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987년 개헌안, 1노2김 합의 전에 전두환이 첨삭했다

    1987년 개헌안, 1노2김 합의 전에 전두환이 첨삭했다

     ━  30년 전 민정당 개헌 문건 단독 입수   전두환 대통령이 1987년 7월 10일 민정당 중앙정치연수원을 떠나며 당원들의 환호에 답례하고 있다. 오른쪽은 노태우 당시 민정

    중앙선데이

    2018.03.17 02:00

  • [리셋 코리아] 시민 빠진 의원들만의 국회 특위 … “개헌 논의에 시민 참여시켜야”

     ━ 내 삶을 바꾸는 개헌 ③ 중앙권력, 왜 지방으로 나눠야 하나  미생(未生)에서 완생(完生)으로. 1987년 헌법은 ‘미완’이다. 그해 노태우 민정당 대표의 6·29 선언으로

    중앙일보

    2017.09.26 01:21

  • [리셋 코리아] 디지털은 아예 없다 ‘87년 아날로그 헌법’

     ━ 내 삶을 바꾸는 개헌 1987년 6월. 넥타이 부대까지 거리에서 “독재 타도, 호헌 철폐”를 외쳤다. 당시의 시대적 요구는 ‘대통령 직선제’였다. 대통령 직선제란 열망을 현재

    중앙일보

    2017.09.22 02:07

  • [리셋 코리아] “87년 개헌 때 대통령 임기 5년은 잘못했다”

    [리셋 코리아] “87년 개헌 때 대통령 임기 5년은 잘못했다”

     ━ 내 삶을 바꾸는 개헌 ① 생활개헌이 필요한 이유  이한동(左), 이용희(右)1987년 4월 13일 전두환 대통령이 대통령 간선제를 유지하겠다는 호헌(護憲) 선언을 하자 6월

    중앙일보

    2017.09.22 01:53

  • 이중재 한나라당 상임고문 별세

    이중재 한나라당 상임고문 별세

    6선 국회의원을 지낸 이중재(사진) 한나라당 상임고문이 18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84세. 전남 보성이 고향인 이 고문은 보성고와 고려대 경제학과를 나와 1963년 6대 국회에서

    중앙일보

    2008.12.19 00:42

  • 87년 왜 '5년 단임제' 택했나

    1987년 당시 개헌 논의는 민정당 노태우 대통령 후보의 6.29 선언을 계기로 본격화됐다. 개헌 협상은 민정당과 통일민주당 측에서 의원 4명씩으로 구성된 '8인 정치회담'이 맡

    중앙일보

    2007.01.10 04:31

  • 제46회 사법시험 제3차시험 및 군법무관 합격자 명단

    11100023 장정주 11100061 곽상호 11100073 추교진 11100089 신동환 11100109 김주혁 11100144 박병규 11100185 정대영 11100295

    중앙일보

    2004.12.23 11:41

  • 제46회 사법시험 2차 합격자 명단

    (응 시 번 호 순) 11100023 장정주 11100061 곽상호 11100073 추교진 11100089 신동환 11100109 김주혁 11100144 박병규 11100185 정

    중앙일보

    2004.12.02 13:02

  • [사람 사람] 제헌절 맞은 87년 '직선제 헌법' 멤버들

    "그분들의 관심은 죽이 되든 밥이 되든 하루 빨리 대선을 치러 이겨야 한다는 생각뿐이었지요." 지금 우리가 16년째 누리고 있는 '1987년 시민헌법'을 만든 '8인 정치회담'의

    중앙일보

    2003.07.17 19:11

  • [총선연대 발표 낙천자 명단]

    *민=새천년 민주당,자=자민련,한=한나라당,무=무소속. ◎1차 공천 반대 인사 66명의 명단. ▶국창근(민) ,권노갑(민) ,권정달(민) ,김고성(자) ,김광원(한) ,김기춘(한)

    중앙일보

    2000.01.24 10:13

  • 「직선제 열기」 잠재우기 공작/85년 개헌정국과 「정치테러」

    ◎강야에 위기감… 물리력 동원/「양김」의 지도력 훼손에 초점 김형두·정팔만씨의 폭로로 밝혀진 「야당정치인 테러」가 일어나 85∼86년은 이른바 직선제 개헌정국으로 불리던 긴장의 시

    중앙일보

    1993.07.06 00:00

  • 민주 당무위원 발표

    민주당은 24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55명의 당무위원을 확정했다. 이날 확정된 당무위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이기택·김원기·유준상·조세형·권노갑·노무현·한광옥·신순범·이부영·김말룡

