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우리말 바루기] ‘시건장치’가 뭐예요?

    다음 중 ‘시건장치’가 뜻하는 것은?   ㉠ 전자담배 ㉡ 권총 ㉢ 자물쇠   우리 사전에 ‘시건’이란 말은 없다. 따라서 ‘시건장치’라 하면 무슨 뜻인지 와닿지 않는 사람이 많을

    중앙일보

    2023.06.05 00:02

  • [우리말 바루기] ‘놀래키지’ 맙시다

    다음 중 표준어가 아닌 것은?   ㉠ 놀라다 ㉡ 놀래다 ㉢ 놀래키다   살다 보면 깜짝깜짝 놀랄 때가 있다. 어제 새벽에는 느닷없는 경계경보에 놀라기도 했다. 이렇게 놀라는 경우

    중앙일보

    2023.06.01 00:02

  • [우리말 바루기] 승전고를 울릴까, 올릴까?

    김민재 선수가 소속된 축구팀 나폴리가 이탈리아 리그인 세리에A에서 33년 만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팀의 우승으로 인해 “김민재 선수가 종횡무진 활약한 나폴리가 승전고를 올리며

    중앙일보

    2023.05.25 00:02

  • [우리말 바루기] ‘조각사유’가 뭐예요?

    재판과 관련한 뉴스를 접하다 보면 간혹 ‘조각사유’란 용어가 나온다. 무슨 뜻일까? 법조인이나 법률을 공부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무슨 뜻인지 감이 잘 잡히지 않는다. ‘조각상을 만

    중앙일보

    2023.05.22 00:03

  • [우리말 바루기] ‘파토’가 나나, ‘파투’가 나나?

    무언가 일이 잘못되는 경우 ‘파토’가 났다는 말을 많이 쓴다. “약속이 파토 났다”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파토를 놓았다” “결혼이 파토가 났다” “여자친구가 파토를 냈다” 등처

    중앙일보

    2023.05.18 00:02

  • [우리말 바루기] ‘제세동기’가 뭐예요?

    다음 중 ‘제세동기’가 뜻하는 것은?   ㉠ 군대 제대 동기 ㉡ 세상을 구제하는 사람들 ㉢ 심장충격기   ‘제세동기’가 무슨 뜻인지 감이 잡히지 않는 사람이 많으리라 생각한다.

    중앙일보

    2023.05.15 00:02

  • [우리말 바루기] 주책인가, 주책이 없는 건가?

    상대가 이랬다저랬다 줏대 없는 행동을 할 때가 있다. 이런 것을 두고 보통 “그 사람 참 주책없는 사람이네”라고 말한다. 그런가 하면 어떤 이는 “그 사람 정말 주책이야”라고 얘

    중앙일보

    2023.05.11 00:03

  • [우리말 바루기] ‘화이트리스트’의 우리말은?

    언론에 종종 등장하는 용어 가운데 ‘화이트리스트’라는 게 있다. 최근엔 한·일 관계와 관련해 이 용어가 자주 나오기도 했다. 화이트리스트가 무슨 뜻일까?   화이트리스트(whit

    중앙일보

    2023.05.08 00:02

  • [우리말 바루기] ‘천장’과 ‘천정’의 차이

    다음 중 바른 표기가 아닌 것은?   ㉠ 천장 ㉡ 천정 ㉢ 천정부지   언론에서 ‘유리천장’이란 용어를 종종 볼 수 있다. 남녀가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는 것 같지만 사실은 보이지

    중앙일보

    2023.05.04 00:03

  • [우리말 바루기] ‘졸리운’ 사람 있나요?

    날씨가 따뜻해지니 몸이 나른해지기 십상이다. 밥만 먹으면 잠이 쏟아진다는 사람도 있다. 이처럼 봄철에 나른하고 피로를 쉽게 느끼는 증상을 춘곤증이라고 한다. 환경 변화에 몸이 적

    중앙일보

    2023.04.27 00:02

  • [우리말 바루기] ‘날던’ 지난날은 맛이 안 난다고요?

    동그라미 그리려다 무심코 그린 얼굴/무지개 따라 올라갔던 오색빛 하늘 나래/구름 속에 나비처럼 날으던 지난날~   ‘얼굴’이란 곡(심봉석 시, 윤연선 노래)의 가사다. 전체적으로

    중앙일보

    2023.04.24 01:22

  • [우리말 바루기] ‘차돌배기’일까, ‘차돌박이’일까?

    다음 중 바른 표기를 고르시오.   ㉠ 차돌배기 ㉡ 오이소배기 ㉢ 나이배기   고깃집에서 인기 있는 메뉴 가운데 하나가 차돌박이다. 쇠고기로 좀 비싸지만 맛도 좋고 삼겹살보다 빨

    중앙일보

    2023.04.20 00:03

  • [우리말 바루기] ‘헤드라이너’가 뭔가요?

