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불륜은 本能인가 동물의 짝짓기로 본'인간 이해'

    생물에 대한 연구로 인간의 사회적·문화적 행동까지도 탐색할 수 있다고 주장한 사회생물학의 태두 에드워드 윌슨은 1978년 한 학술심포지엄에서 물세례를 받았다. 당시 대중들은 "인

    중앙일보

    2002.06.01 00:00

  • "유전자는 만능?" 고정관념을 부숴라

    2000년 6월 미국 클린턴 대통령과 영국 블레어 총리는 인간 유전자 지도가 완성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유전자 생물학이 장차 인류에게 영원 불멸의 삶을 줄 수 있을지 모른다는 흥

    중앙일보

    2002.05.11 00:00

  • 생명공학을 푸는 두 시선 '3주우 나선'

    어릴적 본 만화영화 '은하철도 999'의 한 장면. 아프지 않고 죽지도 않는 기계인간이 되려는 꿈을 안고 아리따운 여인 메텔과 함께 우주여행에 나선 소년 철이. 여러 혹성에서 그가

    중앙일보

    2002.01.05 10:31

  • [인문·사회과학] '3중나선' · '바이오테크,바이오비즈니스'

    어릴적 본 만화영화 '은하철도 999'의 한 장면. 아프지 않고 죽지도 않는 기계인간이 되려는 꿈을 안고 아리따운 여인 메텔과 함께 우주여행에 나선 소년 철이. 여러 혹성에서 그가

    중앙일보

    2002.01.05 00:00

  • "인간복제는 개인 선택의 문제"

    우리 시대 최대의 쟁점인 인간 복제와 관련, 미국 앨라배마대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저자가 쓴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하는??원제 Who's Afraid of Human Cloning

    중앙일보

    2001.12.01 09:15

  • [인문/사회과학]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하는가'

    우리 시대 최대의 쟁점인 인간 복제와 관련, 미국 앨라배마대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저자가 쓴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하는가』(원제 Who's Afraid of Human Clonin

    중앙일보

    2001.12.01 00:00

  • "인간복제는 개인 선택의 문제"

    우 리 시대 최대의 쟁점인 인간 복제와 관련, 미국 앨라배마대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저자가 쓴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하는가』(원제 Who's Afraid of Human Cloni

    중앙일보

    2001.11.30 18:25

  • [무엇부터 읽을까] 사회생물학이 궁금할 때

    1978년 2월 15일, 미국과학진흥협회가 주관하는 한 심포지엄 석상에서 세계적으로 저명한 한 과학자가 마이크를 뺏기고 물세례 봉변을 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는 당시 사회생물학에

    중앙일보

    2001.09.10 07:36

  • [무엇부터 읽을까] 사회생물학이 궁금할 때

    1978년 2월 15일, 미국과학진흥협회가 주관하는 한 심포지엄 석상에서 세계적으로 저명한 한 과학자가 마이크를 뺏기고 물세례 봉변을 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는 당시 사회생물학에

    중앙일보

    2001.09.08 00:00

  • "이타적 본능에 미래를 맡겨라"

    1970년대 중반 인간의 생물학적 본성에 대한 적나라한 묘사로 전세계에 충격을 주었던 리처드 도킨스 박사의 명저『이기적 유전자』(을유문화사)를 과학 저널리스트인 매트 리들리가 '인

    중앙일보

    2001.08.25 08:40

  • [신간 리뷰] '이타적 유전자'

    1970년대 중반 인간의 생물학적 본성에 대한 적나라한 묘사로 전세계에 충격을 주었던 리처드 도킨스 박사의 명저『이기적 유전자』(을유문화사)를 과학 저널리스트인 매트 리들리가 '인

    중앙일보

    2001.08.25 00:00

  • 추리소설 읽으며 철학 지식 '쏙쏙'

    신간 『알도와 떠도는 사원』은 추리.환상소설의 얼개 속에 서양 근대 철학의 핵심 개념과 철학사적 지식을 녹여낸 국내 저자의 혼합형 소설이다. 현실과 환상을 종횡무진 넘나드는 팬터지

    중앙일보

    2001.07.07 07:48

  • [신간 리뷰] '알도와 떠도는 사원'

