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독도 출생 1호' 한국인 동해 지키는 해병 됐다

    '독도 출생 1호' 한국인 동해 지키는 해병 됐다

    독도가 출생지인 '독도 1호 한국인'이 해병대에 입대해 포항에서 근무하고 있다. 해병 1사단 조강현(20.해병 978기.사진)일병. 그는 출생지가 '울릉군 울릉읍 도동 산 63번

    중앙일보

    2005.03.19 08:48

  • [토요 이슈] "영토 보전" 일본선 1953년부터 섬 지원

    [토요 이슈] "영토 보전" 일본선 1953년부터 섬 지원

    전국 유인도의 60%인 262개가 위치한 전남의 섬 주민 중 상당수는 심각한 식수난을 겪고 있다. 262곳 중 139곳의 주민이 급수 탱크에 빗물을 저장해 생활한다. 31곳에는

    중앙일보

    2005.03.18 19:02

  • [토요 이슈] 섬 현장 르포

    [토요 이슈] 섬 현장 르포

    섬이 비어 가고 있다. 최근 30년간 206개의 유인도가 아무도 살지 않는 곳으로 바뀌었다. 본지 취재팀은 지난해 12월 말과 지난 2월 말, 두 차례 전남 여수.완도와 경북 울릉

    중앙일보

    2005.03.18 19:01

  • [대한민국 독도] 대한제국이 시마네현보다 먼저 영토 선언

    [대한민국 독도] 대한제국이 시마네현보다 먼저 영토 선언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강변하는 일본 측 논리의 근거는 1905년 작성된 '시마네현 고시 40조'다. 일본 측은 "1905년 1월 28일 당시 일본 내각이 독도를 자국령으로 결정했고

    중앙일보

    2005.03.17 07:28

  • 변사의 부활… 마지막 변사 신출씨 "제2전성기 맞아"

    변사의 부활… 마지막 변사 신출씨 "제2전성기 맞아"

    ▶ 사진 왼쪽부터 박수기·전강우·신출씨, 박해수양, 양산박 퍼포먼스 박구용 단장. 김경빈 기자 흑백 무성영화 시대, 영화의 흥행을 좌우하며 전성기를 누렸던 변사(辯士). 그 마지막

    중앙일보

    2005.02.06 14:53

  • [즈믄둥이] 1828번째 맞는 아침…오늘 하루도 "아자 ! "

    [즈믄둥이] 1828번째 맞는 아침…오늘 하루도 "아자 ! "

    *** 사주는 … 즈믄둥이의 '사주'(四柱)는 어떨까. 역술인이 본 이들의 사주는 의외로 소박했다. 사주는 음력으로 헤아린다. 양력 2000년 1월 1일 0~1시에 태어난 아이는

    중앙일보

    2004.12.31 17:18

  • [세계는 대체 에너지 전쟁 중] 1. 대체에너지, 한국만 뒷짐

    [세계는 대체 에너지 전쟁 중] 1. 대체에너지, 한국만 뒷짐

    ▶ 건물 전체가 태양전지판으로 둘러싸인 독일 프라이부르크 시내 ''솔라 파브릭'' 빌딩. 난방과 조명 등 5층 규모의 빌딩 전체에 필요한 전기를 100% 자급 자족한다. 이런 건물

    중앙일보

    2004.09.01 18:29

  • [레저 정보] 화인존 外

    [레저 정보] 화인존 外

    ◆ 출판 기획사 화인존(www.finezone.co.kr)이 일본 간사이(關西) 지방의 상세 여행 정보를 담은 정보지 '간사이룩'을 내놨다. 명승지.먹거리.숙소 등 알뜰 정보가 풍

    중앙일보

    2004.08.19 16:14

  • [week& Leisure] 5월 울릉 초록 난장

    [week& Leisure] 5월 울릉 초록 난장

    ▶ 죽암 해변의 미역 말리는 모습울릉도는 참 먼 섬이다. 동해안에서 바닷길을 3시간 더 헤치는 여정도 그렇지만 마음속 울릉도는 한참 더 멀리 있다. 대학교 때 두번이나 울릉도 진입

    중앙일보

    2004.05.13 15:48

  • [집념인생] 조개류 수집狂 박덕원씨

    [집념인생] 조개류 수집狂 박덕원씨

    ▶ 박덕원씨가 포항시 장성동 집에서 큰 고둥을 들어보이고 있다. [조문규 기자]앵무새 고둥, 뱀 고둥, 가시 고둥, 투구 게, 개우지…. 포항시 북구 장성동 박덕원(朴德遠.58.부

    중앙일보

    2004.04.19 20:12

  • 남부·제주 일부 봄 가뭄 해갈

    남부·제주 일부 봄 가뭄 해갈

    ▶ 봄 가뭄 적신 단비 모처럼 단비가 내렸다. 18일 전남 목포시 달동에서 한 주민이 고추밭 비닐하우스에 빗물이 잘 스며드는지 살피고 있다. 이번 비로 전라도와 경남지방의 건조경보

