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969년을 살릴 「에토스」는 무엇인가

    또 이 한해에 세상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 누구나 당면하는 초조한 물음이다. 미래의 관리는 바로 오늘을 사는 과제로 되었다. 가정주부에서 정치가에 이르기까지 그들을 괴롭히는 가위눌

    중앙일보

    1969.01.01 00:00

  • 천주교의 사상|24위시복기념 박종홍교수강연

    한국천주교는 지난 6일 24분의 새신자를 맞아 들여 모두 1백3분의 신자를 모시게 됐다. 이번에 모셔진 24분의 복자는 대원군의 천주교 박해가 본격화 된 병인(1866년)부터 5년

    중앙일보

    1968.10.10 00:00

  • 방향잃은「신문학정리」

    신문학 60년이라하여 금년들어 여러가지 행사들이많았다. 그것은 대견스럽다는 자축의 뜻도 있었을 것이다. 또는 그 동안의 한국문학 성장의 도정과 오늘의 모습에 대한 불안에서 새로운

    중앙일보

    1968.07.23 00:00

  • 생각은 조국에| 재미거류민회장 조용삼씨 회견

    북한 괴뢰는 대부분의 재미한국인 교포에게 그들의 건설상과 「마르크스」주의를 선전하는「등대」등 간행물을 정기적으로 우송 배달함으로써 선전을 일삼고 있으나 한국정부는 이에 대항할 만한

    중앙일보

    1968.07.11 00:00

  • 상아탑의 전위|대학연구기관을 찾아서|한국유학 총정리|성대 대학문화연구원

    유교는 쓸모없이 낡은것이라고 생각한다. 봉건적이고 전근대적이어서 심지어 그때문에 이조는 망할밖에 없었고 한국은 낙후했다고 지적한다. 나아가 공·맹자의 가르침까지 역겨워한다. 케케묵

    중앙일보

    1968.06.11 00:00

  • 요람

    전주고을에 칼찬 훈도가 골목을 찾아 뒤졌다. 학교선생이 「갈치토막」이라고 불리던 흰칼을 차고다닌 시절이었다. 지금 신흥중학교터전에있던 양사제엔 엉겁결에 꼬여든 초립동이들이 「개화바

    중앙일보

    1968.04.27 00:00

  • 토착신앙의 "전통" 옹호-동서문화연구소 김철준 교수 연구발표

    동아문화연구소는 지난 24일 하오3시 서울대학교문리대에서 연구발표회를 열었다. 여기서 김철준 교수(서울대·국사)는「한국의 토착신앙과 이애 미친 중국문화의 영향」에 대한 연구발표로

    중앙일보

    1967.11.28 00:00

  • 한국·동양의 사상변혁|아시아학술연구회「심포지엄」

    아세아 학술연구회(회장 이선근)는 10일과 11일 「유네스코」회관에서 동양사상 「심포지엄」을 열었다. 9명의 국사와 동양학의 대표적 학자들이 학술적인 연구주제를 발표하고 토론을 벌

    중앙일보

    1967.11.14 00:00

  • 역사의 고향(40)|중앙일보 칼라의 눈(92)|절두산 순교기념관|22일인 병인교난 백주년

    강변에 한적한 숲이 보인다. 잡목들이 자라고, 그 사이로 형해처럼 바위가 불거져 있다. 숲이 아니라, 나지막한 산등성이다. 가파른 벼랑을 수목들은 움켜주고 있다. 그 산정에는 「

    중앙일보

    1967.10.21 00:00

  • (35)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67년의 「캠페인」|대중문화 - 대표집필 이보형

    「매스·미디어」 □□형성과 질을 좌우 18세기는 귀족문화의 시대, 19세기는 「부르좌」문화의 시대, 20세기는 대중문화의 시대라는 말을 들을 때가 있다. 이 말은 물론 서양문화의

    중앙일보

    1967.08.31 00:00

  • (33) 우리의 미래상을 연구하는 67년의 「캠페인」|국시 - 대표집필 이만갑

    「자유」·「민족」 및 「경제」의 3요소 우리 나라의 역사를 더듬어 보면 전통사회에 있어서의 국가의 기본적인 이념은 국왕에의 충성이었고 따라서 국왕에 대한 판역이 가장 엄격하게 기피

    중앙일보

    1967.08.17 00:00

  • (24)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67년의 「캠페인」|지역사회개발과 농촌 - 대표집필 황성모

