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미-이라크사태 일지]

    ▶90년 8월 : 이라크군 쿠웨이트 침공 ▶90년 8월 : 유엔, 이라크에 무역제재 조치 ▶91년 1월 : 다국적군 바그다드 공습 ▶91년 2월 : 다국적군 승리로 걸프전 종전 ▶

    중앙일보

    1998.12.18 00:00

  • [이종찬안기부장]“간첩 2명 북한 도주중”

    동해안 침투 무장간첩은 3인1조며, 시체로 발견된 간첩 외에 잔당 (殘黨) 2명은 북한으로 비상 복귀중인 것으로 관계당국과 군은 파악하고 있다. 이종찬 (李鍾贊) 안기부장은 13일

    중앙일보

    1998.07.14 00:00

  • [가라앉은 북한 잠수정]예인항구 왜 바꿨나

    22일 오후4시33분 북한 잠수정 발견 즉시 해군은 비상작전에 들어갔다. 날이 어두워지기 전에 예인준비를 마쳐야 했고, 있을지 모를 돌발사태에 대한 위험부담도 있었다. 그래서 날이

    중앙일보

    1998.06.24 00:00

  • 김대중 당선자 ,북한·미국 장성급회담 왜 양해했나

    남북관계 전반에 걸친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있은 주한미군의 북.미 장성급 회담 제의는 변화의 수준이 상당할 것임을 예고한다. 특히 틸럴리 주한유엔군사령관이 제의한 북.미 장성급

    중앙일보

    1998.02.19 00:00

  • 모두 연임했는데 나만 못해서야

    ▷『역대 유엔 사무총장들은 모두 연임했다.내가 두번째 임기를시작하지 못한 첫번째 아프리카인이 될 수는 없지 않은가.』-이집트 출신의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 유엔 사무총장,미국이 자

    중앙일보

    1996.06.24 00:00

  • 북한 평화협정 체결후 군사관계-주한미군 철수 논란 거셀듯

    한.미 정상이 16일 북한에 제의한 4자회담은 남북한및 한. 미간 군사관계에도 상당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북한이 4자회담을 받아들이고 평화협정을 체결한다는 것은 남북한및 미.중

    중앙일보

    1996.04.18 00:00

  • 정전협정관련

    ▶1994.4.28 북한 외교부대변인,정전협정 대체 위한 「새로운 평화보장체제」필요성 지적.대미(對美)직접협상 요구 ▶4.28 북한 군사정전위 대표 일방철수 ▶5.24 인민군 판문

    중앙일보

    1996.04.05 00:00

  • 유엔司 소환요구-北韓 金永南외교 갈리총장에 서한

    북한 외교부장 김영남(金永南)은 최근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유엔사무총장 앞으로 편지를 보내 한반도에 「새로운 평화보장체계」를 수립하는 데 있어 유엔이 중대한 장애가 되고 있다며 유

    중앙일보

    1995.07.22 00:00

  • "한반도 평화案"에 담긴뜻-停戰상태를 평화체제로

    정부가 광복 50주년을 맞아 제의할 것으로 알려진 대북(對北)평화안의 핵심은 현 정전(停戰)상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자는 것이다. 남북한이 평화협정의 당사자가 되고 미국과 중국이 지

    중앙일보

    1995.07.15 00:00

  • 세계청소년대표자회의 조직위원장 趙永植박사

    유엔 창설 50주년과「유엔 청소년의 해」선포 10주년을 기념,유엔과 대한민국 정부(문화체육부)가 공동주최하고 中央日報가 후원하는「1995년 세계청소년 대표자회의」가 31일부터 6월

    중앙일보

    1995.05.30 00:00

  • 北,폴란드 중립국 감독委 축출의미

    폴란드가 북한의 압력으로 중립국 감독위 대표단을 베이징(北京)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전협정의 핵심인 군사정전위와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기능마비가 가속화되고 있다. 폴란드 정부는 일시적

    중앙일보

    1995.02.24 00:00

  • 4.南北 군사관계

    북한 金正日 체제의 등장은 반세기 동안 지속돼 왔던 남북간 대결구도에 종지부를 찍고 평화공존의 새 지평을 열어줄 것인가. 남북한 군사관계는 새로 등장한 金正日 체제의 안정성 여부에

    중앙일보

    1994.07.12 00:00

  • “한반도 평화정착땐 유엔사해체도 검토”/방북 갈리,김영남부장 만나

    【서울=내외】 북한 부총리겸 외교부장 김영남은 24일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 유엔 사무총장을 위한 연회에서 대화와 협상을 통한 핵문제 해결을 거듭 강조하면서 유엔측에 정전협정을 평