    신간 『알도와 떠도는 사원』은 추리.환상소설의 얼개 속에 서양 근대 철학의 핵심 개념과 철학사적 지식을 녹여낸 국내 저자의 혼합형 소설이다. 현실과 환상을 종횡무진 넘나드는 팬터지

    중앙일보

    2001.07.07 00:00

  • [중앙 의료 포럼] 지놈혁명 어디까지 왔나

    인체지놈사업의 완성으로 촉발된 지놈혁명은 우리에게 무엇을 가져다 줄 것인가. 눈앞에 닥친 지놈시대의 명과 암에 대해 엇갈린 전망들이 많다.이에 중앙의학포럼은 전문가 대담을 통해 지

    중앙일보

    2001.07.04 17:30

  • [과학으로 세상보기] 인간지놈과 '제3의 길'

    지난 2월 인간지놈프로젝트 팀과 셀레라사에 의해 공동 발표된 인간지놈지도는 그동안의 낙관론과 비관론 모두에 일침을 가했다. 약 10년 전 지놈프로젝트를 주도했던 과학자들은 인체의

    중앙일보

    2001.03.20 00:00

  • 인간 지놈과 '제3의 길'

    지난 2월 인간지놈프로젝트 팀과 셀레라사에 의해 공동 발표된 인간지놈지도는 그동안의 낙관론과 비관론 모두에 일침을 가했다. 약 10년 전 지놈프로젝트를 주도했던 과학자들은 게지의

    중앙일보

    2001.03.19 18:15

  • 'DNA독트린' 저자 르원틴이 보는 과학

    『DNA독트린』에서 가장 눈여겨 볼 대목은 과학 만능과 맹신에 대한 균형잡힌 지적이다. '과학은 순수하게 객관적이다' '과학은 비정치적이며, 시대의 변화와 상관없이 참이다' 는 맹

    중앙일보

    2001.03.10 11:14

  • ['DNA독트린' 저자 르원틴이 보는 과학]

    『DNA독트린』에서 가장 눈여겨 볼 대목은 과학 만능과 맹신에 대한 균형잡힌 지적이다. '과학은 순수하게 객관적이다' '과학은 비정치적이며, 시대의 변화와 상관없이 참이다' 는 맹

    중앙일보

    2001.03.10 00:00

  • 'DNA독트린' 저자 르원틴이 보는 과학

    『DNA독트린』에서 가장 눈여겨 볼 대목은 과학 만능과 맹신에 대한 균형잡힌 지적이다. ''과학은 순수하게 객관적이다'' ''과학은 비정치적이며, 시대의 변화와 상관없이 참이다''

    중앙일보

    2001.03.09 18:26

  • 시민단체 "지놈지도 인간 존엄성 위협우려"

    11일 미국 등 6개국 컨소시엄인 인간게놈프로젝트(HGP)와 미국 생명공학 벤처 셀레라 제노믹스가 인간 지놈지도 완성을 발표하자 선천적 질병치료에 대한 희망과 함께 인간 존엄성에

    중앙일보

    2001.02.12 09:54

  • [노트북을 열며] '복제 아기' 시나리오

    지구상에는 1백93종의 원숭이와 유인원이 살고 있다. 그 중 1백92종은 온 몸이 털로 덮여 있는데 유일하게 털없는 별종이 있으니 이른바 호모사피엔스다. 동물생태학자인 데스먼드 모

    중앙일보

    2001.01.18 00:00

  • 유전자와 인간의 본성 '게놈-23장에 담긴...' 출간

    '게놈'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생명, 역사, 운명, 본능 등 다양한 인간의 속성이 인간 유전자와 어떤 관련을 맺는가를 다룬 책이 출간됐다. 「게놈-23장에 담긴 인간의 자서전」(김

    중앙일보

    2001.01.15 09:14

  • [이어령 중앙일보 고문 특별기고]

    기술이 바뀌면 시대와 사회가 변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은 '기술결정론' 의 허구다. 신기술이나 새 발명품이 나와도 그것을 옛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한 진정한 변화는 일어나지

    중앙일보

    2001.01.09 00:00

  • 사회생물학 논쟁 문제작 '인간 본성에…'

    *** 인간 본성에 대하여 -에드워드 월슨 지음, 이한음 옮김,사이언스 북스, 1만 5천원 '너무 늦었다' . 저자의 제자(미 하버드대 박사과정) 임을 밝힌 서울대 최재천(생물학)

    중앙일보

    2000.12.16 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