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한국인에 대한 인식

    청소년들은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한국인은 대체로 허영심이 많고(65%),평화를 사랑하며(55%),부지런하고 현실적(49%)이라고 생각한다.한국과 다른 나라

    중앙일보

    1995.09.03 00:00

  • 3.문화예술의 향유-대중문화 편중

    한국청소년들은 외국의 대중문화에는 매우 익숙하지만 고급문화를접하는 기회는 거의 없어 문화편식현상이 매우 심하다. 조사대상 청소년들이 지난 1년간 직접 관람한 공연예술이나 전시회 등

    중앙일보

    1995.08.31 00:00

  • 2.정보의 세계화

    미래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인 컴퓨터 사용 능력등 우리 청소년들의 정보화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이번 조사대상 중.고생들 가운데 약 67%는 컴퓨터를 어느 정도 사용할 수 있으며 4

    중앙일보

    1995.08.29 00:00

  • 1.언어의 세계화

    세계시민으로서 지구촌을 누비는데 기본「무기」인 외국어,그 중에서도 영어를 우리 청소년들은 아직도 읽고 해석하는데만 비교적익숙할뿐 듣고 말하기는 매우 서툴다. 가벼운 일상대화를 영어

    중앙일보

    1995.08.28 00:00

  • 한국청소년 29%가 "컴맹"

    21세기 지구촌 시대를 살아갈 한국 청소년들의 세계화 수준은어느 정도일까. 영어로 가벼운 일상적 대화를 할수있는 청소년은 8% 미만이고컴퓨터를 전혀 사용할 줄 모르는「컴맹」이 29

    중앙일보

    1995.08.28 00:00

  • 中高生 가치관 10년새 크게 변했다

    우리나라 중.고생의 의식과 가치관이 10여년 사이에 많이 변했다.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능력은 크게 향상된 반면 가치관 형성에 있어서는 소비지향적 경향이 강하고 이기적.개인적 특성이

    중앙일보

    1995.05.08 00:00

  • 초.중생들 교과과정외 가장배우고 싶은 과목 컴퓨터

    「컴맹을 극복하자」. 전남도내 초.중교 학생들이 교과과정외 자율시간에 가장 배우고싶고 또한 국교 학부모들이 자녀교육을 위해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과목으로「컴퓨터」를 선호하는 것으로

    중앙일보

    1995.03.20 00:00

  • 충남 중고생 명예나 사회봉사보다 풍요한 생활 원해

    충남의 중.고등학생들은 명예를 얻거나 사회를 위해 봉사하는 생활보다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생활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교육청이 최근 도내 중학생 1천8백명과 고등학생 3천6백

    중앙일보

    1995.03.13 00:00

  • 중고생 66% "자기시간 부족"-청소년 대화의 광장 조사

    우리 청소년들이 가장 주의를 집중해 하는 일은 잠-TV시청-독서 및 여가활동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공부시간중에서는 학교수업 집중률이 67%로 가장 높고,학원수업이나 개인과외 등이

    중앙일보

    1995.02.16 00:00

  • 탤런트 캐스팅 시청자 결정-MBC"사춘기" 정준

    시청자가 탤런트의 캐스팅여부를 결정하는 시대-. MBC인기드라마『사춘기』제작진은 최근 올봄 드라마내용 개편을앞두고 인기 주연탤런트 정준(16)군을 계속 출연시켜야 할지 여부를 주

    중앙일보

    1995.01.11 00:00

  • 부산시 대부분 중학생 마실물 집에서 가져와

    [釜山=鄭容伯기자]부산시내 중학교 여학생은 78%가량이 학교에서 준비한 식수.수돗물 대신 마실 물을 집에서 직접 가지고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상당수 학생들은 집에서 식수를 준비

    중앙일보

    1994.10.14 00:00

  • 학부모 빈손으로 학교방문 12%뿐-참사랑 학부모회 조사

    올해 1학기에 한국의 학부모들은 평균 2회이상 학교를 방문했다. 자녀의 담임교사를 만난 이유는 학부모 모임 참가,예의상,자녀교육문제 상담 등의 순서.이때 약12%를 제외한 대부분의