    중앙일보

    1993.12.25 00:00

  • 북한,체코군 중감위원 철수 압력/“중립국감독위 해체 속셈”

    ◎정부,대응책 강구 정부는 북한이 최근 체코출신 중립국 감독위위원 4명의 철수를 요구하며,지원을 중단하고 있는 것은 궁극적으로 중립국 감독위를 해체하려는 의도라고 보고 적극적인 대

    중앙일보

    1993.03.01 00:00

  • 흔들리는 유엔 평화유지군 활동/13개 분쟁지역에서 성과 거의못거둬

    ◎안보리,평화집행군 창설 등 다각 검토 유엔의 평화유지 노력이 세계 곳곳에서 도전받고 있어 유엔의 국제평화기능이 위기를 맞고있다. 유엔은 분쟁이나 내전에 휘말린 세계 13개지역에

    중앙일보

    1993.02.01 00:00

  • 전환기 맞은 한미 안보협력(새위상 찾는 한국군:중)

    ◎탈냉전후 주한미군역할 재평가/작전통제권 조기이양 줄다리기 한국전이후 40여년간 지속돼 왔던 한미군사관계가 새로운 전환기에 접어들고 있다. 한미안보협력체제는 앞으로 ▲주한미군 주둔

    중앙일보

    1992.10.02 00:00

  • 남북한 동시가입 불구 주한유엔사 지위 불변/안보리 문서 배포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가입했어도 주한유엔사령부의 지위와 역할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밝힌 「유엔사 활동에 관한 연례보고서」가 26일 유엔안보리 문서로 유엔회원국들에 배포됐다고 외무

    중앙일보

    1992.08.28 00:00

  • UNTAC/캄 무장해제 착수

    ◎참여 거부 크메르 루주에 “부대해체 협력해야” 촉구/안보리 【프놈펜·유엔본부=외신 종합】 캄보디아 유엔과도행정기구(UNTAC)는 13일 크메르루주의 거부에도 불구,캄보디아 제2단

    중앙일보

    1992.06.14 00:00

  • 4개파 병력 70% 감축추진/일 첫 PKO무대 캄보디아

    ◎유엔군,내년 5월 총선까지 “군정”/크메르루주 무장해제가 큰 고비 일본이 평화유지활동(PKO) 협력법안 통과후 최초로 자위대를 파병하게될 캄보디아의 평화실험이 난관에 부닥쳤다.

    중앙일보

    1992.06.11 00:00

  • 북한,한국군 수석대표 거부 속셈/사상 첫 정전위무산 배경과 전망

    ◎북,참석땐 「무장침투 책임 자인」 우려/정전위 존폐여부 시비 중대 계기될듯 북한측의 이번 군사정전위(MAC) 본회의 불참은 앞으로 있을 각종 남북회담은 물론 정전위 전체의 위상과

    중앙일보

    1992.05.30 00:00

  • 유엔사해체요구 서한 연락장교 파견국들에/북한 김영남 부장

    북한은 최근 미국·영국·캐나다·호주등 주한유엔시에 연락장교를 보내고 있는 나라들에 김영남 외교부장 명의의 서한을 보내 철수를 요청한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외무부의 한 당국자는

    중앙일보

    1992.03.26 00:00

  • 엘살바도르 내전/12년만에 종식/휴전원칙 합의

    【유엔본부 AP·로이터=연합】 중미소국 엘살바도르 정부와 반정 좌익세력은 지난 81년이래 12년간 끌어오면서 7만5천여 희생자를 낸 내전을 종식시키기로 1일 원칙 합의했다. 하비에

    중앙일보

    1992.01.03 00:00

  • 「실행」까진 “산너머 산”(남북 화해시대:5)

    ◎군축협상/골깊은 불신제거 선결과제/병력·장비 상호 감시체계 꼭 필요 12·13 남북합의서 서명을 계기로 남북간에 본격적인 군축협상이 시작되게 됐다. 합의서가 예정대로 발효될 경우

    중앙일보

    1991.12.18 00:00

  • 캄보디아 평화협정 요지

    ◎SNC가 유일합법 권력/주단위 비례대표 총선거 ▲협정 발효이후 정부수립까지의 과도기간중 최고국가평의회(SNC)를 캄보디아 유일의 합법권력으로 인정한다. ▲SNC 의장이 최종 결정

    중앙일보

    1991.10.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