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우리말 바루기] ‘수입선’은 문제가 없는 말일까?

    최근 중국이 다시 요소수 수출을 제한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요소수 가격이 급등하고 있으며 일부에선 사재기까지 하고 있다고 한다.   2년 전에도 비슷한 상황이

    중앙일보

    2023.12.11 00:02

  • [우리말 바루기] 김장할 때 ‘김칫속’을 찾지 마세요

    김장철을 맞아 주위에서 김치를 담갔다는 얘기가 속속 들려온다. 김치는 손이 많이 가는 음식 중 하나인데, 무를 채 썰어 파·젓갈·마늘·생강 등의 고명과 고춧가루에 버무린 뒤 배춧

    중앙일보

    2023.12.07 00:02

  • [우리말 바루기] ‘반나절’은 몇 시간일까?

    며칠 전 독자분께서 질문을 해 오셨다. ‘한나절’과 ‘반나절’의 구분이 헷갈린다는 것이었다.   우선 ‘나절’부터 시작해 보자. ‘나절’은 하룻낮의 절반쯤 되는 동안이다. 그렇다

    중앙일보

    2023.12.04 00:02

  • [우리말 바루기] ‘우풍’을 막을 방법은 없다

    날씨가 점점 추워지면서 집 안 곳곳에 바람이 새는 곳은 없는지 점검하는 이들이 늘어났다. 검색 사이트에 ‘우풍 차단’을 찾아보면 현관문이나 창틀에 붙이는 문풍지를 비롯해 찬 기운

    중앙일보

    2023.11.30 00:02

  • [우리말 바루기] 영어식 시제의 남용

    다음 중 시제와 관련해 가장 적절한 문장은 어느 것일까?   ㉠ 한때는 가출도 했었지만 지금은 성실하게 살고 있다.   ㉡ 회사에 출근하고 있던 중에 동창을 만났다.   ㉢ 도로

    중앙일보

    2023.11.27 00:02

  • [우리말 바루기] ‘고난이도’ 문항은 없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지난 16일 치러졌다. 킬러 문항을 배제하기로 하면서 수능의 난이도에 대해 수험생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올해는 예년에 비해 고난이도의 문제는 없

    중앙일보

    2023.11.23 00:02

  • [우리말 바루기] ‘조종’과 ‘조정’은 어떻게 다를까?

    다음 중 ‘조종’이나 ‘조정’이 바르지 않게 쓰인 것은?   ㉠비행기 조종 ㉡배후 조종 ㉢구조 조정 ㉣시세 조정   조종(操縱)은 비행기·자동차·선박 등 기계를 다루어 부리는 것

    중앙일보

    2023.11.20 00:02

  • [우리말 바루기] ‘자정’은 정확히 언제일까

    자주 찾는 애플리케이션에 “16일 자정부터 12시간 동안 일부 서비스가 중단된다”는 공지사항이 올라왔다. 그런데 그 시간이 정확히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의미하는지 헷갈린다. ‘자정

    중앙일보

    2023.11.16 00:02

  • [우리말 바루기] ‘아울렛’일까, ‘아웃렛’일까?

    다음 중 영어 ‘outlet’의 바른 한글 표기는 어느 것일까?   ㉠ 아울렛  ㉡ 아웃렛   아마도 ‘㉠ 아울렛’을 고른 사람이 적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너무나 많이 보아 왔기

    중앙일보

    2023.11.13 00:02

  • [우리말 바루기] 감기에 ‘즉빵’인 약은 없다

    최근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감기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등 독감이 유행하고 있다. 이에 방역 당국은 독감 예방접종을 서둘러 달라고 당부하고 나섰다.   감기 치료에 대해 인

    중앙일보

    2023.11.09 00:02

  • [우리말 바루기] ‘반려견’ 나도 표준어

    집에서 기르는 개와 관련, 이전에는 주로 ‘애완견’이란 말이 사용돼 왔다. 애완견(愛玩犬)의 사전적 풀이를 보면 ‘좋아해 가까이 두고 귀여워하며 기르는 개’라고 돼 있다. “애완

    중앙일보

    2023.11.06 00:02

  • [우리말 바루기] ‘맞다’고 하지 말자

    “생각해 보니 네 말이 맞다.”   위 예문은 평소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표현이지만 문법상 맞지 않는 표현이 들어가 있다. 어떤 부분이 바르지 못한 걸까.   너무 자

    중앙일보

    2023.11.02 00:02

  • [우리말 바루기] ‘고박’은 무슨 뜻일까요?

