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주말 가볼만한 곳] 제주, 철새 요람으로 뜬다

    ‘자연의 보고(寶庫)’ 제주도가 철새들의 요람으로 부상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11월 한달동안 도내 북제주군 구좌읍 하도 ·종달리와 다려도,한경면 용수저수지,남제주군 성산양어장등

    중앙일보

    2001.12.08 00:00

  • [퇴직교원 정부포상자 명단]1

    ◇청조근정훈장 ▲尹亨遠(충남대학교 총장) ▲金世烈(한남대학교 총장) ▲朴五華(한국항공대학교 총장) ▲趙文富(제주대학교 총장) ▲高長權(제주대학교 전총장) ▲李鍾훈(중앙대학교 전총장

    중앙일보

    2001.02.20 14:11

  • 희귀철새 제주도에 속속 찾아와

    제주도가 희귀 철새들의 요람이 되고 있다. 15일 제주대 박행신(朴行信.과학교육과)교수등 조류전문가들에 따르면 천연기념물 323호인 황조롱이가 북제주군 구좌읍 하도양어장에서 최근

    중앙일보

    2000.12.16 00:00

  • 제주는 철새의 낙원…매년 40~50종 5천여마리 날아와

    환경의 보고(寶庫) 제주도가 철새들의 천국인 것으로 입증됐다. 제주도 북제주군은 최근 학계.주민 등을 중심으로 겨울철새 도래 실태를 분석한 결과 매년 40~50종의 겨울철새 5천여

    중앙일보

    1999.11.15 00:00

  • 제주도심 제비 배설물 날벼락

    『제비의 배설물을 피해 뛰어라.』 이달들어 유흥가와 상가가 밀집된 제주시 중앙로 중앙성당 주변 사방 1백여 구간은 제비비상이 걸렸다.저녁무렵 다정히 손 잡고 이곳을 거닐던 연인들은

    중앙일보

    1996.09.14 00:00

  • 박행신,한국조류학회 회장에

    ◇朴行信 제주대 교수는 최근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한국조류학회 제3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에서 신임 회장에 피선.

    중앙일보

    1996.04.17 00:00

  • 오염피해 먹이찾아 철새 대이동-바뀌는 도래지

    우리나라를 찾는 겨울 철새가 전체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최대 철새 도래지였던 낙동강하구 을숙도와 주남저수지가 개발.환경오염으로 점차 철새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반면 서해안

    중앙일보

    1995.01.27 00:00

  • 백록담에 꽃사슴 뛰놀게 한다/한 병원장이 한라산에 여섯마리 방생

    ◎“97년까지 백마리… 상징동물 되찾도록” 『부디 많이 번식해 옛날같은 영화를 누려라.』 나무우리 문이 일제히 열리자 그 속에 있던 꽃사슴 여섯마리가 힘차게 뛰어나와 한번 껑충 뛰

    중앙일보

    1992.08.20 00:00

  • 한라산 「생태계 파괴」중병/입산객 폭발 잇단 산사태 방치

    ◎천연보호구역 곳곳 “흙마당”/원시림·희귀생물 멸종위기 【한라산=신상범기자】 국토남단의 영산 한라산이 중병을 앓고있다. 산을 파헤쳐 만든 5개 등산로(총연장 43㎞,너비 1.5m)

    중앙일보

    1991.11.04 00:00

  • 보호조 큰 오색 딱다구리 한라산 중턱에 집단서식

    ○…전국적인 보호조이며 제주도 특별 야생 보호조인 제주 큰 오색 딱다구리가 해발 4백m고지의 한나산 산림지구인 제주시 아나동 관음사일대 밤나무 밭에서 집단서식하고 있음이 14일 밝

    중앙일보

    1983.06.15 00:00

  • 제주에 희귀조 따오기 닮은 1마리

    【제주=연합】따오기로 보이는 희귀조 1마리가 북제주군 답좌면 하도리 저수지에서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마을 주민들에 따르면이 새는 지난20일부터 이곳에 나타나 저수지

    중앙일보

    1982.11.25 00:00

  • 한라산 분화구서 발견한 나비는 "산 굴뚝나비가 아니다"

    제주대 박행신 교수「팀」이 한라산 분화구에서 발견한 것으로 알려진 산굴뚝 나비(본지2월6일자 일부지방 7일자 4면)는 산 굴뚝나비가 아니라는 주장이 나왔다. 나비 연구가 미승우씨(

    중앙일보

    1978.02.17 00:00

  • 우리나라 미기록 곤충 3종 발견

    한라산분화구 일대에서 우리나라 미기록 곤충 3종과 목본 2종이 제주대 박행신 교수「팀」에 의해 발견됐음이 1일 확인됐다. 박교수「팀」은 76년부터 77년 8월까지 2년에 걸쳐 한라

    중앙일보

    1978.02.06 00:00

  • 3∼4천년전 동물의뼈 발견

    【제주】10일북제주군애월면어음리 빌레못굴에서 약 3∼4천년전의 동물로 보이는 소만한크기의 초식동물뼈가 발견됐다. 제주대 박행신교수와 동굴전문가 부종휴씨는 10일 빌레못굴을답사, 굴

    중앙일보

    1973.03.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