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사에게 듣는다④ MIKTA 주재 대사 "AIIB 한-호 찰떡공조, 믹타효과"

    대사에게 듣는다④ MIKTA 주재 대사 "AIIB 한-호 찰떡공조, 믹타효과"

      한국이 주도한 중견국협의체 믹타(MIKTA) 회원국에 주재하는 대사들이 ‘믹타 효과’를 논했다. 재외공관장회의 참석차 방한한 계기에 1일 열린 합동좌담회에서다. 믹타는 멕시코

    중앙일보

    2015.04.02 11:56

  • [배명복 칼럼] 자화자찬 한국 외교

    [배명복 칼럼] 자화자찬 한국 외교

    배명복논설위원·순회특파원 지난주 뉴욕타임스의 국제판인 인터내셔널 뉴욕타임스 오피니언면에 눈길을 끄는 만평이 실렸다. 한국 지도가 그려진 도박판에서 미국과 중국 지도자가 각각 판돈을

    중앙일보

    2015.03.31 00:09

  • 윤병세 "미중 러브콜, 딜레마 아닌 축복" 작심발언 논란

    윤병세 "미중 러브콜, 딜레마 아닌 축복" 작심발언 논란

      30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재외공관장회의 개회사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우리의 전략적 가치를 통해 미중 양측으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상황은 결코 골칫거리나 딜레마 아닌

    중앙일보

    2015.03.30 14:56

  • AIIB도 미국 눈치보다 선점효과 놓쳐

    미국 눈치를 보며 시간만 끌다 선점 효과를 놓쳐버렸다.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이야기다. 뒤늦게 참가한다 해도 인도·영국·뉴질랜드보다 늦은 스물아홉 번째 자

    중앙일보

    2015.03.17 01:02

  • 마케도니아에 한국대사 없는 건 알렉산더 대왕 때문 ?

    마케도니아에 한국대사 없는 건 알렉산더 대왕 때문 ?

    할슈타인 원칙(Hallstein Doctrine)은 1970년대까지 한국 외교를 지배했던 대원칙이다. ‘동독과 수교한 나라와는 외교 관계를 맺을 수 없다’는 서독의 정책에서 따왔다

    중앙일보

    2015.02.28 00:41

  • 중견국 협의체 MIKTA 서울서 첫 고위급회의

    한국이 주도하는 중견국 협의체 믹타(MIKTA·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터키, 호주의 영문 국명 머릿글자를 딴 명칭) 첫 고위급회의가 오는 27일 서울에서 열린다. 외교부는 2

    중앙일보

    2015.02.24 15:37

  • [시론] 새 지역 간 네트워크로 부상하는 믹타

    [시론] 새 지역 간 네트워크로 부상하는 믹타

    테러리즘, 에볼라 바이러스, 세계 경제위기 등…. 각종 도전이 급증하는 시대에 새로운 형태의 지역 간 파트너십이 건설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까? 1년 전, 이에 대한 우리의

    중앙일보

    2014.12.23 00:03

  • '미생(未生)' 이 주목한 그곳…윤병세 중동외교 요르단 주목

    '미생(未生)' 이 주목한 그곳…윤병세 중동외교 요르단 주목

    “작지만 명예를 소중히 여기고, 공정함을 추구하는 나라, 하지만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치솟는 물가에 힘들어 하는 나라, 우리처럼 자원이 부족해 외교력에 의지한 산업기반을 이루는 나

    중앙일보

    2014.12.18 13:52

  • 정의화 의장, 중국 인도네시아 순방…내일 시진핑 면담

    정의화 국회의장이 6박 8일 일정으로 중국ㆍ인도네시아를 순방하기 위해 17일 출국했다. 정 의장은 이날 중국 베이징에 도착해 권영세 주중 대사와 오찬을 함께하고 오후에는 장더장(張

    중앙일보

    2014.12.17 11:20

  • 조코위 한때 방한 머뭇 … 박 대통령 "부산 꼭 오시라" 설득

    조코위 한때 방한 머뭇 … 박 대통령 "부산 꼭 오시라" 설득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이 11일과 12일 부산으로 몰려온다. 부산 벡스코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리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등 10개국 연합체인 아세안은 인

    중앙일보

    2014.12.10 01:45

  • [특별 기고] 한국 외교의 새 지평, 믹타

    [특별 기고] 한국 외교의 새 지평, 믹타

    역사상 지금처럼 인류의 운명이 긴밀히 연결된 적은 없었다. 어느 누구도 에볼라 바이러스, 기후변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 빈곤 등과 같은 범지구적 문제들로부터