    중앙일보

    2004.04.18 20:48

  • 독도 이장 임명 없던 일로

    경북 울릉군 울릉읍이 독도향우회 최재익(崔在翼.49.서울시의원)회장을 독도리 이장으로 임명하지 않기로 했다. 울릉읍사무소 이중용 총무계장은 "崔씨는 2년 이상 독도에 거주하지 않아

    중앙일보

    2004.03.24 18:03

  • [week& cover story] 보물을 찾는 사람들

    [week& cover story] 보물을 찾는 사람들

    *** 8년간 찾고 또 찾고 … 재기 노리는 오세천씨 많이 지쳐 보였다. 게다가 경계심도 풀지 못하는 표정이다. 마치 '더 괴롭힐 게 남았느냐'는 그런 얼굴. 한눈에도 이런저런 풍

    중앙일보

    2004.02.19 15:18

  • 프로기사 아버지들 짱짱한 실력 대결

    바둑방송들의 설 특집이 풍성하다. 바둑TV는 '도전 프로를 이겨라'울릉도편과 '부자 페어대결''아마정상 치수 고치기'들을 마련했고 신생 바둑채널은 개국특집을 겸해 '원숭이띠 페어바

    중앙일보

    2004.01.15 20:32

  • [사람 사람] 시인 편부경씨 세번째 독도 주민 됐다

    한 여성 시인이 '독도 주민'이 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주인공은 지난달 19일 주민등록지를 옮긴 편부경(48)씨. 현재 경기도 고양시에 살고 있는 片씨가 독도로 주소를 옮긴

    중앙일보

    2003.12.25 20:01

  • [한양대학교의료원]의사는 인격과 실력 모두 갖춰야

    '한양대병원의 슈바이처 되겠다' 흉부외과 지행옥 교수 '사랑실은 교통봉사대'와 전국 의료봉사 앞장서 화제 30여년 동안 심장병 어린이들을 무료로 진료해주며 사랑과 봉사의 참 길을

    중앙일보

    2003.12.16 11:08

  • [이 현장 이 문제] 광덕산 곳곳 훼손 … 보호대책 시급

    충남 천안과 아산시에 걸쳐 있는 광덕산(해발 6백99m)의 등산로 일부가 보름째 흙더미로 막혀 있다. 천안 광덕면 광덕리 산기슭에 있는 안양암 측이 산 중턱에 건설 중인 대형 주택

    중앙일보

    2003.11.19 21:03

  • [달구벌 달군 U대회 결산] 대구은행 연수원

    "안녕히 가십시오. 다시 만납시다." "여러분 고맙습네다. 감사합니다." 1일 낮 북 응원단 환송회가 열린 경북 칠곡군 대구은행 연수원엔 아쉬움이 가득했다. 일부 응원단원은 환송식

    중앙일보

    2003.09.01 20:47

  • [조성기의 反 금병매] (13)

    사람들이 어림짐작으로 수군거리는 것과는 달리, 무대는 잠자리에서 구천일심법을 구사하기는커녕 '일천(一淺)'조차도 하기가 힘들었다. 장대호의 죽음으로 인한 충격과, 생계를 새롭게 꾸

    중앙일보

    2003.03.18 17:40

  • [사람 사람] 이용우 해운대관광고 교사

    부산 해운대관광고 이용우(李用雨.42)과학 교사는 한달 뒤 시민들에게 자신이 십년 넘게 채집한 곤충류를 선보일 생각을 하면 절로 기분이 좋아진다. 李교사는 13년간 전국을 누비며

    중앙일보

    2003.01.22 20:04

  • 34개 외로운 섬 獨 島

    자고로 해돋이는 신성하다. 태양의 양기가 막 뻗어나는 그 순간 만물의 소생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 땅이 예부터 영토(靈土)인 것은 바로 해돋이가 시작되는 곳인 까닭이요, 그래서

    중앙일보

    2002.11.09 00:00

  • 부산 중구 유흥업소 최다 강원 횡성 담배소비 1위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유흥·단란주점이 가장 밀집돼 있는 곳은 부산 중구이고 담배 소비량이 가장 많은 곳은 강원도 횡성군이며 숙박업소가 가장 많이 몰려 있는 곳은 인천 옹진군인 것

    중앙일보

    2002.10.25 00:00

  • 전국순회 5번… 발로 뛴 '독도 사랑'

    총 무 윤씨는 "일본의 각성과 정부의 독도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독도수호 결의문을 낭독한 뒤 '대한민국 만세''독도 만세' 등의 구호를 외칠 때에는 가슴이 뭉클하고 눈물이 핑 돌

    중앙일보

    2002.08.19 00:00

  • 붓끝으로 지킨다 그림같은 독도를

    티격태격 입씨름을 해봤자 다 소용없는 일이다. '우리 땅' 독도는 정치가 아니라 문화로 지켜야 한다. 그림으로, 춤으로, 또 음악으로… 실질적 점유권은 그럴 때만 인정받을 수 있

    중앙일보

    2002.08.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