    중앙일보

    1994.09.28 00:00

  • 江南학생 月과외비 최고 천20만원-월간중앙 10월호 조사

    과외실태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서울의 강남.서초.송파구의 주민 10명중 8.7명이 자녀들에게 과외를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월 평균 과외비는 23만3천원이고,1천만원 이상의 과외비

    중앙일보

    1994.09.15 00:00

  • 중고생 17% 음란.욕설 전화 해봤다-청소년개발원 조사

    중.고생 5명중 1명정도가 호기심이나 별다른 이유 없이 음담패설.욕설등 전화폭력을 해봤으며,대학생을 포함한 청소년의 절반정도가 전화폭력을 당해본 경험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중앙일보

    1994.07.04 00:00

  • 청소년개발원 청소년 비행 "가정지도편람" 발간

    내 자식이 설마… 공부도 잘하고 집에서 이만큼 뒷바라지도 해줬는데…. 굳게 믿었던 자녀가 흡연을 하거나 음란비디오를 보고 상습적인본드흡입등 문제행동을 하는 것을 뒤늦게 알고 당황하

    중앙일보

    1994.03.04 00:00

  • 공평한 교사 가장 선호-부산 남중학교 김철곤교사 조사

    부산시내 중학생들은 모든 일에서 공평하게 대해주는 교사를 가장 좋아하며 수업시간의 소란이 학생들 사이에 가장 큰 갈등의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영도구남항동 부산남중학교 金哲

    중앙일보

    1994.01.03 00:00

  • 중학생/TV 하루 2∼4시간 본다/김학천교수 「청소년과 방송」논문

    ◎「교양」보다 「오락」프로 즐겨/장르는 드라마가 “1위” TV방송사들의 시청률 경쟁과 상업주의 경향으로 청소년층에서 방송의 역기능인 소비와 일탈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

    중앙일보

    1993.11.27 00:00

  • 30끝.진로교육-외면당하는 실업고진학생

    『그럼 차라리 잠이나 잘까요?』 평소 의젓한 편이던 학생이 수업시간에 보던 만화책을 교사에게 빼앗기고도 무안해하기는커녕 오히려 비꼬는 말투로 대들다시피하는 바람에 朴鎭泳교사(38.

    중앙일보

    1993.11.19 00:00

  • “「책의 해」 책 좀 읽읍시다”/한국출판연구소 조사

    ◎성인 50%가 한달에 한권도 안읽어 책의 해에 책을 안 읽는다. 우리나라 성인의 약 반수는 한달에 한권의 책도 읽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출판연구소와 책의해 조

    중앙일보

    1993.11.10 00:00

  • 청소년 오락프로 너무 즐긴다-방송위 시청행태 조사

    우리나라 어린이.청소년들은 코미디등 오락프로를 많이 보고 다큐멘터리등 교양프로는 자주 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비디오테이프의 경우도 폭력.선정적인 성인영화를 자주 빌려보고 있

    중앙일보

    1993.11.06 00:00

  • 중고수험생 어지럼증 많다-청소년대화의광장,수면실태 분석

    대학입시를 앞둔 청소년들은「4當5落」이니「3當4落」이라는 유행어를 만들어냈지만 사실상 성적이 하위권인 학생들 가운데 하루평균 잠자는 시간이 5시간이하인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

    중앙일보

    1993.09.16 00:00

  • (18)이순열 교사의 성교육|막막해도 더 이상 미룰수야…

    어떤 문제든 가급적 10대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귀기울이며 이해해주려 애쓰는 덕분에 상담교사가 아닌데도 학생들이 곧잘 찾아와 속 얘기를 털어놓는 김미현 교사(서울 P중)는 자극 많은

    중앙일보

    1993.08.06 00:00

  • 청소년 68%가 한국인 된 것 자부심|삼성복지재단 10대 4천여명 의식조사

    한국 10대 청소년들이 만족스럽게 여기는 것은 친구관계(약73%), 가정생활(69%), 학교생활(53%), 자기 자신(31%), 사회전반(1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삼성복지

    중앙일보

    1993.06.01 00:00

  • 중고생 65%가 “나는 행복”

    한국 청소년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신이 행복하다는 느낌이 크게 줄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나면 지금보다 행복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대화의 광장」(원장

    중앙일보

    1993.04.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