    중앙선데이

    2014.10.26 03:44

  • [특별기고] 한국 외교의 새로운 지평, 믹타

    역사상 지금처럼 인류의 운명이 긴밀히 연결된 적은 없었다. 어느 누구도 에볼라 바이러스, 기후변화, ISIL(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빈곤 등과 같은 범지구적 문제들로부터 자

    중앙일보

    2014.10.25 19:29

  • 한국 등 9개 중견국 '공공외교 네트워크' 출범

     9개 중견국 공공외교 대표기관이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글로벌 공공외교 네트워크(Global Public Diplomacy Network·GPD넷)'가 23일 서울에서 출범했다

    중앙일보

    2014.10.23 15:13

  • 에볼라 의료진 10~20명 아프리카 파견

    정부는 17일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서아프리카에 파견할 긴급구호팀(KDRT) 구성에 착수했다. 의사·간호사·역학조사관·군의관 10~20명으로 의료진을 구성하고, 다음 달

    중앙일보

    2014.10.18 01:31

  • 다자외교 속 파격외교

    다자외교 속 파격외교

    미국 시카고대의 존 미어셰이머 교수는 2000년대 초반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이라는 책을 저술해 일약 세계적인 국제정치학자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이 책에서 그는 영국·중국·러

    중앙선데이

    2014.10.12 02:41

  • 장병월급 15% 인상…내년 국방예산 37조 6000억원 책정

    내년도 국방예산(안)은 올해보다 5.2% 증액된 37조 6000억원으로 책정됐다. 지난해 상승치인 4.2%보다 1%포인트가 올랐다. 특히 '윤일병 예산'이 크게 확충됐다. 군 당

    중앙일보

    2014.09.18 16:43

  • "한·일관계 개선의지 확실히 보였다"

    박근혜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대해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북한과 일본을 향해 미래지향적인 제안을 했다며 의미 있게 봤다. 주도적으로 외교 관계를 풀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연설이란 평

    중앙일보

    2014.08.16 02:05

  • "내 편 최대한 확보가 핵심 … 중견국 외교로 가야"

    #지난달 3일 청와대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공동기자회견 때 미국 정부 관계자들이 관심 있게 지켜본 것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대한 언

    중앙일보

    2014.08.14 01:02

  • 기대 못 미친 '한국 인지도'…그래도 싸이와 삼성,김치

    기대 못 미친 '한국 인지도'…그래도 싸이와 삼성,김치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서 1990년대 '핵'전쟁위험 국가로, 21세기 들어선 '싸이'와 '한류(韓流)'로 유명해진 나라. 2014년 대

    중앙일보

    2014.07.25 14:52

  • '핫 피스'시대 … 미국의 굴욕

    '핫 피스'시대 … 미국의 굴욕

    #러시아 전투기는 미 군함을 위협했다. 고도 150m까지 내려와선 스치듯 비행하기를 반복했다. 미 군함 경고는 무시됐다. 러시아 전투기 수호이-24는 미 해군 구축함 도널드 쿡함을

    중앙일보

    2014.04.16 01:25

  • 미·중·러에 낀 한국 … "모두 만족시킨다는 집착 버려라"

    “더 이상 특정 국가에 의존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독자 행보로는 얻을 수 있는 게 없다.”  다극화 시대, 한국이 처한 국제적 위상을 전문가들은 이같이 평가한다. 한·미동맹 중심

    중앙일보

    2014.04.16 01:15

  • [기고] 통일은 꿈꾸고 준비해야 온다

    [기고] 통일은 꿈꾸고 준비해야 온다

    윤병세외교부장관 올해는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25주년이다. 독일은 오늘날 G8이자 유럽 최강의 중심국가로서 국제평화에 기여하는 모범국가로 탈바꿈했다. 반면 우리는 내년이면 분단

    중앙일보

    2014.02.12 00:29

  • “북핵 해결 위해 中 납득할 동북아 핵안보체제 필요”

    “북핵 해결 위해 中 납득할 동북아 핵안보체제 필요”

    존 아이켄베리(59) 미국 맨체스터대를 마친 뒤 시카고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땄다. 이후 브루킹스 연구소, 우드로 윌슨 국제센터, 조지타운대에서 일했으며 미 국무부 정책기획국에

    온라인 중앙일보

    2013.11.24 00:02

  • “북핵 해결 위해 中 납득할 동북아 핵안보체제 필요”

    “북핵 해결 위해 中 납득할 동북아 핵안보체제 필요”

    존 아이켄베리(59) 미국 맨체스터대를 마친 뒤 시카고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땄다. 이후 브루킹스 연구소, 우드로 윌슨 국제센터, 조지타운대에서 일했으며 미 국무부 정책기획국

    중앙선데이

    2013.11.23 2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