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무한대의 창조성을 사랑합니다 ”

    “무한대의 창조성을 사랑합니다 ”

    “칵테일의 세계에서 1+1은 2가 아니라 무한대입니다.” 최근 『스타일리시 칵테일』(중앙북스)을 펴낸 장동은씨의 칵테일 예찬론이다. 옛날에는 싸구려 술의 거친 맛을 없애기 위해

    중앙선데이

    2008.05.24 18:27

  • [틴틴경제] Q: EU가 FTA협상에서 요구하는 ‘지명 표시제’가 뭔가요

    [틴틴경제] Q: EU가 FTA협상에서 요구하는 ‘지명 표시제’가 뭔가요

    Q: EU가 FTA협상에서 요구하는 ‘지명 표시제’가 뭔가요 A: ‘비엔나 소시지’ ‘보르도 와인’ 처럼 유럽 지명 딴 상품명 못 쓰게 하는 거죠 지리적 표시제(geographi

    중앙일보

    2007.10.17 18:52

  • [BOOK깊이읽기] 맥주·와인·차 … 시대의 갈증을 풀어주다

    [BOOK깊이읽기] 맥주·와인·차 … 시대의 갈증을 풀어주다

    역사 한 잔 하실까요? 톰 스탠디지 지음·차재호 옮김 세종서적, 32쪽, 1만3000원 기원전 3000년 중동 지역에서 "맥주 홀을 만든다"는 말은 "풍요로운 시간을 보낸다"는 이

    중앙일보

    2006.06.23 20:30

  • [분수대] 소주

    '쐬주 한잔 오케이?' 퇴근 무렵이면 주당(酒黨)들을 참지 못하게 만드는 말이다. 소주하면 '두꺼비'였던 시절이 있다. 1954년 탄생한 두꺼비는 진로소주의 상징이다. 두꺼비의 인

    중앙일보

    2003.05.21 18:58

  • "우리 토속주 맛 어때요?" 유래와 효과

    바야흐로 세계적 명사들이 한국으로 몰려오고 있다. 문화 월드컵.비즈니스 월드컵을 외치며 거리.숙박업소 단장, 관광코스 개발 등 온 정성을 다해 손님맞이 채비를 해왔다. 이제 최종

    중앙일보

    2002.05.24 10:29

  • 월드컵 손님에 뭘 내놓을까 "우리토속주어때요?"

    바야흐로 세계적 명사들이 한국으로 몰려오고 있다. 문화 월드컵·비즈니스 월드컵을 외치며 거리·숙박업소 단장, 관광코스 개발 등 온 정성을 다해 손님맞이 채비를 해왔다. 이제 최종

    중앙일보

    2002.05.24 00:00

  • [대중출판] '배를 타고 아바나를 떠날때'

    ◇ 중남미 상식 퀴즈1=멕시코의 대표적인 독주 데킬라가 선인장 증류주이고, 알콜도수 40도라는 것은 남성이라면 대부분 안다. 그러면 데킬라란 뜻은 무엇일까? 힌트는 '코냑'을 연상

    중앙일보

    2001.10.20 00:00

  • 뒤섞임의 매력 라틴 아메리카

    ◇ 중남미 상식 퀴즈1=멕시코의 대표적인 독주 데킬라가 선인장 증류주이고, 알콜도수 40도라는 것은 남성이라면 대부분 안다. 그러면 데킬라란 뜻은 무엇일까? 힌트는 '코냑'을 연상

    중앙일보

    2001.10.19 17:18

  • [분수대]술시장 불황

    세상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종류의 술이 있지만 모든 술은 크게 4종류, 즉 원료의 종류에 따라 곡주와 과실주, 제조방법에 따라 발효주와 증류주로 구분된다. 보리를 발효시키면 맥주

    중앙일보

    1998.07.31 00:00

  • [술익는 마을]3. 전남영광 법성포 '토종주'

    조선조 경제.군사적 요충지였던 전남영광군 법성포. 조정의 고관대작들이 수없이 드나들었다. 그들은 칠산앞바다에 배 띄워 놓고 밤을 지샜다. 달빛에 먹힌 잔별 서너개만이 밤하늘을 지키

    중앙일보

    1997.09.18 00:00

  • 소주세율.위스키세율

    「일본의 소주세율이 위스키 세율보다 크게 낮은 것은 부당하니시정하라」는 세계무역기구(WTO)의 판정은 우리에게도 곧 닥칠일이다.따라서 우리도 능동적으로 주세율개정을 검토하지 않으면

    중앙일보

    1996.10.08 00:00

  • 고급소주 경쟁

    술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거의 궤를 같이 하지만 술 가운데서도 증류주(蒸溜酒)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포도주등 양조주(釀造酒)는 알콜도수가 낮아 오래 저장하고 마실 수 없다는

    중앙일보

    1996.06.15 00:00

  • (16)문배주담그기 이경찬옹

    서구사회는 술맛 자랑을 문화의 척도처럼 긍지로 삼는다. 표현의 차이는 있지만 동양에서도 같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유독 한민족의 전통적인 술맛을 자랑할 처지가 못된다. 좋은 술이 없

    중앙일보

    1988.07.27 00:00

  • 제2부(4) 하원에서 발해까지…동양사 5천년의 베일을 벗긴다

    감숙성 임하회족 자치주 화정현 남쪽27㎞의 깊은 산중에 있는 송명암에서 1년마다 대화아라 불리는 소수민족의 노래잔치가 벌어진다. 화아란 청해 감숙을 비롯해 황하상류 유역 각지에 사

    중앙일보

    1986.10.09 00:00

  • 일본에선 "진짜소주"붐이 일고 있는데…|"본고장"한국선 "실종20년째"

    소주라면 내력도 그렇고 맛도 그렇고 일본보다는 한국이 본고장이다. 그런데 요즈음 상황은 뒤바뀐 느낌이다. 일본에서는 소주붐이 일어나 위스키가 타격을 받을 정도인데 비해 한국의 실정

    중앙일보

    1985.05.27 00:00

  • 소주

    요즘 일본에선 소주(소주)「붐」이 대단한 모양이다. 「위스키」나 「브랜디」와 나란히 신장률이 높고 유명인들도 저마다 자신의 기호주로 소주를 꼽고 있다. 필경 맛이 좋고, 당뇨에 영

    중앙일보

    1980.10.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