    고박(固縛)은 배(선박)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입니다. 무슨 뜻일까요?   ㉠오래된 선박   ㉡예스럽고 질박한 배   ㉢여객선·화물선 등을 이르는 말   ㉣화물을 고정하거나 묶는

    중앙일보

    2023.10.30 00:02

  • [우리말 바루기] ‘오지랖’을 모르는 ‘오지라퍼’라니

    세상만사에 온갖 참견을 해대는 사람을 보면 어떤 표현이 떠오르는가. MZ세대라면 ‘오지라퍼’라고 대답할 듯하다. 남의 일에 간섭하는 사람, 염치없이 행동하고 참견하는 사람을 가리

    중앙일보

    2023.10.26 00:02

  • [우리말 바루기] ‘모두 발언’이 뭘까요?

    다음 중 ‘모두 발언’이 뜻하는 것은?   ㉠모두가 돌아가면서 하는 발언   ㉡회의를 할 때 첫머리에 하는 발언   일반적으로 ‘모두’라고 하면 언뜻 전체를 뜻하는 것으로 이해하

    중앙일보

    2023.10.23 00:02

  • [우리말 바루기] ‘가을 내내’는 ‘가으내’일까, ‘가을내’일까

    높고 푸른 하늘이 가을의 절정에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는 요즘이다. ‘가으내’ 주렁주렁 매달린 탐스러운 열매들은 수확이 한창이다.   ‘가으내’는 ‘한가을 내내’를 의미한다.

    중앙일보

    2023.10.19 00:02

  • [우리말 바루기] ‘임신부’와 ‘임산부’가 다른 점은 뭘까

    지난 10월 10일은 임산부의 날이었다. 이에 언론에서는 “인구 절벽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며 정부에서는 임산부를 위한 정책들을 발표했다” “임산부 배우자의 출산휴가를 늘리는 법

    중앙일보

    2023.10.16 00:02

  • [우리말 바루기] ‘마다 안 해’가 성립하지 않는 이유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는 사람, 어떤 도전이든 마다하지 않고 노력하는 사람은 결국 그 분야에서 인정받게 된다. 이와 반대로 조금이라도 힘들 것 같은 일은 마다하는 사람, 도전을 마

    중앙일보

    2023.10.12 00:02

  • [우리말 바루기] 들렀다 올까, 들렸다 올까?

    6일에 달했던 긴 연휴로 인해 이번 추석엔 고향을 방문했다가 돌아오는 길에 주변 여행지를 찾은 이가 많았을 듯하다. “대전 부모님 댁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세종대왕릉에 들렀다”

    중앙일보

    2023.10.05 00:02

  • [우리말 바루기] ‘해태’가 뭐예요?

    다음 중 해태(懈怠)가 뜻하는 것은?   ㉠시비·선악을 판단하는 상상의 동물   ㉡아이를 낳음   ㉢기일을 넘겨 책임을 다하지 않는 일   ‘해태’에는 시비와 선악을 판단해 안다

    중앙일보

    2023.09.25 00:02

  • [우리말 바루기] 널부러질까, 널브러질까?

    다음 중 바른 표현이 아닌 것은?   ㉠ 널부러지다  ㉡ 널브러지다  ㉢ 너부러지다   몸에 힘이 빠져 몸을 추스르지 못하고 축 늘어지는 상태를 나타낼 때 ㉠과 같이 ‘널부러지다

    중앙일보

    2023.09.21 00:02

  • [우리말 바루기] ‘바우처’ 너무 어렵다

    요즘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고령자 또는 저소득층을 지원해 주는 제도가 많다. 그 가운데는 ‘바우처’라 불리는 것이 있다. 에너지 바우처,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급식 바우처, 데

    중앙일보

    2023.09.18 00:03

  • [우리말 바루기] ‘우연한’ 만남, ‘우연찮은’ 만남

    길을 가다가 전혀 예상치 못하게 아는 사람을 만나는 경우 이를 ‘우연한 만남’이라고 해야 할까, ‘우연찮은 만남’이라고 해야 할까?   ‘우연한 만남’은 확실히 맞는 것 같은데

    중앙일보

    2023.09.14 00:03

  • [우리말 바루기] ‘슬로시티’의 우리말은?

    최근 들어 많이 듣게 되는 말이 슬로시티(slow city)다. 슬로시티를 표방하고 있는 지방 도시가 적지 않다.   그렇다면 ‘슬로시티’는 어떤 지역을 말할까? 글자 그대로 느

    중앙일보

    2023.09.11 00:03