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노관범의 독사신론(讀史新論)] 100년 전 박은식, 타인의 아픔이 곧 나의 아픔

    [노관범의 독사신론(讀史新論)] 100년 전 박은식, 타인의 아픔이 곧 나의 아픔

     ━  근대 고전 『한국통사』 읽는 법   박은식 선생의 유해가 1993년 8월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 되고 있다. 화창한 5월에는 기념일이 많다. 가정을 위

    중앙일보

    2020.05.28 00:15

  • “역사에서는 성공이 실패의 어머니”

    “역사에서는 성공이 실패의 어머니”

    김환영의 책과 사람 (1)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의 저자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 인터뷰    대한민국 서울 광화문에는 조선‘왕조’ 인물인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 동상이 서

    중앙일보

    2018.04.20 16:54

  • ‘한국을 가꾼 50인’ 이승만·박정희·김대중, 그리고 …

    ‘한국을 가꾼 50인’ 이승만·박정희·김대중, 그리고 …

    한국 역사학계의 사랑방 역할을 해온 잡지 ‘한국사 시민강좌’(일조각)에 마침표가 찍혔다. 1987년 8월 제1집을 낸지 25년 만에 마지막 50호를 냈다.  ‘한국사 시민강좌’는

    중앙일보

    2012.02.29 00:31

  • 도서관 만들자, 6억 모은 홍동면 사람들

    도서관 만들자, 6억 모은 홍동면 사람들

    4일 오후 충남 홍성군 홍동면 운월리 ‘밝맑도서관’에서 이 마을 어린이들이 책을 보고 있다. 현재 이 도서관에는 3개 층에 걸쳐 2만여 권의 책이 있다. [김성태 프리랜서] 충남

    중앙일보

    2011.12.06 01:43

  • 순국선열·애국지사 119명 포상

    정부는 3·1운동 90주년을 맞아 순국선열과 애국지사 119명에게 훈·포장 및 대통령표창을 수여했다.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는 장기초 선생은 1920~30년대 만주 지역 독립운동단체

    중앙일보

    2009.02.27 01:16

  • [특별서베이 ‘대한민국 상징은?’] 대표 정치인 = 박정희·이승만, 대표 경제인 = 정주영

    건국 60돌을 맞는다. 대한민국 정부가 출범한 후 두 세대가 흘렀다. 사람으로 치면 환갑이다. 올해 창간 40주년을 맞는 이 오피니언리더 100명에게 물어 건국 후 한국사회를 상

    중앙일보

    2008.02.06 16:46

  • [특별서베이 ‘대한민국의 상징은?’] 대표 정치인 = 박정희·이승만, 대표 경제인 = 정주

    건국 60돌을 맞는다. 대한민국 정부가 출범한 후 두 세대가 흘렀다. 사람으로 치면 환갑이다. 올해 창간 40주년을 맞는 이 오피니언리더 100명에게 물어 건국 후 한국사회를 상

    중앙일보

    2008.01.23 14:53

  • [사람사람] "한국사 처음 접하는 외국인 눈높이에 맞춰"

    [사람사람] "한국사 처음 접하는 외국인 눈높이에 맞춰"

    뉴욕문화원장과 주미 대사관 공보공사를 역임한 김준길(65) 명지대 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가 최근 영어로 한국사 책을 펴냈다. 한국 역사를 전혀 모르는 영어권의 고등학생 이상 일반인

    중앙일보

    2005.01.12 18:25

  • [2004년 떨어진 별 - 국내] 시대를 빛냈던 그들

    [2004년 떨어진 별 - 국내] 시대를 빛냈던 그들

    '고통과 죽음은 인생의 한 부분'이라는 격언처럼 살아 있는 그 누구도 죽음을 피할 길은 없다. 세상을 휘어잡았던 권력가도, 노벨상에 빛나는 학자도, 은막의 전설이라 불리던 스타도

    중앙일보

    2004.12.29 17:50

  • [글로벌 아이] 현대사를 자학하지 말라

    역사는 인간을 비추는 거울이라고 한다. '자치통감' '동국병감'과 같은 많은 역사책들의 제목에 거울을 의미하는 '감(鑑)'이 들어가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한다. 이 삶의 거울

    중앙일보

    2004.10.11 18:30

  • 고 고병익-이기백 선생에 국민훈장 추서키로

    고 고병익-이기백 선생에 국민훈장 추서키로

    정부는 올 5월과 6월에 잇따라 타계한 한국 역사학계의 거목 고병익(左)전 서울대 총장과 이기백(右)전 서강대 교수에게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키로 했다. 훈장은 오는 7일 유족

    중앙일보

    2004.09.30 21:06

  • [사람 사람] '한국사의 진실 찾기' 가르친 참 스승

    이기백 선생님께서 세상을 떠나셨다니 믿어지지가 않습니다. 선생님의 고고하고 청초한 모습을 더 이상 접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니 참으로 서글프고 애통한 느낌을 금할 수 없습니다. 선생님

