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부고] 김성진(전 한겨레신문 광고부국장) 부친상 外

    ▶김성진(전 한겨레신문 광고부국장)·응진(에이치텍이엔지 전무)·재진(섬김의교회 담임목사)·화진씨(전 SBS골프채널 본부장)부친상=16일 오후 4시 연세대세브란스병원, 발인 19일

    중앙일보

    2012.07.18 00:08

  • 시와 의회 사이에 낀 ‘배곧신도시’ 이름

    시와 의회 사이에 낀 ‘배곧신도시’ 이름

    시흥시에 들어서는 중형 신도시인 군자지구의 명칭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시가 한글로 된 새 이름을 지으려 하자 기존 지명을 지키려는 시의회와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명

    중앙일보

    2012.02.22 00:27

  • [인사] 국무총리실 外

    ◆국무총리실▶정무운영비서관 김태한 ◆방송통신위원회▶기획조정실장 최재유▶국방대학교 교육파견 송정수 ◆기획재정부▶장관비서관 박금철▶홍보담당관 유수영▶운영지원과장 강환덕▶정책관리담당관

    중앙일보

    2012.02.02 00:00

  • [인사] 기획재정부 外

    ◆기획재정부▶장기전략국장 최광해▶국제경제관리관 최종구▶민생경제정책관 이찬우▶정책조정기획관 장호현▶국제금융정책국장 은성수▶국제금융심의관 유광열▶국제금융정책국 외화자금과장 윤태식 ◆국

    중앙일보

    2012.01.31 00:00

  • ‘뿌리 깊은 나무’에는 없는 역사 속 한글 논쟁

    ‘뿌리 깊은 나무’에는 없는 역사 속 한글 논쟁

    한글 반포는 조선이 중화(中華)의 지배를 벗어나 독자적인 국가임을 선언하는 일이다. 따라서 명(明)은 조선의 한글 창제와 활용을 결코 용납하지 않으리라.’ SBS사극 에 등장하는

    온라인 중앙일보

    2012.01.23 00:05

  • [BOOK] 일본학자도 푹 빠진 ‘놀라운 한글’

    [BOOK] 일본학자도 푹 빠진 ‘놀라운 한글’

    한글의 탄생 노마 히데키 지음 김진아·김기연·박수진 옮김 돌베개, 448쪽, 1만5000원 진정한 혁신은 세계를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관념 자체를 바꾸는 것이다. 이

    중앙일보

    2011.10.08 00:21

  • 옷 입기 자신 없다면? 패션브랜드 SNS에 놀러오세요

    옷 입기 자신 없다면? 패션브랜드 SNS에 놀러오세요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하 SNS)가 인기다. 패션 브랜드들도 예외는 아니다. 대표적인 SNS인 블로그·트위터·페이스북 등을 통해 신제품 출시 소식은 물론 다

    중앙일보

    2011.08.10 00:07

  • 두계학술상 수상자 송철의 교수 선정

    두계학술상 수상자 송철의 교수 선정

    두계학술상 제30회 수상자로 단행본 『주시경의 언어이론과 표기법』(서울대출판문화원)을 낸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송철의(59·사진) 교수가 선정됐다. 이 상은 진단학회(회장 김두진)

    중앙일보

    2011.05.07 00:19

  • 배재대 단과대학 내년부터 9개 → 5개로

    대전 배재대가 내년 신학기부터 현행 1부 9개 단과대학을 5개 단과대학으로 줄인다. 단과대학 이름도 기존의 학문분야를 표기하는 방식에서 대학의 설립자나 동문의 이름으로 바꾼다.

    중앙일보

    2011.05.04 00:55

  • [인사] 조선경제아이 대표 김영수씨 外

    조선경제아이 대표 김영수씨 조선경제아이 는 9일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열고 김영수 조선일보 기사기획에디터(경제·산업 담당)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행정안전부▶한국지역정보개발원

    중앙일보

    2011.02.10 00:09

  • 이승만 독립정신, 소월 詩心…이 땅에 근대의 씨 뿌리다

    이승만 독립정신, 소월 詩心…이 땅에 근대의 씨 뿌리다

    옛 배재학당 동관에 눈이 내린다. 이 건물 안에서 근대교육이 싹텄다. 아담하지만 멋지고 당당한 건물에는 체험교실과 상설 전시실, 기획 전시실, 세미나실이 있다. 신동연 기자 나는

    중앙선데이

    2011.01.23 00:08

  • 세종대로 한글문화 중심지로

    국가 상징 거리인 서울 세종대로 주변이 한글 문화관광의 중심지로 조성된다. 김병하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12일 “세종대로 광화문~세종로사거리 주변인 통의·통인·내수·세종로동 일대

