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글 만든 세종대왕과 '한글과컴퓨터'의 따뜻한 만남

    한글 만든 세종대왕과 '한글과컴퓨터'의 따뜻한 만남

    지난 2011년 10월 세종대왕릉 지킴이 활동에 나선 한글과컴퓨터 임직원들. 문화재 관련 퀴즈를 풀고 있다. 이름 이도, 자는 원정(元正). 조선시대 4대 임금으로 즉위 25년이던

    중앙일보

    2013.05.24 03:10

  • 한명회 욕심 없는 척 말년 보낸 압구정, 지금은 간 데 없고 …

    한명회 욕심 없는 척 말년 보낸 압구정, 지금은 간 데 없고 …

    압구정 현대아파트 74동 뒤에 세워져 있는 압구정터 표지석. [김경록 기자] 압구정(狎鷗亭)은 1453년 계유정난을 일으켜 수양대군을 왕위에 등극시킨 한명회(韓明澮, 1415~87

    중앙일보

    2012.04.05 04:29

  • [Old&New] 선정릉

    [Old&New] 선정릉

    최병식 강남문화원 부원장(문학박사·고고학자)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선정릉(사적 제199호)은 조선 제9대 왕 성종(成宗, 1457~94)과 계비(繼妃) 정현왕후(貞顯王后, 1462~

    중앙일보

    2012.03.22 04:0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왕의 급서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왕의 급서

    세종의 아들 문종은 재위 2년(1452) 5월 14일 서른아홉 살로 세상을 떠났다. 『문종실록』은 “이때 사왕(嗣王·단종)이 어려서 사람들이 믿을 곳이 없었으니, 신민의 슬퍼함이

    중앙일보

    2011.12.21 00:00

  • 마당의 빛, 간접 조명으로 쓰려고 … 기둥 높이만큼 처마 길게 늘여

    마당의 빛, 간접 조명으로 쓰려고 … 기둥 높이만큼 처마 길게 늘여

    서울은 궁궐 도시다. 조선시대 5개 궁궐 경복궁·창덕궁·창경궁·경희궁·경운궁이 있다. 이덕수 선생의 신궁궐기행에 따르면 임금과 그 가족들이 살던 집이 궁(宮)이다. 중국에선 궁의

    중앙선데이

    2011.09.24 23:46

  • [BOOK] 혼자 먹기 아까운 조기 … 임금에게 진상한 사연

    [BOOK] 혼자 먹기 아까운 조기 … 임금에게 진상한 사연

    비굴이 아니라 굴비옵니다 김은의 글 김언희 그림 학고재 112쪽, 9000원 우리 문화 속의 상징과 의미들을 재미있게 풀어가는 ‘쇳대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이다. 이번엔 우리 전

    중앙일보

    2010.11.13 00:01

  • 조선 왕을 말하다

    조선 왕을 말하다

    ▶ 조선 최고의 왕과 최악의 왕은 누구인가? "역사학자 이덕일, 조선 왕들의 업적을 평가하고 핵심 쟁점을 바로잡다! 역사를 살펴보면 변화를 미리 예측하고 사회를 미래지향적인 방향

    중앙일보

    2010.06.01 11:34

  • [BOOK] 세종 업적 중 태반은 아버지 태종 덕…이순신 살았다면 선조가 살려뒀을까

    [BOOK] 세종 업적 중 태반은 아버지 태종 덕…이순신 살았다면 선조가 살려뒀을까

    역사는 단순한 ‘지나간 일의 기록’만이 아닙니다. 역사를 일러 ‘승자의 기록’이라 폄하하는 목소리도 있고, 무턱대고 옛날이 좋았다는 시각 또한 경계해야 하지만 역사는 미래로 향하

    중앙일보

    2010.05.28 18:52

  • 사신 보내 明 황제 설득, 윤관이 개척한 북쪽 땅 되찾아

    사신 보내 明 황제 설득, 윤관이 개척한 북쪽 땅 되찾아

    중국 흑룡강성 쌍성보의 동문(東門)인 승욱문. 쌍성보는 여진족의 주요 근거지 가운데 하나였고 금나라 시대엔 거란족의 요나라와 전투를 벌인 지역이었다. 승욱문은 청나라 동치제 때

    중앙선데이

    2010.04.25 02:05

  • 남의 힘으로 왕이 된 성종, 현실과의 타협은 숙명

    남의 힘으로 왕이 된 성종, 현실과의 타협은 숙명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목숨 걸고 권력 쟁취에 나섰다가 불행해진 정객이 많은 반면 권력이 그냥 굴러 들어오는 행운아도 없지 않다. 권력을 줍는 행운을 누릴 수는

    중앙선데이

    2010.03.22 10:21

  • 남의 힘으로 왕이 된 성종, 현실과의 타협은 숙명

    남의 힘으로 왕이 된 성종, 현실과의 타협은 숙명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蔥臺試藝圖) 국왕이 서총대에 친히 나가서 활쏘기 우승자에게 말 두 필을 하사하는 내용의 그림이다. 고려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다. 사진가 권태균 절반의 성공

    중앙선데이

    2010.03.21 00:30

  • [분수대] 비둘기의 수난

    [분수대] 비둘기의 수난

    비둘기가 평화의 상징이 된 것은 아마도 구약성서의 ‘노아의 방주’ 이야기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인간의 죄악을 한탄한 신이 폭우를 내려 온 세상이 물에 잠겼다. 방주에서 한 동안 머

    중앙일보

    2010.03.12 00:25

  • 권력은 공신들 손에 … 열두 살 임금은 때를 기다렸다

    권력은 공신들 손에 … 열두 살 임금은 때를 기다렸다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현실에 참여해 활동하는 것 못지않게 때를 기다리는 것도 중요하다. 때가 아닌데도 섣불리 나섰다가 불행한 종말을 맞은 사례는 무수히 많다.

