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기착지 미병검사소 도서장정들에 사의

    국방부는 해방후 처음으로 도서와 벽지에 거주하는 어민들이 징병검사를 손쉽게 받을수 있도록 「기착지징병검사제도」를 마련키로 했다.

    중앙일보

    1966.05.16 00:00

  • 해밀턴 징집보류|「존슨」사위후보

    징병당국은 배우 「조지·해밀턴」이 징집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 「존슨」대통령의 큰딸 「린다」양과의 잦은 「데이트」에 새로운 추측을 낳고있다. 이 추측은 「존슨」의 둘째딸 「루

    중앙일보

    1966.04.15 00:00

  • 생계 맡은 가장역의 징집은?

    【문】부는 61세, 모는 56세, 그리고 3명의 아우의 생계를 도맡아 가고있는 28세의 청년인데 군 징집을 면할 수 없는지? 독자 등 징집을 면할 수 있는 조건이 신병역법에 규정되

    중앙일보

    1966.04.14 00:00

  • 인허가 사무 대폭 간소화

    정부는 국민의 일상생활과 관계가 깊은 인·허가 사무에 대하 조사를 끝내고 이를 대폭 간소화하는 보고서를 금명간 대통령에게 보고한다. 행정개혁위원회가 지난해 5월부터 금년 2월에 걸

    중앙일보

    1966.03.25 00:00

  • 미국의 사람…사람을

    우리 나라에서는 인력수출을 위해 지대한 노력을 거듭, 최근에는 해외공관에 인력수출 전담직원까지 파견하리라는 소리까지 있는 이때 미국은 인력부족으로 각계에서 골치를 앓고 있어 좋은

    중앙일보

    1966.02.24 00:00

  • 클레이 역종 변경?

    【워싱턴14일UPI동양】「워싱턴」에 있는 미국 징병국 본부 대변인은 IQ(지능지수)미달로 1-Y역종을 받은 세계「헤비」급 권투 선수권자「캐시어스·클레이」가 금주의 역종 심의에서 1

    중앙일보

    1966.02.16 00:00

  • 「청구권」 사기?

    2차 대전 때 일본정부에 의해 강제동원(군인·군속·보국대·징용 등)되었던 사람들과 그 유족을 상대로 미수노임·장례비 등 모든 청구권을 대리 행사 해준다고 전국 각지의 2만5천여 명

    중앙일보

    1966.02.01 00:00

  • 60세 이상 양친을 모시는 독자 입영한 뒤의 생계가 곤란한데

    【문】 저는 1946년 생으로 금년에 병역신체검사를 받을 연령입니다. 그런데 저는 60세가 넘는 양친을 모시는 독자이며 제가 입영하면 생계가 곤란합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중앙일보

    1966.02.01 00:00

  • 병종으로 징집이 면제된 경우 공직·관허업에 종사할 수 있나

    【문】 저는 징병검사에서 병종을 받아 징집면제자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사원모집공고에 「병역면제자」라고 하고 있으니, 저와 같은 경우는 어떻게 됩니까? 【답】 병역법은 제94조에서

    중앙일보

    1966.02.01 00:00

  • 화·전 모두 비관적인 월남전|뭐든 결정을 내려야 할 때|「맨스필드」보고서-제1부

    「사이공」과 「하노이」를 잇는 19번 도로는 바로 평화와 전면 전쟁의 확 트인 대로. 「아시아」 13개국, 장장 35일간 이 대로를 답사한 「마이크·맨스필드」 미 상원 민주당 총무

    중앙일보

    1966.01.11 00:00

  • "모든 일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중공은 재침 못해

    [임상재특파원]월남전에 있어서 강경론을 펴기로 알려진 미국의 저명한 시사 평론가 「조제프·올소프」씨는 17일 월남전이 더욱 확대되어도 중공이 한국의 휴전선을 재침할 가능성은 『아주

    중앙일보

    1965.12.28 00:00

  • 입대 싫어 「벙어리 25년」

    징병을 기피할 목적으로 4분의 1세기의 세월을 가짜 벙어리 행세를 해온 사나이가 꼬리가 잡혀 「모스크바」에 심심치 않은 이야깃거리가 되고있다. 붉은 「모스크바」에서 멀지 않은 조그

    중앙일보

    1965.12.21 00:00

  • (끝) 앞날은 과히 어둡지 않다.

    ◇기술계 실태 경제기획원이 실시한 제 2차 과학 기술계 인적자원 조사에 의하면 63년 말 현재 우리 나라의 기술계 인적자원은 총 21만1천3백3명. 이 가운데 이공계 대학을 졸업하

    중앙일보

    1965.09.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