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현대인은 과학인

    원자력 원자력이라면 원자폭탄만을 연상하는 사람이 꽤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지금은 원자력 평화이용이 거의 절정에 도달한 느낌을 줄 정도로 각분야에서 눈부신 업적을 내고 있다. 원

    중앙일보

    1972.01.01 00:00

  • "월석의 유리질 화산폭발 때문"-우리나라 달 암석연구 최종결과

    지난해 3월부터 우리나라에선 처음으로 착수한 달 암석연구성과가 밝혀져 나왔다. 과학기술처국립지질조사소장 이정환 박사를 연구책임자로 한 7명의 달 암석연구「팀」은 지난해에 2차에 걸

    중앙일보

    1971.01.18 00:00

  • 유일한 한국인 달 연구가|미「매사추세츠」공대 정대현 부교수 일시귀국

    「아폴로」12호의 달 암석연구자 1백42명중의 1명으로서 1백18g을 받았고,「아폴로」12호의 달 암석 1백36g을 받아 연구하고 있고,「아폴로」14호 때부터는 전미 달 과학연구위

    중앙일보

    1970.08.27 00:00

  • 대륙붕 석유탐사 어디까지 왔나

    과연 우리나라 대륙붕에도 석유가 매장되어 있는 것일까. 외국의 우수한 석유회사들이 수백만불씩을 들이는 탐사사업에 손을 대고 있는 것을 보면 가능성이 꽤 큰 것이 아니냐는 사람도 있

    중앙일보

    1970.08.06 00:00

  • 수준 낮은 한국인의 과학지식-과학기술 상담 한돌 결산

    선진국의 국민은 개발도상국의 국민보다 평균해서 2백배의 과학지식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선진외국에는 과학자로 오인 받을 정도로 풍부한 과학지식을 갖고 있는 철학자 작가 시인 화가

    중앙일보

    1970.07.15 00:00

  • 달암석 받기 어려울듯

    「아폴로」11호의 두 우주비행사가 가져오는 달암석은 우리나라에서도 연구계획을 냈으나 9일 미국립 항공우주국에서 보내온 회답에 의하면 「아폴로」11호가 갖고오는 암석은 받기 어려울

    중앙일보

    1969.07.10 00:00

  • 제8대육 대륙붕|서남해 탐사와 세계의 개발「붐」미선 주댁건립계획

    해양은 지구표면의 약70%를 덮고있는 무진장의 매고. 그개발에 나선것은 최근의일이지만, 자주에까지 도전한 미국의생업력은 해양개발에서도 앞질러 곧 2백미터깊이 대륙붕에 해저주거를 건

    중앙일보

    1969.02.15 00:00

  • 서남해 대륙붕에 넓은 3기층발달

    20일과학기술처 국립지질조사소의 이정환소장은 처음으로 이뤄진 탐사선에 의한 물리탐사로 우리나라 서남해 대륙붕에 두께가 2천미터이상의 제3기층(세계서규유의 80%가 제3기층에 매장되

    중앙일보

    1968.11.21 00:00

  • 문화단신

    새싹회는 동성장학회 후원아래 수기「나의고학」을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모집한다. ▲응모자격=전국초·중·고교생 ▲원고장수=제한없음 ▲마감및 보낼곳=11월30일 조선일보사1층 새싹회 ▲

    중앙일보

    1968.11.02 00:00

  • 알찬 논문 34편|화학회·화공학회 학술발표회

    지난18∼19일 양일간 인천 인하공과대학 구내에서는 68연도 대한화학회 및 화공학회의 특별강연 및 학술발표회가 3백여명의 회원들이 모인 가운데 열렸다. 9명의 특별강연과 34편의

    중앙일보

    1968.10.22 00:00

  • 활기 띠는 「해저개발」

    34억 몇천만명인 오늘의 세계 인구가 69년1월1일엔 35억을 돌파하게 된다. 그리고 서기 2천년엔 70억에 육박할 것이고, 지금부터 7백년뒤엔 2천조가 되어 지구는 사람으로 차서

    중앙일보

    1968.06.04 00:00

  • 연구비3억|「과학한국」을 향한 걸음마

    27일 과학기술처는 68연도연구개발사업비의 지급대상자(1억3천2백만원중 1억6백35만원·1백6건)를 결정했다. 한편 이에 앞서 문교부는 금년도 학술연구조성비의 지급대상자 (약1억2

    중앙일보

    1968.02.29 00:00

  • 첫과학기술기관장회의|목표찾는「과학한국」

    오는 7일 전국의 국공립과학기술연구기관장들이 일당(중앙청회의실)에모여「과학한국」「공업한국」을 이룩하기 위한 여러 문제를 논의한다. 이와같이 연구기관장들이 일정한 목적을 갖고 한자리

    중앙일보

    1968.02.03 00:00

  • (1) 어디까지 왔나? | 고개든「붐」

    현대를 일컬어 「과학기술시대」라고 한다. 과학기술의 「메스」는 극미의 소립자세계로부터 극대의 우주세계에 이르기까지 미치지못하는곳이 없으며 과학기술의 위력은일상생활품은 물론 공장의

    중앙일보

    1967.12.12 00:00

  • 건축계 뒤흔든 「국내불신」|정부 청사 설계 시비|발단 평판법 못 믿어

    ◇…금년은 건축계가 연달아 큰 「이슈」를 던진해다. 건축 양식 문제로 논쟁을 일으켰던 부여박물관에 이어 이번에는 정부종합청사의 공법문제로 물의가 일어나고 있다. 정부종합청사는 중앙

    중앙일보

    1967.12.05 00:00

  • 윤곽 드러난 과학기술부 안|그 문제점과 찬반론

    ○과학 기술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은 가운데 지금 한창 「과학 기술부」 안이 다듬어지고 있다. 우리 나라의 과학 기술계의 발전을 위해서는 부 급의 과학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는 요망이

    중앙일보

    1967.01.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