    중앙선데이

    2010.02.16 10:40

  • 권력은 공신들 손에 … 열두 살 임금은 때를 기다렸다

    권력은 공신들 손에 … 열두 살 임금은 때를 기다렸다

    ◀압구정 한명회는 속세에 뜻이 없음을 표하기 위해 한강변에 압구정을 지었으나 훗날 많은 문인들의 조롱을 받았다. 사진가 권태균 예종의 급서에 의문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는 데는

    중앙선데이

    2010.02.12 14:20

  • 기다렸다는 듯 … 예종 승하한 날에 성종 즉위식

    기다렸다는 듯 … 예종 승하한 날에 성종 즉위식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정치가는 냉철한 현실인식 위에서 이상을 추구하는 직업이다. 예종은 공신 집단이 권력을 장악한 현실을 무시하고 이상만 추구하다가 역습을 당했

    중앙선데이

    2010.02.08 10:57

  • 기다렸다는 듯 … 예종 승하한 날에 성종 즉위식

    기다렸다는 듯 … 예종 승하한 날에 성종 즉위식

    경기도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광릉. 정희왕후 윤씨는 장손 월산군을 제치고 한명회의 사위 자산군을 예종의 후사로 결정했다. 사진가 권태균 절반의 성공 성종①

    중앙선데이

    2010.02.07 21:08

  • 300년 고목서 수확한 곶감 맛은?

    300년 고목서 수확한 곶감 맛은?

    300년 고목에서 수확한 곶감의 맛은 어떨까. 신세계백화점이 올해 설 선물세트로 ‘보호수지정 곶감세트’를 마련했다. 60개 한 세트로 값은 18만원, 총 100세트, 6000개다

    중앙일보

    2010.01.13 13:45

  • Special Knowledge 무속의 신이 된 역사 속 그들

    Special Knowledge 무속의 신이 된 역사 속 그들

    단종의 유배지로 유명한 강원도 영월에서는 매년 단종제가 열립니다. 단종제가 끝나면 제상의 대추를 얻으려는 이들이 줄을 짓습니다. 아이 못 낳는 사람에게 신비한 효험이 있다는 믿음

    중앙일보

    2009.11.26 08:30

  • 장희빈 아들, 경종의 운명은

    조선시대 독살 의혹이 가장 강한 임금은 예종과 경종이다. 경종은 어머니 장희빈이 사약을 받았지만 살얼음판 같은 대리청정의 관문을 넘어섰다. 하지만 재위 기간은 4년뿐이었다.

    중앙선데이

    2009.10.18 03:39

  • [분수대] 멧돼지

    [분수대] 멧돼지

    세종 13년(1431년) 8월. 강원도 회양부에서 강무장(講武場)의 사냥 금지령을 해제해 달라는 상소가 올라왔다. 강무장은 임금과 신하들이 사냥을 하며 무예를 단련하던 곳이라 사사

    중앙일보

    2009.10.17 00:18

  • 급서 미리 안 듯, 일사천리로 구체제 복귀

    급서 미리 안 듯, 일사천리로 구체제 복귀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국왕 독살 여부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사후 체제를 살펴봐야 한다. 거대 정파와 대립하던 국왕이 급서하는 것으로 갈등이 해소되고 거대 정파가

    중앙선데이

    2009.10.16 14:36

  • 급서 미리 안 듯, 일사천리로 구체제 복귀

    급서 미리 안 듯, 일사천리로 구체제 복귀

    예종의 창릉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에 있다. 계비 안순 왕후 한씨(한백륜의 딸)와 합장묘다. 원부인이었던 장순 왕후 한씨(한명회의 딸)가 생존했다면 예종도 더 오래 왕위에 있었을지

    중앙선데이

    2009.10.10 23:39

  • 힘보다 뜻이 컸던 군주의 운명은

    힘보다 뜻이 컸던 군주의 운명은

    신숙주의 영정 이상(理想)을 택한 사육신에 비해 현실을 택한 신숙주의 여유롭고 부귀한 모습이 잘 드러난 영정이다. 그러나 신숙주는 조선시대 내내 사육신과 비교 대상이 되었다. 사

    중앙선데이

    2009.10.01 23:58

  • 권력의 균형을 무너뜨린 ‘남이의 죽음’

    권력의 균형을 무너뜨린 ‘남이의 죽음’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남이 장군 부부 묘와 남이 장군 초상 남이 장군 부부 묘는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 있다(왼쪽 사진). 남이의 부인은 한명회를 수양대군에게

    중앙선데이

    2009.09.29 1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