    중앙일보

    2011.01.13 00:30

  • [브리핑] 한글문화연대 外

    ◆한글문화연대(대표 고경희)는 올해의 ‘우리말 사랑꾼’으로 우정사업본부, 박준영 전남도지사, 조장희 서울 신일중학교 교사를 뽑았다. 우정사업본부는 2011년 우체국 새해 인사 엽서

    중앙일보

    2010.12.31 00:25

  • 이정봉 기자의 도심 트레킹 ⑫ 정동길

    이정봉 기자의 도심 트레킹 ⑫ 정동길

    정동길의 들머리에 있는 이화여고 돌담길. 대한제국 초기 지어진 붉은 벽돌 건물들이 모여 있는 ‘브릭로드’이기도 하다.걷기 열풍이 불기 이전에도 걷기 좋은 길은 있었다. 그중 대표적

    중앙일보

    2010.10.08 00:01

  • [중앙시평] 나의 살던 고향은

    수백 년에 걸쳐 프랑스와 독일의 지배를 번갈아 받아온 알자스로렌 지방 사람들은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한다. 그 때문에 자기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는 일이 많았다. 알자

    중앙일보

    2010.08.16 00:17

  • [인사] 국무총리실 外

    ◆국무총리실▶규제개혁실장 최병록 ◆국토해양부▶인천지방해양항만청 해양교통시설과장 석영국▶국립해양조사원 해도과장 김진섭 ◆관세청▶인천공항세관 휴대품통관국장 피재기▶부산세관 통관국장 박

    중앙일보

    2010.07.03 00:23

  • 칼을 든 혁명투사에서 청진기 든 의사가 된 서재필

    칼을 든 혁명투사에서 청진기 든 의사가 된 서재필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서재필기념관 앞의 표지판. 필라델피아 인근 미디어에 있는 서재필기념관 입구에는 펜실베이니아 역사박물관 위원회가 세운 표지판(사진)이 있다.

    중앙선데이

    2010.03.22 10:09

  • 칼을 든 혁명투사에서 청진기 든 의사가 된 서재필

    칼을 든 혁명투사에서 청진기 든 의사가 된 서재필

    서재필기념관 앞의 표지판. 필라델피아 인근 미디어에 있는 서재필기념관 입구에는 펜실베이니아 역사박물관 위원회가 세운 표지판(사진)이 있다. 거기에는 ‘서재필이 한국 민주화의 씨를

    중앙선데이

    2010.03.21 00:31

  • “한국인들은 하늘을 받들어 … 하나님으로 합시다”

    “한국인들은 하늘을 받들어 … 하나님으로 합시다”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신(神)이 어떻겠소?” “막연하오. 절대자 야훼가 지닌 유일신 개념을 담아야 하오.” “한국의 토착신과 혼동되면 안 되고요.” 네 명의

    중앙선데이

    2010.01.06 14:07

  • “한국인들은 하늘을 받들어 … 하나님으로 합시다”

    “한국인들은 하늘을 받들어 … 하나님으로 합시다”

    관련기사 조선을 깨운 이방인들, 한국인의 혼이 되어 잠들다 “신(神)이 어떻겠소?”“막연하오. 절대자 야훼가 지닌 유일신 개념을 담아야 하오.”“한국의 토착신과 혼동되면 안 되고

    중앙선데이

    2010.01.02 21:59

  • ‘잡탕’ 우리말 사전, 언제 고칠건가

    ‘잡탕’ 우리말 사전, 언제 고칠건가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한글학회 김승곤(82) 회장이 ‘조선어학회 사건’(1942~43)으로 일제에 검거된 당시 회원 33인의 사진 앞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앙선데이

    2009.12.27 13:19

  • ‘잡탕’ 우리말 사전, 언제 고칠건가

    ‘잡탕’ 우리말 사전, 언제 고칠건가

    한글학회 김승곤(82) 회장이 ‘조선어학회 사건’(1942~43)으로 일제에 검거된 당시 회원 33인의 사진 앞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정동 기자 한글을 공식 문자로 채택한

    중앙선데이

    2009.12.27 01:47

  • [그때 오늘] 일제하의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 … 서러운 ‘가갸날’ 기념식

    [그때 오늘] 일제하의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 … 서러운 ‘가갸날’ 기념식

    일제하의 학교 수업. 학생은 모두 한국인이지만 교실 안의 글자는 한자와 가나뿐이었다. 일제 강점기 공교육에서 조선어 교육은 계속 축소되다가 끝내는 사라졌다(『사진으로 보는 한국백년

    중앙일보

    2009.11.05 00:21

  • 가자! 한글 체험하러~

    가자! 한글 체험하러~

    한글체험관은 화려하지 않다. 잘 모르면 찾아가기도 어렵다. 하지만 방문해보면 알짜배기자료가 숨어있는 보물창고와 다름없다. 조용한 곳에 숨어 그 가치를 알고 찾아오는 사람에게만 아낌

    중앙일보

    2009.10.05 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