    중앙일보

    1993.03.24 00:00

  • 민주조직책 눈치작전 치열/오늘 마감… 누가 어디에 냈나

    ◎무주공산 담양­장성 무려 17대 1/전국구 5명 “지역구엔 관심없다” 신청 안해/당선가능성 희박한 대구·경북 4곳은 “전무” 25일 마감되는 민주당조직책 공모가 평균 3대 1을

    중앙일보

    1991.10.25 00:00

  • 김영삼 전 총재|연합공천 거부

    평민당의 이중재 전부총재는 14일 오전 김영삼 전 민주당총재를 상도동자택으로 방문, 김대중 평민당총재의 총재직사퇴를 전제로 한 연합공천·양당합동대책위원회 구성을 제의했으나 김전총재

    중앙일보

    1988.03.14 00:00

  • 협상 공동대처 여부가 최대 변수

    여야간의 선거법협상이 마지막 줄다리기 단계에 접어들면서 민주·평민·공화 3당의 「공동대처」 합의가 새로운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 민정당이 소선거구 강행처리를 은근히 흘리고 있는 상

    중앙일보

    1988.01.30 00:00

  • 평민, 당6역 임명

    평민당은 11일 당무위원 19명을 임명하고 당무지도위를 새로 두는 한편 사무총장등 당6역을 임명하는 등 당직개편을 단행, ▲사무총장 김영배 ▲원내총무 허경만 ▲당기위원장 김현수 ▲

    중앙일보

    1988.01.11 00:00

  • "극한 대립 아닌 총선 무드로 갈 듯"|선서 후 정국 진단 기자 방담

    -선거가 끝나자 관심은 노태우 당선자가 과연 어떤 정치를 펼쳐나갈 것인가 하는 점과 야권 두 김씨가 선거결과를 어떻게 수용하는가 하는 점입니다. -노당선자는 지금까지의 여권정치와는

    중앙일보

    1987.12.19 00:00

  • 구로구청 농성 학생 평민, 강제진압 항의

    평민당은 18일 상오 확대간부회의에서 이날 새벽 구로구청 농성학생에 대한 강제진압에 대해 정부의 사과를 요구하고 이중재·노승환·이용희·양정직 부총재와 허경만 원내총무로 「구로구청

    중앙일보

    1987.12.18 00:00

  • 신당생각 안해봤다

    조윤형·이기택씨가 제안한 이 안은▲1백명 이내의 재야인사를 받아들이고▲이들중 당헌이 허용하는 상무위원 36석을 넘는 재야인사는 상무위에서 정치적 결의를 한뒤 임시전당대회에서 당헌을

    중앙일보

    1987.11.27 00:00

  • 조객 3만6천명 분향|고 이병철 삼성회장 애도…유업 기려

    고 이병철삼성회장의 서울이태원자택 빈소와 삼성본관을 비롯, 국내외지사·사업장에 마련된 분향소에는 20일에 이어 21일에도 고인의 업적을 기리고 애도하는 조문객이 줄을 이었다. 자택

    중앙일보

    1987.11.21 00:00

  • 백65개 선거대책위장

    평민당은 14일 2백36개 시·도·구중 1백65개 지구 선거대책위원장을 다음과 같이 임명했다. ◇서울▲중구 정대철▲마포 노승환▲성동 조세형▲동대문 최훈▲성북 조윤형▲도봉 박병일▲서

    중앙일보

    1987.11.14 00:00

  • 김대중총재 후보추대|평민당 창당전당대회

    평화민주당은 12일상오 세종문화회관 별관에서 대의원 3천3백명등 4천5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당전당대회및 대통령후보추대 전당대회를 열고 김대중창당준비위원장을 총재로선출하고 이어

    중앙일보

    1987.11.12 00:00

  • 예비역 장성들 거취에 신경|"정씨입당 범여권 대응자세 너무 안이"자책|"정전총장은 비토발언 처음한 사람" 김대중

    ○…김대중평민당 (가칭) 창당준비위원장은 11일 기자회견에서 최근 민주당에 상임고문으로 영입된 정승화전육군참모총장에 대해 『군의 정치개입과 특정정치인 비토발언을 최초로 한사람』이

    중앙일보

    1987.11.11 00:00

  • 평민당조직책 명단

    ◇서울 ▲종로-중구=정대철▲용산-마포=여승환 ▲성동=조세형▲성북=조윤형▲강서=김명배▲영등포=양정직▲동작=박실▲관악=한광옥▲강남=이중재▲강동=김종완 ◇부산▲서=유강열▲부산진=이흥록▲

    중앙일보

    1987.10.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