재 위원회로 하여금

    중앙일보

    1972.02.21 00:00

  • 진도개 순종범위 확대해야

    천연 기념물 53호 진도 견은 순종의 범위를 보다 광범하게 정하여 보호해야할 것이라고 최기철 문화재위원이 주장했다. 진도 견의 우량종 선정을 위해 10일 진도를 답사한 최기철 박만

    중앙일보

    1972.02.14 00:00

  • 파리 시가는 조화이룬 미술작품

    【파리=장덕상 특파원】누구나 파리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라고 한다. 파리가 아름다운 것은 기후가 좋거나 자연이 아름다와서가 아니다. 파리만큼 인간의 힘과 지혜를 짜낸 도시가

    중앙일보

    1972.01.20 00:00

  • (312)백조남획 낙동강하구 철새가 줄어든다

    은백의 병풍처럼 푸른 물결위로 수많은 백조들이 날아오른다. 한겨울 차가운 수면을 튀기며 유영하는 백조의 모습은 북국의 어느 눈부신 설원보다도 아름다운 환상의 세계를 일깨운다. 누가

    중앙일보

    1972.01.12 00:00

  • 짝 잃은 「그 황새」 귀소?

    【충주】구랍 19, 25일과 지난 2일 세 차례 천연기념물 199호인 황새가 충북음성군생극면관성리에 나타나 윤우진씨(50) 등 주민들은 지난해 4월 사냥꾼에 의해 짝을 잃었던 어미

    중앙일보

    1972.01.06 00:00

  • 창경원에 두 경사

    창경원 동물원에 생후6개월 된 어린 사향노루 수컷 1마리가 17일 새로 들어 왔다. 사향노루는 중앙「아시아」·중국·「몽고」·「시베리아」·「사할린」한국 등지에 분포하는 몸집이 작은

    중앙일보

    1971.12.17 00:00

  • 길조 고니

    영국 소설가 「헨리·허드슨」의 단편 하나가 생각난다. 백조의 이야기다. 어느 호수에 매일같이 한 소녀가 「캔버스」를 들고 찾아온다. 호수에 떠 노는 백조를 그리러 오는 것이다. 그

    중앙일보

    1971.12.16 00:00

  • 동해안에 길조 고니떼

    해방 전 몇 마리씩 나타났다가 자취를 감춘 천연기념물 201호 고니가 지난 11월 하순 동해안 강원도 고성군 거진면 화진포와 죽왕면 송지호에 처음 떼로 날아들어 주민들은 길조라고

    중앙일보

    1971.12.14 00:00

  • 문화재 대폭 조수 계획

    윤위영 문공부장관은 13일 72년부터 총1백28억원을 투입, 전국의 1천8백31건의 문화재를 보수·개발하는 문화재 보존관리 5개년 계획을 연내에 확정시킨다고 발표했다. 정부수립 후

    중앙일보

    1971.11.13 00:00

  • 앞당겨오는 단풍 전선|가을 맞이 관광기상도

    10월은 단풍의 계절. 붉고 누런 단풍전선이 점점 남하하고 있으나 올해에는 예년에 비해 단풍이 빨리 선을 보였다가 일찍 지고 말 것 같다. 8일 중앙 관상 대에 따르면 북극 지방의

    중앙일보

    1971.10.08 00:00

  • 자연의 실체-울릉도

    이번 한국자연보존연구회가 실시한 울릉도 학술조사는 문화공보부의 위촉에 의한 것이므로 천연기념물의 보존실태를 파악하여 과학적인 보존책을 수립함과 아울러 천연자원의 개발방도를 강구하려

    중앙일보

    1971.08.23 00:00

  • 사라지는 「울릉도의 자연」

    동해 복판에 자리한 울릉도의 천연기념물들을 포함한 자연자원의 보존은 국토·자연의 보존에서 뿐 아니라 관광개발을 위해서도 중요한 것이다. 한국자연보존연구회의 「울릉도종합학술조사단」(

    중앙일보

    1971.08.17 00:00

  • 울릉도 학술조사

    한국자연보존연구회는 10일∼16일 『울릉도 종합예술조사』를 실시한다. 박만규 교수(고대)를 단장으로 한 울릉도 종합학술조사단은 문공부 지원으로 울릉도 일대의 6가지 천연기념물의 실

    중앙일보

    1971.08.05 00:00

  • 보호조들 중독사

    【김해=서병길·곽기순 기자】농림부가 지난 23일부터 경남도내 일원에 벌이고있는 농약공중살포로 낙동강 하류에 서식하는 보호 새가 많이 죽어가고 있다. 28일 상오 10시쯤 김해군 대

    중앙일보

    1971.07.28 00:00

  • 울릉도 갖가지 특산직물 전시

    동해 심해선 밖에 떨어져있는 울릉도의 갖가지 식물이 화분에 담겨 서울에서 선보이고 있다. 울릉군이 25일∼30일 국립공보관에 마련한 관광사진 및 분재전시회는 육지에서 1백 40km

    중앙일보

    1971.06.26 00:00

  • 황새 쏘아 죽인 이 피고에 집유를 선고

    서울형사지법 합의 7부(재판장 정기승 부장판사)는 23일 천연기념물 제1백 99호인 황새1쌍 중 수놈을 쏘아 죽인 이용선 피고인(46·서울 성동구 행당동 290)에게 문화재관리법

    중앙일보

    1971.06.23 00:00

  • (295)진도 개 순종은 사라져 간다

    진도는 면적이 4백46평방km에 11만3백51명의 인구를 가졌다. 이 진돗개의 내력에 대한 정설은 없지만「모리」박사의 설이 외에 촌 노들의 구전으로 내려오는 몇 가지가 있다. 그

    중앙일보

    1971.06.19 00:00

  • 황새 쏜 사냥꾼에 1년6월 구형

    서울지검 신형조 검사는 16일 하오 천연기념물 제199호로 지정된 수놈 황새를 쏴 죽인 이용선 피고인 (45·서울 성동구 신당 동 290 성 동 방앗간 주인)에게 문화재관리법 및

    중앙일보

    1971.06.17 00:00

  • 제1회 목포 서울 중앙 대역전 앞두고 (1)|제1구간 목포∼광주

    제1회 목포∼서울간 중앙대역전경주대회가 6월9일부터 정서 어린 남쪽항구도시인 목포를 출발하여 5일간 호남평야를 종단하여 13일 서울에 골인한다. 곡창과 풍류로 이름높은 호남평야는

    중앙일보

    1971.06.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