    지난 주말 한국의 걸그룹 블랙핑크가 미국 최대 음악 축제인 ‘코첼라 페스티벌’에서 헤드라이너로 무대에 올라 화려한 공연을 펼쳤다. 특히 헤드라이너로 코첼라 무대에 오른 것은 K팝

    중앙일보

    2023.04.17 00:02

  • [우리말 바루기] 콩깍지가 ‘쓰인’ 사람은 없다

    어떤 사람의 단점이 보이지 않고 장점만 보인다면? 또 그 사람의 생김새와 몸짓 등이 모두 사랑스럽게만 느껴진다면? 이럴 때 흔히 쓰는 관용적 표현이 있다. 바로 ‘눈에 콩깍지가

    중앙일보

    2023.04.13 00:02

  • [우리말 바루기] ‘금새’일까, ‘금세’일까?

    1. 벚꽃이 ( ) 지고 말았다.   2. ( ) 내린 비에 꽃잎이 모두 떨어졌다.   다음 중 위의 괄호 안에 적절한 말은?   ㉠ 금새-밤새   ㉡ 금세-밤세   ㉢ 금세-밤

    중앙일보

    2023.04.10 00:02

  • [우리말 바루기] ‘빅스텝’의 우리말은?

    경제면 기사를 보다 보면 ‘빅스텝’이란 용어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 금리 인상과 관련한 낱말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물가를 조절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는

    중앙일보

    2023.04.06 00:02

  • [우리말 바루기] ‘벗꽃’이 만발했다고요?

    다음 중 바르게 표기된 낱말은?   ㉠ 벗꽃 ㉡ 벚다 ㉢ 버찌   뭐 이렇게 쉬운 문제를 내느냐고 하는 분이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인터넷엔 ‘벗꽃’이란 제목의

    중앙일보

    2023.04.03 00:02

  • [우리말 바루기] 나들이 ‘행열’은 없다

    봄꽃들의 개화로 주말 나들이를 가는 사람이 많이 늘었다고 한다. 이처럼 여럿이 줄지어 가는 것을 가리킬 때 ‘행렬’이라 해야 할까, ‘행열’이라 해야 할까? ‘다닐 행(行)’ 자

    중앙일보

    2023.03.30 00:02

  • [우리말 바루기] ‘걸까’는 띄어 쓸까, 붙여 쓸까?

    독자분께서 질문을 해 오셨다. “그런걸까”를 붙여 써야 하는지, “그런 걸까”로 띄어 써야 하는지 물으셨다.   우리말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 가운데 하나가 띄어쓰기다. 여간 노력

    중앙일보

    2023.03.27 00:02

  • [우리말 바루기] ‘익숙지’냐, ‘익숙치’냐

    다음 중 표기가 바른 것은?   ㉠ 익숙치 ㉡ 섭섭치 ㉢ 깨끗지   문제에서처럼 ‘-하지’가 줄어들 때 ‘치’가 되는지, ‘지’가 되는지는 다들 어려워하는 부분이다. 간결한 맛이

    중앙일보

    2023.03.23 00:03

  • [우리말 바루기] ‘꽃봉오리’일까, ‘꽃봉우리’일까?

    다음 중 표기가 바른 것은?   ㉠ 꽃봉우리 ㉡ 꽃멍울   ㉢ 산봉오리 ㉣ 몽우리   어느덧 남쪽에서는 산수유·매화 축제가 열리고 있다고 한다. 중부 지역에서도 봄꽃들이 망울을

    중앙일보

    2023.03.20 00:03

  • [우리말 바루기] ‘덤테기’를 씌우지 맙시다

    다른 사람으로 인해 억울하게 누명을 쓰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내가 한 것도 아닌데 엉뚱한 사람에게 덤테기를 씌우지 마라”고 말하곤 한다. 여기에서 ‘덤테기’는 맞는 표현일까

    중앙일보

    2023.03.16 00:02

  • [우리말 바루기] “밥 한번 먹자”의 띄어쓰기

    다음 중 ‘한 번’ 띄어쓰기가 바른 것은?   ㉠ 언제 밥 한 번 먹자   ㉡ 한 번 해보겠습니다   ㉢ 너 말 한 번 잘했다   ㉣ 한 번만 봐주세요   한국인의 뻔한 거짓말

    중앙일보

    2023.03.13 00:02

  • [우리말 바루기] ‘쥬스’인가, ‘주스’인가?

    다음 외래어 표기 중 바른 것은?   ㉠쥬스 ㉡쵸콜릿 ㉢스케쥴 ㉣텔레비전   영어의 ‘juice’를 우리말로 어떻게 표기해야 할까. 아마도 ㉠처럼 ‘쥬스’라 적는 사람이 적지 않

    중앙일보

    2023.03.09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