    중앙일보

    2004.06.03 17:55

  • [삶과 추억] 이기백 선생 별세

    [삶과 추억] 이기백 선생 별세

    원로 역사학자 이기백 전 서강대 교수가 2일 오전 5시45분 노환으로 별세했다. 80세. 광복 후 역사학계 1세대로서 한국 고대사와 한국 사학사(史學史) 분야를 대표했던 고인은

    중앙일보

    2004.06.02 18:50

  • [week& 클로즈 업] 학계·문화계 왕년의 별 다 모였다

    [week& 클로즈 업] 학계·문화계 왕년의 별 다 모였다

    ▶ 윗줄 왼쪽부터 조순.박영숙.김동진.이규태.이인호.이기백.김백봉.김동길.유현목.한운사.정원식씨.지난 3일 오전 11시쯤의 풍경이다. 서울 서소문에 자리잡은 명지빌딩 20층 세미나

    중앙일보

    2004.03.11 15:45

  • [애국지사 노평구 선생 영전에] '도덕성 자각' 가르침 이어갈 터

    '성서연구'란 무교회 신앙잡지를 창간한 노평구(盧平久) 선생은 훗날 이렇게 말했다. "해방 후 50년 동안 나의 얄팍한 잡지는 권두문.성서연구.일기를 막론하고 전체가 양심.도덕.자

    중앙일보

    2003.09.14 17:49

  • 本社 권영빈주필 장지연賞 수상

    일제시대 언론인이자 사학자인 위암(韋庵) 장지연(張志淵)선생을 기려 제정한 '위암 장지연상' 제13회 시상식이 1일 오후 7시 한국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이날 시상식

    중앙일보

    2002.11.02 00:00

  • 本社 권영빈 주필 장지연賞

    권영빈(사진) 중앙일보 주필이 제13회 위암(韋庵) 장지연(張志淵)상의 언론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방송부문에는 MBC TV 'PD수첩'팀이, 한국학부문에는 이기백 전 한림대 명

    중앙일보

    2002.10.17 00:00

  • [책과 세상] 삼불에 대한 반론 지면 통해 하라

    미국의 지성 노엄 촘스키 교수는 기벽(奇癖) 이 하나 있다. 그는 여하한의 학술모임에도 일절 참석하지 않는다. 1995년에 쓴 편지(『촘스키,끝없는 도전』,그린비,1998) 를 보

    중앙일보

    2001.12.01 09:42

  • [책과 세상] 삼불에 대한 반론 지면 통해 하라

    미국의 지성 노엄 촘스키 교수는 기벽(奇癖)이 하나 있다. 그는 여하한의 학술모임에도 일절 참석하지 않는다. 1995년에 쓴 편지(『촘스키,끝없는 도전』,그린비,1998)를 보면

    중앙일보

    2001.12.01 00:00

  • [같은길 다른삶] 9. 강만길-조동걸

    분단 극복을 위한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67.고려대 명예교수)과 한국독립운동사와 한국현대사학사의 개척자 조동걸(68.국민대 명예교수). 두 학자가 걸어온 길과 학문을 소개한 '학

    중앙일보

    2000.07.05 00:00

  • [NIE] 미디오와 잘 사귀기-컴퓨터 (1)

    앞으로 한 달 동안 단 한 가지 미디어밖에 사용할 수 없다면 나는 무엇을 고를까? 중앙일보 NIE홈페이지(http://nie.joins.com)를 드나드는 어린이와 청소년들 가운데

    중앙일보

    2000.03.14 00:00

  • [문화인터뷰] 무교회주의자 노평구씨

    한국의 개신교는 지난 1백년간 기적 같이 급성장했다. 성채 같은 대형 교회가 계속 지어지고 목숨 걸고 하나님 말씀을 따르려는 교도가 기하급수적으로 팽창하고 있다. 반면 목회자의 축

    중앙일보

    2000.01.08 00:00

  • [NIE] 나를 드러내는 '진짜 성적표'

    개학하자마자 며칠만 지나면 신나는 봄방학. 선생님이 나눠주시는 성적표, 또는 생활통지표 한 장으로 지난 1년을 평가받기엔 어쩐지 너무 아쉽다. 얼마나 많은 일들이 있었는데 성적만

    중앙일보

    1999.02.02 00:00

  • [NIE]꿈을 먹고 자라는 '또래문화'

    시험도 모두 끝나고 이제는 방학. 새해를 앞두고 우리는 무얼 꿈꾸고 있지? 그동안 지겹도록 공부하느라 고생했으니 실컷 놀아보자는 친구들은 도대체 어떻게 놀고싶은걸까. 교환노트에 가

    중앙일보

    1998.12.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