    지역사회의 개념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마는, 여기서는 농촌사회라는 말과 동일어로 취급한다. 그러면 왜 농촌사회를 구태여 지역사회라고 하는가 하면 지역사회 개발론자들이 개

    중앙일보

    1967.06.15 00:00

  • (완) 천도교

    민족사상의 바탕을 이어받은 신흥종교로 이 나라 근대사에 뚜렷이 이정표를 세운 천도교는 창도 1백년만에 원점에 다시 돌아와 주춤해 있다. 이조사회가 몰락하는 막다른 길목에 서서 민심

    중앙일보

    1967.04.04 00:00

  • 잇달은 친족 살해 그 문제점

    요즘 도하 각 신문에서는 끔찍한 살인사건이 연달아 보도되고 있다. 부자 또는 형제간 살인 사건·소실에 의한 지덕영씨 피살사건 등은 서양 사회에 보다 동양 사회에서 훨씬 크게 사회적

    중앙일보

    1967.03.27 00:00

  • (4) 기독교

    『신은 죽었는가?』이것은 기독교 신학의 심각한 문제였다. 그런데 이 문제는 이미 신학의 문제일 뿐 아니라 기독교인의 일상생활에서의 문제로 돼버렸다. 우리 개신교의 「종주국」이라고

    중앙일보

    1967.03.25 00:00

  • (3) 천주교

    현대는 결정적으로 새로운 것의 시대이다. 이 새로운 것의 정신은 부단히 전통사회에 도전하며 그것을 파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적응해야하는 현대 「가톨릭」은 어느 때 없던 진통 속

    중앙일보

    1967.03.21 00:00

  • (2) 유교

    유교는 도덕이요 학문이지 종교가 아니라고 한다. 그것은 신앙의 대상인 「너」가 없고 교회와 같은 「성스러운 공동체」가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말할 것도 없이 기독교를

    중앙일보

    1967.03.16 00:00

  • (1) 불교

    이 땅에 전래된 지 1천6백년간. 민족고유 신앙의 바탕 위에서 민중의 신앙생활과 사고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주었고, 또 빛나는 불교문화사를 펼쳐 왔음에도 불교계는 지금 개혁(선탈)

    중앙일보

    1967.03.07 00:00

  • (50) - 전통(6) 경세제민…이조의 대현철 율곡 이이의 생가 오죽헌

    ◇친모 신사임당 영향이 커 강릉은 정갈하고 아담한 도시다. 이곳 사람은 유서 깊은 자기 고장을 무척 아낀다. 제일 큰 자랑은 오죽헌. 강릉에서 10리 남짓 경포대 해수욕장 가까이

    중앙일보

    1967.01.28 00:00

  • (4) 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67년의「캠페인」|근대화와 전통문화 - 대표집필 전해종

    근래에「근대화」라는 말이 하나의 유행어처럼 쓰여지고 있다. 행정의 근대화니 경영의 근대화니 하는 말들이 그것이다. 근대화라는 말을 그렇게 쓸 수 없는 것은 아니나, 그런 경우에는

    중앙일보

    1967.01.26 00:00

  • 높아 가는 민속에의 관심|성균대서 「안동문화권」학술조사

    소멸 과정에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민속자료 수집운동이 대학을 중심으로 벌어져 학계에 새「무드」를 자아내고 있다. 각 대학 박물관이 민속실의 확충을 서두름과 때를 같이하여 성균관대학

    중앙일보

    1967.01.17 00:00

  • 우리의 종교성과 기독교의 토착화|다가온 성탄절을 계기로|윤성범

    시끄러운「크리스머스」가 다가왔다. 기독교신자 아닌 사람이 공연히 들떠서 법석을 떨고 난장판 치는 것이 연중행사의 하나로 돼버렸다. 우리의「명절」로 되어가는 「크리스머스」를 맞아 한

    중앙일보

    1966.12.13 00:00

  • 종교와 현대인과의 대화

    얼마 전에 입적한 고 이효봉 스님의 뒤를 이어 이청담 스님이 작30일 한국불교의 대종 격인 조계종 제6대 종정으로 추대되었다 한다. 그는 취임에 제하여 『불교정화를 위해 현대인을

    중앙일보

    1966.12.01 00:00

  • (4)국사학계의 과거와 현재

    국사를 돌이켜 보는 우리의 입장이나 관점이 일본의 침략으로 나라를 잃어버린 뒤부터 많은 변동을 일으켜 왔다. 그것은 외부로부터의 침략세력의 압력과 새로 들어온 학문적 영향으로 나

    중앙일보

    1966.10.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