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천재과학자들의 열정과 뒷얘기

    프린스턴 고등학술 연구소를 배경으로 20세기 최고의 과학자들의 연구에 대한 열정·개성·에피소드를 그들의 이론과 접목시킨 현대과학 교양서. 미국 프린스턴에 있는 이 연구소는 수학·물

    중앙일보

    1993.06.25 00:00

  • DNA구조발견 40돌|병등 규명이 향후 과제

    지난 25일은 웟슨과 크릭이 생명의 본질을 규명하는 역사적인 DNA 2중나선구조를 영국의 과학잡지 『네이처』에 발표한 지 40주년이 되는 날이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발표이래

    중앙일보

    1993.04.28 00:00

  • 책과 시대 -해외명저를 찾아|앨빈 토플러저『제3의 물결』

    앨빈 토플러의 명저인『제3의 물결』(The Third Wave)은 80년3월 미국 윌리엄머로 출판사에서 처음 출판되었으며, 우리말 번역판은 그 이듬해인 81년1월 학원사에서 나왔다

    중앙일보

    1993.03.06 00:00

  • 21세기 우리경제 이끌어나갈 10대 첨단 산업|″신소재·생물산업 주목하라〃

    최근 우리산업의 경쟁력이 눈에 띄게 약화되면서 전자·섬유·신발등 수출주력업종이 해외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이들 품목의 선진국시장 점유율은 중국·동남아시아등 후발 개도국에 쫓겨갈수

    중앙일보

    1992.09.23 00:00

  • 동계 올림픽 출전 여선수/유전자 검사 뜨거운 논란

    ◎불 생물학계등 정부에 “부당” 탄원서/남성 유전인자 유무로 판별땐 기존의 성개념 무너질 가능성 제16회 알베르빌 겨울올림픽(2월8∼23일)부터 여자선수들에게 적용되는 유전자 테스

    중앙일보

    1992.02.02 00:00

  • 동성애(분수대)

    기원전 6세기초 레스보스섬에서 태어난 그리스 최대의 여류시인 사포는 일찍이 남편과 사별한 후 소녀들에게 가무를 가르치는 일로 일생을 보냈다. 제자소녀들에 대한 그녀의 사랑이 너무도

    중앙일보

    1991.11.09 00:00

  • 유엔선 29개국 48명에「글로벌 500」상 시상

    유엔환경계획(UNEP)은 5일 세계환경의 날을 맞아 환경보전에 공이 큰 29개국 48명을「글로벌500」상 수상자로 선정, 발표했다. 올해 수상자 가운데는 노융희 서울대 환경대학원교

    중앙일보

    1991.06.05 00:00

  • "정상의 한국인 세계를 노린다"|미 버클리대 화학과 교수 김성호 박사

    한국인 과학자 중에서 최초로 노벨상 (의학 및 생리학상 또는 화학상) 수상자가 나온다면 과연 누가 될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미국 버클리대 화학과의 김성호 교수 (52)를 꼽

    중앙일보

    1990.09.20 00:00

  • 생명과학 학과기술도만 다뤄서는 안된다

    유전공학·분자생물학 등 이른바 생명과학분야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생명을 다루는 학문은 자연과학만으로는 문제가 있다는 이의가 제기되어 관심을 끌었다. 지난 21일

    중앙일보

    1987.10.27 00:00

  • 6개 과학기술연구기판의 85년 목표|자원탐사·대체에너지 개발에 박차

    작년은 각 연구소 및 학계·산업계에서 적지 않은 기술개발과 연구들이 결실을 맺은 한해였다. 이는 기술진흥심의회의 설치운영으로 취약기술분야와 전략기술분야에 대한 시책을 강화하고 82

    중앙일보

    1985.01.07 00:00

  • 21세기를 내다본다"먹는 문제는 내가 맡는다"

    인간에게는 어제보다는 오늘에, 또 오늘보다는 내일에 더 좋은 삶이 있으리라는 본능적 기대감이 있다. 때문에 15년 앞으로 다가온 21세기를 풍요와 행복, 안락과 평화가 넘치는 장미

    중앙일보

    1985.01.01 00:00

  • 올 노벨의학상, 미 매클린토크여사에

    【스톡홀롬AP·UPI=연합】미국 여류식물학자「바버러·매클린토크」박사(81)가 83년도 노벨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카롤린스카 연구소가 10일 발표했다. 금년도 노벨의학상을 심사한

    중앙일보

    1983.10.11 00:00

  • 미미시간대 한성수박사|사람이 늙는건 대사속도 둔화로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계속 성장·성숙한다. 또 중년을 넘어서면서부터는 각 장기의 기능감퇴현상이 눈에 띄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른바 노화현상이란 것으로 긴 인생항로에서 누구나 피할

    중앙일보

    1983.05.28 00:00

  • 미지가 본「50년 뒤의 무지개 빛 세계」|컴퓨터가 스승…대학까지 마친다

    미국의 시사주간지 유에스 뉴스 앤드 월드리포트지(5월9일자)는 창간 50주년을 기념하는 특집을 게재했다.『앞으로의 50년』이란 제목의 이 특집은 각분야전문가들과의 회견을 통해 21

    중앙일보

    1983.05.04 00:00

  • 「조물주의 영역」을 노크하는 「양날의 칼」|GENETIC ENGINEERING 유전공학과 인류의 미래|철학과 과학의 대화

    김태길=흔히들 20세기를「과학의 세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과학으로 일관해 오신 이 교수께서도 그 점에는 동감이 신지요. 이태령=많은 과학자들이 금세기에 과학적인 업적이 대단했었

    중앙일보

    1982.01.01 00:00

  • 생명의 규정

    인간의 지혜로는 미래를 바라볼 수 없는 것처럼 자기 스스로의 일도 완전하게 알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인류는 그 역사를 통해서 생명의 신비를 규명하려고 꾸준히 노력하여 왔건만 명쾌

    중앙일보

    1973.07.17 00:00

  • 「인공인간」합성의 길은 열리는가

    생명의 신비에 도전한 인간들은 「로버토·훅」이 세포를 발견한 이래 3세기동안 끊임없이 투쟁한 결과 드디어 부분적으로나마 유전인자의 정체를 구명하고 그것을 인공적으로 합성하기에 이르

    중앙일보

    1972.01.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